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칸트의 “지혜론”으로서의 형이상학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칸트는 종래의 형이상학에서 ‘초감성적인 것’, 즉 신의 존재, 영혼불멸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자 한 것과 달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29368
염승준 (원광대학교)
2017
Korean
형이상학 ; 선험철학 ; 철학의 철학적 역사 ; 자유 ; 도덕 ; Metaphysic ; transcendental philosophy ; a philosophical history of philosophy ; Moral ; Freedom
KCI등재
학술저널
49-69(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칸트의 “지혜론”으로서의 형이상학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칸트는 종래의 형이상학에서 ‘초감성적인 것’, 즉 신의 존재, 영혼불멸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자 한 것과 달리 ...
본 연구는 칸트의 “지혜론”으로서의 형이상학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칸트는 종래의 형이상학에서 ‘초감성적인 것’, 즉 신의 존재, 영혼불멸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자 한 것과 달리 그 둘의 객관적 실재성을 이성의 실천적이고 도덕적인 차원에서 증명한다. 이에 대한 논거로 칸트가 『형이상학의 진보』에서 제시한 봄철가뭄의 “곡물거래”의 비유와 ‘선험철학’과 ‘본래적 형이상학’의 차이를 주목하였다. 이 두 가지 설명은 철학과 형이상학을 전공하지 않은 ‘보통의 인간 이성’을 소유한 사람이라도 “초감성적인 것은 실천적이고 도덕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실재한다”는 명제를 칸트가 의도한 대로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칸트는 자신의 형이상학이 종래 형이상학과 완전한 단절이며 형이상학의 부활이며 혁명이라고 확신하는 데, 이러한 확신을 독자에게 확신시키기 위해서 그가 고안한 척도가 바로 “공간과 관념의 관념성의 이론”이며 “자유 개념의 객관적 실재성에 관한 이론”이다. 칸트는 이 두 척도에 의거하여 형이상학의 역사에서 등장한 첫째 단계인 독단적 형이상학을 비판하고 둘째 단계인 이성의 회의적 정지상태의 한계와 의의를 논의한 후 자신의 형이상학이 최종의 완성된 형태임을 강조한다. 『형이상학의 진보』는 칸트 형이상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유용한 텍스트일 뿐만 아니라 분트(Wundt, M)가 이미 밝힌 바처럼 칸트 철학 체계의 전체성을 이해하는데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칸트가 자유가 형이상학의 출발지점이고 도덕의 존재 근거라고 밝히고 있는 것처럼, 본 연구는 형이상학, 자유, 그리고 도덕, 이 세 가지의 체계적이고 내적인 연관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metaphysics as “The doctrine of wisdom” of Kant. While previous metaphysics proves ‘the super-sensible’, namely ‘There is a God’ and ‘Immoratality’ in the sphere of theory, Kant does ‘objective reality...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metaphysics as “The doctrine of wisdom” of Kant. While previous metaphysics proves ‘the super-sensible’, namely ‘There is a God’ and ‘Immoratality’ in the sphere of theory, Kant does ‘objective reality’ of both in the practical and moral sphere of reason. As the proof of this, he notes the analogy of "the corn trade" of spring-season famine presented in “What real progress has metaphysics made in Germany since the time of Leibniz and Wolff” and the difference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metaphysics proper’. These two explanations are of use in that even people with ‘ordinary human reason’ as non-specialists in philosophy and metaphysics are able to understand the proposition that the super-sensible objectively exists in the morally-practical point of view as intended by Kant. Kant is sure that his own metaphysics is resurrection and revolution of metaphysics as well as perfect disjunction from previous metaphysics. Also, in this vein, he devises the yardstick of ‘the doctrine of the ideality of space and time’ and ‘the doctrine of the reality of the concept of freedom’ for readers assurance. And, on the basis of these two sure yardsticks, Kant criticizes the dogmatic metaphysics as the first stage in the history of metaphysics and discusses both the meaning and the limit of doubtful standstill of reason as the second stage, thenceforth highlights that his arguing is the ultimate form of metaphysics. “What real progress has metaphysics made in Germany since the time of Leibniz and Wolff” is not only the useful text for understanding Kant's metaphysics but, as already clarified by Wundt, M, is able to offer some clu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totality of the system of Kant-philosophy as well. As Kant clarifies that freedom is the starting point of metaphysics and the root of existence of mor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estifies the systematic and internal relations of metaphysics, freedom and mor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마누엘 칸트, "형이상학의 진보"
2 임마누엘 칸트, "형이상학 서설"
3 한자경, "칸트의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2
4 임마누엘 칸트,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9
5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6 임마누엘 칸트, "도덕형이상학의 정초"
7 Georg Mohr, "Theoretical Philosophy, Text and Commentary Book 3, Kant’s Foundation of critical Philsophy of Georg Mohr" Suhrkamp Press 2004
8 Heimseoth, H., "Metaphysic of Mordern" Darmstadt 1967
9 Förster Eckart, "Kant’s Transcendental Deduction: The Three Critique and the Opus postmum"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10 Wundt, M, "Kant as a metaphysician : A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the 18th century" Enke Verlag 1924
1 임마누엘 칸트, "형이상학의 진보"
2 임마누엘 칸트, "형이상학 서설"
3 한자경, "칸트의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2
4 임마누엘 칸트,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9
5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6 임마누엘 칸트, "도덕형이상학의 정초"
7 Georg Mohr, "Theoretical Philosophy, Text and Commentary Book 3, Kant’s Foundation of critical Philsophy of Georg Mohr" Suhrkamp Press 2004
8 Heimseoth, H., "Metaphysic of Mordern" Darmstadt 1967
9 Förster Eckart, "Kant’s Transcendental Deduction: The Three Critique and the Opus postmum"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10 Wundt, M, "Kant as a metaphysician : A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the 18th century" Enke Verlag 1924
11 Kant, Immanuel, "Immanuel Kant Theoretical Philosophy, Text and Commentary Book 2, Kant’s Foundation of critical Philosophy of Georg Mohr" Suhrkamp Press 2004
고르기아스의 진리 개념 - ≪헬레네 찬가≫를 중심으로 -
데카르트 존재론의 비판적 고찰을 통한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의미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억압론을 통해서 본 예술과 광기의 문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