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4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기술진보에 따른 일자리 전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첫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구직자와 재직자들의 인식은 어떻게 구조화되며 인식유형별 특성은 무...

      이 연구는 기술진보에 따른 일자리 전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첫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구직자와 재직자들의 인식은 어떻게 구조화되며 인식유형별 특성은 무엇인지, 둘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구직자와 재직자들의 인식 유형에 걸쳐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 보았다. 주관적인 태도에 대한 접근을 위해 객관화된 질적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4가지 유형은 부정적 인식 유형, 중립적 인식유형, 근무환경 개선 인식 유형, 고용 증가 인식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부정적 인식 유형은 일자리 규모 및 일자리의 질 관점에서 모두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컸으며,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증가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립적 인식 유형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중립적이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수용하고 동시에 제도적·교육적 요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근무환경 개선인식 유형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일자리가 증가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지만, 일자리의 질 측면에서는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었다. 고용증가 인식 유형은 전반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특히 일자리 규모 증가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at appear across the types of perceptions toward job change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4.0. among job seekers and workers. For an approach to subjective beliefs, viewpoin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at appear across the types of perceptions toward job change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4.0. among job seekers and workers. For an approach to subjective beliefs, viewpoints and preferences, the data investigated using Q methodology, was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for PC. From the Q-methodology, the types of perception toward job changes due to Industrial 4.0 and their features were drawn. The perception types were classified as four types: negative perception type, neutral perception type, high evaluation about quality of jobs, and employment increase perception type. The results found that views toward job transition due to Industrial 4.0 are were diverse beyond the dichotomy and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efforts should be required to mitigate job insecurity and cope with job changes caused by technological adv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문헌 고찰
      • III.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문헌 고찰
      • III. 연구방법
      • IV. Q분류 결과
      • 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윤종, "제4차 산업혁명의 경제사회적 충격과 대응 방안: 기술과 사회의 동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2017

      2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변화에 대한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KISTEP 45-58, 2016

      3 산업연구원, "제 4차 산업혁명이 주력 산업에 미치는영향과 주요과제" 2017

      4 엄효진, "인공지능(AI) 기반 지능정보사회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 경제사회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21 (21): 1-19, 2020

      5 박수애,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1-29, 2005

      6 독일 노동조합 총연맹, "독일 근로시간 관련 독일 노총(DGB) 설문조사 결과"

      7 채창균, "노동시장의 변화와 일자리 체험. 디지털 경영의 이해" 51 (51): 122-127, 2002

      8 정세종, "경찰행정학과 학생들의 경찰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 Q 방법론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 14 (14): 639-650, 2014

      9 Boston Culsulting Group, "The shifting economcis of global manufacturing: How a takeoff in advanced robotics will power the next productivity surge" 2015

      10 C. B. Frey,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zation?"

      1 장윤종, "제4차 산업혁명의 경제사회적 충격과 대응 방안: 기술과 사회의 동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2017

      2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변화에 대한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KISTEP 45-58, 2016

      3 산업연구원, "제 4차 산업혁명이 주력 산업에 미치는영향과 주요과제" 2017

      4 엄효진, "인공지능(AI) 기반 지능정보사회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 경제사회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21 (21): 1-19, 2020

      5 박수애,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1-29, 2005

      6 독일 노동조합 총연맹, "독일 근로시간 관련 독일 노총(DGB) 설문조사 결과"

      7 채창균, "노동시장의 변화와 일자리 체험. 디지털 경영의 이해" 51 (51): 122-127, 2002

      8 정세종, "경찰행정학과 학생들의 경찰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 Q 방법론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 14 (14): 639-650, 2014

      9 Boston Culsulting Group, "The shifting economcis of global manufacturing: How a takeoff in advanced robotics will power the next productivity surge" 2015

      10 C. B. Frey,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zation?"

      11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2016

      12 J. Clifton, "The Coming Job War" Gallup Press 2011

      13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8

      14 S. R. Brown, "Political Subjectivity: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15 M. Chui, "Fourth fundamentals of workplace automation" 2015

      16 이선미, "AI 비서에 대한 직무 종사자와 관리자의 인식 유형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19 (19): 187-203, 2018

      17 고상원, "4차산업혁명의 고용효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7

      18 김한준, "4차 산업혁명이 직업세계에 미치는 영향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재직자 인식 조사-" 88-105, 2016

      19 허재준,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변화와 대응" 62-71, 2017

      20 김찬우,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따른 중소기업정책과 방향" 23-33, 2017

      21 감사연구원,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와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 2019

      2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직업교육훈련기관 신산업분야 교원운영 패러다임 전환 연구" 2020

      23 조규형,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50+세대 적합일자리 연구" 서울시50플러스재단 2019

      24 문중원, "4차 산업혁명시대의 노동과 노동조합의 미래에 대한 고찰" 법제처 687 : 10-35, 2019

      25 장미옥,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조사와 준비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7-57, 2019

      26 세계경제포럼,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의 미래" 2016

      27 한국고용정보원,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2019

      28 최현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데이터 주도의 혁신적 포용 사회안전망 개편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9 노용관, "4차 산업 혁명과 고용 변화 전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