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 Strategy on Church Growth in Korea by Pastoral Spirituality Kim, Dae Hyun Doctor of Theolog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46410
부천 : 서울신학대학교, 2016
학위논문(박사) --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 실천신학 전공 , 2016.2
2016
한국어
253.53
경기도
201 p ; 26 cm
지도교수 : 김순환
참고문헌 : p.186-19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Development Strategy on Church Growth in Korea by Pastoral Spirituality Kim, Dae Hyun Doctor of Theolog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
A Development Strategy on Church Growth
in Korea by Pastoral Spirituality
Kim, Dae Hyun
Doctor of Theolog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growth and pastor’s spirituality development. In a word, this study attempts to show how a pastor’s spirituality based on his or her spirituality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a local church. To do thi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following issues.
To have Spirituality is to live a life in which you believe in Jesus Christ and gradually resemble him within his love. In other words, spirituality can be properly formed only through deep relations hip with God. Spirituality focused on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inner world is called ‘vertical spirituality’, while one focused on relationship among humans is ‘horizontal spirituality’. The two parts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hould not be separated. In addition, Spirituality is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deep relations hip with God, deep relations "with oneself, and deep relations" with neighbors. Such spirituality is the key parts of pastoral spirituality.
The vertical spirituality includes processes such as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union with God. Although we human beings are all forgiven of a sin by God, we still have a seed of sin, such as greed, hypocrisy, hate, pride and selfishness, even after repentance and rebirth. Purification is a process to purify one’s spirit like clear water to become a person satisfying God. In the process, self-denial and self-renouncement is required.
Having belief in pastoral spirituality, is not to realize God’s truth with one’s reason, but to receive light and power of God in honesty, belief, and discipline. A saint is a person who received the Holy Spirit’s light and opened his spiritual eyes. He can gain God’s wisdom and give prayers full of love to God. In the respect, illumination step is full of admiration and impression to express one’s love to God and to worship God more.
Purification is to remove vicious tendency related to sin in one’s mind. While illumination is to add diverse types of virtue to one’s purified mind, union with God is to continuously identify oneself with God through Jesus Christ. This is a life to love only God. The only aim of a believer is to worship, respect, and love God who dwells in one’s mind. Union with God is to simplify all possible things in the process to get to know God.
Spirituality is something to be formed as time goes. Pastors can not be changed to be like Jesus Christ or have spirituality all of sudden. Their spirituality is formed through sustainable training and meditation or in charges which progress suddenly or slowly. The time honored lectio divina, meditatio, oratio and contemplatio is required to form pastoral spirituality.
Pastors should be trained not only in vertical spirituality but also in horizontal spirituality. Healthy spirituality has healthy attitude toward the world. In the sense, the purpose of spirituality training is not to separate ourselves from the mundane world, but rather, to have cultural and missionary duties to innovate and improve the world.
Finally, we come the a conclusion that even though there are other elements for church growth, pastor’s spirituality development is the main facter for achieving 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선교학』, 전호진, 개혁주의신행협회,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 1985
2. 「영성생활」, 엄두섭, 은성, 서울: 기독교한국연수원, , 1986
3. 『능력전도』, John Wimber, 나단, 이재범 역. 서울: 나단, , 1988
4. 『목회윤리』, Smith, E. A., Wiest, W. E., 대한기독교서회, 강성두 역. 서울: 기독교서회, , 1997
5. 『새벽눈물』, 김삼환, 교회성장연구소,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 2006
6. 『성공목회』, 김항안, 서울: 도서출판 글로리아, , 2012
7. 『영성발달』, 권택조, 서울: 예찬사, , 2003
8. 『영성생활』, 정대식, 서울: 크리스챤출판사(카톨릭), , 2003
9. 『영성신학』, 김경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1985
10. “교회갱신.”, 송천호, 「현대종교」 235호 년), 136, , 1993
1. 『선교학』, 전호진, 개혁주의신행협회,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 1985
2. 「영성생활」, 엄두섭, 은성, 서울: 기독교한국연수원, , 1986
3. 『능력전도』, John Wimber, 나단, 이재범 역. 서울: 나단, , 1988
4. 『목회윤리』, Smith, E. A., Wiest, W. E., 대한기독교서회, 강성두 역. 서울: 기독교서회, , 1997
5. 『새벽눈물』, 김삼환, 교회성장연구소,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 2006
6. 『성공목회』, 김항안, 서울: 도서출판 글로리아, , 2012
7. 『영성발달』, 권택조, 서울: 예찬사, , 2003
8. 『영성생활』, 정대식, 서울: 크리스챤출판사(카톨릭), , 2003
9. 『영성신학』, 김경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1985
10. “교회갱신.”, 송천호, 「현대종교」 235호 년), 136, , 1993
11. 『영성과 삶』, 임영수, 홍성사, 서울: 홍성사, , 2007
12. 설교학 이야기, 이현웅,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 2011
13. 「교회와선교」, 서정운, 서울: 두란노 서원, , 1994
14. 『교회성장론』, 이종윤, 베뢰아, 서울: 정음출판서, , 1983
15. 『목회지도력』, 김남석, 진흥, 서울: 진흥출판사, , 1995
16. 『희망플러스』, 홍일권, 서울: 생명의말씀사, , 2008
17. 『경건과 윤리』, 노영상, 서울: 성광문화사, , 1994
18. 『기도의 능력』, E. M. Bounds, 좋은씨앗, 이정윤 역. 서울: 생명의말씀사, , 2009
19. 『기도의 진실』, Bounds, E. M., 생명의 말씀사, 홍성국 역. 서울: 생명의말씀사, , 2008
20. 『기독교 영성』, 류기종, 서울: 도서출판 열림, , 1995
21. 『목회와 영성』, Holmes, U. T., 김외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1999
22. 『설교학 총론』, 정인교, 대한기독교서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2003
23. 『시너지 목회』, 이훈복, 서울: 서로사랑, , 2002
24. “가난의 영성.”, 최대형, 「영성의 메아리」 년 11-12월호), 76, , 2001
25. 세계 선교 전략사, 김성태, 생명의 말씀사, 서울: 생명의 말씀사, , 1994
26. 『21세기 예배론』, 김순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2009
27. 『오늘의 목사론』, 박근원, 대한기독교서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1993
28. 『뿌리 깊은 영성』, 강준민, 두란노, 서울: 두란노서원, , 2007
29. 『셀 그룹 셀 교회』, 박홍래, 서울: 서로사랑, , 2008
30. 『영성목회 21세기』, 정원범, 한들, 서울: 한들출판사, , 2006
31. 『평양대부흥운동』, 박용규, 서울: 생명의 말씀사, , 2000
32. 『포스트모더니즘』, 신국원, 서울: IVP, , 1999
33. 『한국기독교회사』, 민경배,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 1981
34.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편집국, 서울: 민중서림, 년, , 2003
35. 「힘내라 한국교회」, 이원규, 동연, 서울: 도서출판동연, , 2009
36. 『교회성장의 비결』, 조용기, 서울: 순복음 교육연구소, , 1983
37. 『새벽사람 전성기』, 오정현, 서울: 규장, , 2004
38. 『영성생활의 향기』, 엄두섭, 서울: 도서출판 은성, , 1996
39. 『전도는 어명이다』, 김두식, 서울: 생명의말씀사, , 2008
40. “교회성장과 예배.”, 안승오,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와 교회성장」 선교신학 7집 년), 211-212, , 2003
41. 『존 웨슬리의 생애』, 김진두, KMC, 서울: 도서출판 KMC, , 2006
42. 『칼빈의 교육 목회』, 황성철, 이레서원, 서울: 이레서원, , 2002
43. 한국 교회 역사와 신학, 이상규, 생명의 양식, 서울: 생명의 양식, , 2007
44. 『그리스도교 사상사』, Tillich, P., 송기득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 2001
45. 『기독교화 한국사상』, 윤성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1998
46. 『한국기독교사 탐구』, 김흥수, 서정민, 대한기독교서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2011
47. 『한국기독교사 특강』, 이만열, 서울: 성경읽기사, , 1985
48. “목회와 영성이해(1).”, 김외식, 「신학과 세계」 년 봄호), 144-145, , 1988
49. “목회자의 소명확인.”, 김서택, 「목회와 신학」 년 1월호), 129, , 2003
50. “설교자와 성경묵상.”, 김남준, 「그말씀」 년 12월호), 115, , 1994
51. 「칼빈의 생애와 사상」, 이양호,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 1997
52. 『거룩한 습관과 영성』, 김병근, 서울: 쉴만한 물가, , 2002
53. 『교회성장의 영적차원』, 명성훈, 서울서적, 서울: 서울서적, , 1993
54. 『선교교육과 성장목회』, 손윤탁,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 2011
55. 『기독교의 영적 스승들』, 이후정, 이주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1977
56. 『목회의 전문성과 영성』, 민영진, 서울: 연세대출판부, , 1985
57. 『신학은 하나님 배우기』, 현요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2011
58. 『영성 이렇게 형성하라』, 이태복, 지평서원, 서울: 지평서원, , 2010
59. 한국교회의 사회학적 이해, 이원규, 성서연구사, 서울: 성서연구사, , 1992
60. “기독교 영성학의 위상.”, 최승기, 「신학이해」42권. 년), 151-152, , 2012
61. “목회의 전문화와 영성.”, 은준관,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제4회 연신원 목회자 신학세미나 강의집」 제4집. 년), 439, , 1984
62. 『미래 사회와 미래 교회』, 이성희, 대한기독교서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1996
63. 『현대 교회와 영성 목회』, 김외식, 감리교신학대학교 출판부, 서울: 감리교신학대학출판부, , 2002
64. 청중 심리를 파고드는 설교, 박영재, 요단, 서울: 요단, , 2009
65. 『큐티하면 행복해집니다』, 하용조, 서울: 두란노서원, , 2008
66. “포스트모더니즘과 선교.”, 이형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선교와 신학」 년 12집), 30-32, , 2003
67. 「한국교회의 현실과 전망」, 이원규, 성서연구사, 서울: 성서연구사, , 1994
68. 『성 베네딕트의 수도규칙』, 이동호, 왜관: 분도출판사, , 1974
69. 『평신도 사역자를 키워라』, 김점옥, 서울: 기독신문사, , 1998
70. “교회성장의 여러 요인들.”, 조용기, 「교회성장」제1집 년), 31-32, , 1988
71. “초대와 중세의 영성생활.”, 박대인, 「제4회 연신원 목회자세미나 자료집」 년), 346-352, , 1985
72. 『칼빈 신학의 현대적 이해』, 한신대편, 한국신학대학, 서울: 한신대출판부, , 1978
73. 『칼빈과 개혁 신학의 기초』, 김재성,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경기: 합동신학대학출판부, , 2003
74. 『종교사회학 : 이론과 실제』, 이원규, 한국신학연구소,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 1991
75. 『한국장로교회의 합동운동』, 서기행, 홍정이, 서울: 도서출판새한, , 2009
76. 왜 그들의 교회는 성장하는가?, 이요한, 서울: 성서연구사, , 1989
77. Donald. 『영적훈련』. 조성동 역, Whitney, S., 서울: 네비게이토 출판사, , 1997
78. 『설교자여 승부수를 던져라』, 정인교, 대한기독교서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2010
79. 『우리가 사모하는 푸른목장』, 이동원, 두란노서원, 서울: 두란노, , 2004
80. 『한국교회의 성장과 저성장』, 이광순, 서울: 미션아카데미, , 2005
81. “한국교회의 성장방안 모색.”, 한춘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기독교교육논총」 년 1월호), 135, , 2011
82. “목회자의 세습에 대한 비판.”, 김명용, 「교회와 신학」 제34호.년 겨울호), 12-22, , 2000
83.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평가,”, 백종구,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선교신학」 7집. 년), 262, , 2003
84. 『한국교회, 개혁의 길을 묻다』, 박영돈, 서울: 새물결플러스, , 2013
85. Nelson. 『영성과 목회』. 이윤복 역, Thayer, S., 서울: 성광문화사, , 1992
86. “성령과 경건운동의 사적고찰.”, 주재용,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신학연구」 제20권. 년 봄호), 229-243, , 1979
87. “예수의 신앙체험과 부활신앙.”, 문상희, 「목회의 전문화와 영성」 년), 180-203, , 1984
88. “프로테스탄트의 영성의 역사.”, 이정기, 「월간목회」 년 3월호), 80-81, , 1986
89. 『교회 어떻게 새로워져야 하나』, 이평소, 서울: 도서출판 대장간, , 1995
90.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회 성장』, 최동규, 서울: 서로사랑, , 2011
91. “감성의 리더십 섬김의 리더십.”, 최동규, 「활천」 년 9월호), , 2009
92. “교회성장에 관한 종합적 이해.”, 홍용표,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년), 202, , 1999
93. “참된 영성개념의 정립과 자세.”, 이한수, 「신학지남」 년 6월호), 57, , 1994
94. 별세 목회적 측면에서 본 제자훈련, 이중표, 「교회와 제자훈련」 (2003년), 72-76., , 2003
95. “영성 목회에 대한 진단과 제언.”, 유해룡, 「신학과 문화」 제5집. 년 11월호), 257, , 1996
96. 『교회교육 실험연구 종합보고서』, 은준관, 서울: 감신대 기독교교육연구소, , 1998
97. Howard. 『개혁주의 영성』. 황성철 역, Rice, A.,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 1995
98. 『영적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광건, 서울: 웨스트민스트출판부, , 2005
99. 『한국교회를 깨운 복음주의 운동』, 박용규, 두란노, 서울: 두란노, , 1998
100. Richard. 『돈, 섹스, 권력』. 김영호 역, Foster, J., 서울 : 두란노, , 1994
101. 『교회사적 입장에서 본 한국 교회』, 김인수, 서울: 장로교신학대학, , 1996
102. 『셀 교회로 교회 영성을 회복하라』, 송찬근, 서울: 두란노, , 2008
103. 『목회필수지료백과-목회자와 설교』, 장차남, 서울: 도서출판 기쁜날, , 2010
104. 『영적성장을 위한 말씀훈련 Ⅰ, Ⅱ』, 오성춘, 서울: 예수교장로회출판국, , 1991
105. 한국 교회 급성장의 원인에 대한 고찰, 박아론, 「신학지남」 통권 제25호 (1998년 가을호), 32., , 1998
106. “맥가브란의 교회성장운동과 이론.”, 황청일, 「신학과 문화」 4집. 년), 90-101, , 1995
107. “한국 교회 목회 구조 갱신의 방향.”, 이기춘, 「신학과 세계」 년 8월호), 516, , 1982
108. “21세기 목회환경 변화의 주된 특성.”, 이원설, 「목회와 신학」 년 1월호), 44, , 1995
109. “교회는 성령의 능력으로 진행한다.”, 이재범, 「목회와 신학」 년 11월호), 43-45, , 1997
110. “주님이 원하시는 새 천년 교회사역.”, 오정현, 「목회와 신학」 년 1월호), 66, , 2000
111. Donald. 『하나님의 선교전략』. 이광순 역, McGavran, A.,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 1993
112. “종교개혁시대의 영성과 기독교영성.”, 강근환, 「제4회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목회의 전문화와 영성」년), 356-357, , 1985
113. “한국 종교 문화의 특성에 대한 연구.”, 이원규, 감리교신학대학, 「신학과 세계」 60호, 년 겨울호), 142-143, , 2007
114. “말씀의 역사, 한국 교회 부흥의 역사.”, 서정민, 「월간목회」 년 8월호), 46-47, , 2006
115. 『목회자, 한국교회의 이상적 목회자상』, 이승하, 서울: 한들출판사, , 2010
116. “한국교회의 성장과 정체에 대한 연구.”, 황순환,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 년 28집), 6, , 2011
117. David. 『셀 교회 평신도 지침서』. 박영철 역, Finnel, L., 서울: 엔시디, , 2002
118. “한국교회의 새로운 지도력과 목회윤리.”, 조용훈(Yong Hun Jo),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35집. 년 10월호), 181, , 2004
119. Howard.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이강천 역, Snyder, A., 서울: 생명의말씀사, , 1981
120. “설교의 위기를 극복하는 설교 리모델링.”, 정인교, 「목회와 신학」 년 4월호), 133, , 2007
121. 『21세기에 다시 본 존 칼빈의 설교와 예배』, 이현웅, 이레서원, 서울: 이레서원, , 2009
122. 『건강한 교회성장을 위한 핵심원리 7가지』, 안승오,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2006
123. Peter. 『교회성장을 위한 지도력』. 김선도 역, Wargner, C., 서울: 광림, , 1989
124. “세습반대 운동에 나란히 선 보수와 진보.”, 김성윤, 「복음과 상황」 년 5월호), 81, , 2001
125. 『향심 기도-그리스도인의 행복과 성화의 길』, 엄무광, 서울: 성바오로, , 1998
126. Marjorie. 『영성훈련의 이론과 실천』. 고진옥 역, Thompson, J., 서울: 은성, , 1996
127. “하이테크는 어떤 방식 목회를 요구하는가?.”, 김영호, 「기독교사상」 441. 년), 26, , 1995
128. 1980년대 이후 한국교회 성경공부 형태와 교회성장, 김인수, 「월간목회」(2006년 3월호), 57-58, , 1980
129. “균형잡힌 영성을 통한 건강한 교회성장 연구.”, 정윤제, 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목회신학대학원, 년, , 2009
130.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의 모색』, 이형기, 장로회신대학교,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 1997
131. 『한국교회의 영적 성장을 위한 융의 분석심리학』, 심상영, 쿰란, 서울: 쿰란출판사, , 2001
132. Glenn. 『하나님의 교회 VS 교회주식회사』. 차성구 역, Wagner, E., 서울: 좋은씨앗, , 2000
133. “교회성장을 위한 현대적 영성훈련의 실천적 고찰.”, 장현운,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대학원, 년, , 2004
134. “성장둔화에 대한 요인분석과 그 대안에 관한 연구.”, 김영한, 「한국 교회 성장둔화 분석과 대책」 년), 13-14, , 1998
135. “한국 교회의 목회-오늘과 내일." 「세계와 선교」 64집, 박근원, 년 12월호), 40, , 1979
136. Peter. 『숫자로부터 자유로운 목회를 합시다』. 배응준 역, Wargner, C., 서울: 도서출판 나침반, , 1996
137. “한국교회 성장 지속을 위한 목회와 예배의 성찰과 전망.”, 김순환,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Vol.31. 년), 171, , 2012
138. “한국교회 영성훈련을 위한 새로운 방안 : 렉시오 디비나.”, 박주태, 박사학위 논문: 호남신학대 목회전문대학원: 년, , 2007
139. 『당신은 뉴에이지와 그 음악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곽용화, 서울: 낮은울타리, , 1995
140. “전통적인 교회성장학과 자연적 교회성장학의 신학적 패러다임 연구.”, 김한옥,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년 여름호), 125, , 2008
141. “영성 훈련자 전도 동력화를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 분당제일교회를 중심으로.”, 박기철, 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 목회전문대학원, 년, , 2007
142. “한국 개신교인의 교회활동 및 신앙의식 조사보고서: 타종교인 및 비종교인과의 비교분석.”, 한미준, 「한국갤럽」년), ,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