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블루스페이스 회복환경지각이 주관적 웰빙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아쿠아리움(Aquarium)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8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urists in Aquarium mainly visit this place merely for temporary
      pleasure with partners or improving educational value of their children in
      the gradually more competitive aquarium industry. Yet this industry can
      discover a variety of marketing appealing points, enjoy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s, and hold a distinct position compared to other leisure
      industries if people avoid stress accumulated in daily routines and feel
      subjective well-being by watching aquarium.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restoration
      environment formed after watching aquarium on subjective well-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tourists who watched A Aquarium
      located within the representative tourist attraction in Jeollanam-do, South
      Korea. In addition, it verified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affect on the
      effects of perceived restoration environment on subjective well-being. It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by giving detailed accounts on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this study to 454 tourists who visited A Aquarium on
      May 19, 2018 on real time and performed a survey to raise the
      completeness of this research.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ing away, 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except for coherence
      among perceived restoration environment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Compatibility among thre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showed the highes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Tourists can feel refreshed to avoid tedious daily routines and tasks
      while watching the aquarium and recover their peaceful mind from tough
      or fatigued minds through watching various fish and marine mammals,
      moderate background music(BGM) feeling nature, and ecological
      experience to touch living marine creatures in the aquarium.
      Second,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well-being created by watching
      the aquarium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which is a will of future behaviors of tourists. This is because tourists
      consider leisure life through watching as a leisure life they have thought
      and they are highly satisfied and accept it as a positive leisure life.
      Third, positive affects served as moderating effects in the impact of
      being away and fascin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For the effects of
      being away on subjective well-being, tourists who feel less positive
      affect were identified to feel more being away and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ho feel highly positive affect. To the contrary, tourists who
      feel highly positive affect feel more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ho
      feel lesser positive affect in regards to the effects of fascin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oretical implications by establishing
      theories associated with aquarium, which is a single part of theme park
      industry, and by expanding studies, and also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s for obtaining distinct competitiveness of the aquarium
      industry and using the sustainable marketing.
      번역하기

      Tourists in Aquarium mainly visit this place merely for temporary pleasure with partners or improving educational value of their children in the gradually more competitive aquarium industry. Yet this industry can discover a variety of marketing appeal...

      Tourists in Aquarium mainly visit this place merely for temporary
      pleasure with partners or improving educational value of their children in
      the gradually more competitive aquarium industry. Yet this industry can
      discover a variety of marketing appealing points, enjoy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s, and hold a distinct position compared to other leisure
      industries if people avoid stress accumulated in daily routines and feel
      subjective well-being by watching aquarium.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restoration
      environment formed after watching aquarium on subjective well-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tourists who watched A Aquarium
      located within the representative tourist attraction in Jeollanam-do, South
      Korea. In addition, it verified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affect on the
      effects of perceived restoration environment on subjective well-being. It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by giving detailed accounts on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this study to 454 tourists who visited A Aquarium on
      May 19, 2018 on real time and performed a survey to raise the
      completeness of this research.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ing away, 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except for coherence
      among perceived restoration environment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Compatibility among thre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showed the highes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Tourists can feel refreshed to avoid tedious daily routines and tasks
      while watching the aquarium and recover their peaceful mind from tough
      or fatigued minds through watching various fish and marine mammals,
      moderate background music(BGM) feeling nature, and ecological
      experience to touch living marine creatures in the aquarium.
      Second,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well-being created by watching
      the aquarium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which is a will of future behaviors of tourists. This is because tourists
      consider leisure life through watching as a leisure life they have thought
      and they are highly satisfied and accept it as a positive leisure life.
      Third, positive affects served as moderating effects in the impact of
      being away and fascin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For the effects of
      being away on subjective well-being, tourists who feel less positive
      affect were identified to feel more being away and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ho feel highly positive affect. To the contrary, tourists who
      feel highly positive affect feel more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who
      feel lesser positive affect in regards to the effects of fascin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oretical implications by establishing
      theories associated with aquarium, which is a single part of theme park
      industry, and by expanding studies, and also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s for obtaining distinct competitiveness of the aquarium
      industry and using the sustainable marke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점차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아쿠아리움 산업 내에서 관광객들은 아쿠아리
      움을 단순히 동반자와의 일시적 즐거움 혹은 자녀들의 교육적 가치증진을
      위해 주로 이용하고 있지만, 아쿠아리움 관람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누적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 주관적 웰빙을 느낄 수 있다면 향후 아쿠아리움 산
      업은 보다 다양한 마케팅적 소구점을 찾고, 광고 및 홍보효과를 누리면서 타
      레저산업과의 차별적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 전라남도 대표 관광지 내 위치하고 있는
      A아쿠아리움을 관람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테마가 상존하고 있는 아
      쿠아리움을 관람한 후 형성되는 블루스페이스 회복환경지각이 주관적 웰빙
      과 나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블루스페이스 회복
      환경지각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정서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였다.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2018년 5월 19일 A아쿠아리움을 실
      시간으로 방문한 관광객 454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 및 의도를 자세히
      설명한 후 설문을 받는 방식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
      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루스페이스 회복환경지각 중 조화성을 제외한 일탈성, 매력성, 적
      합성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의
      한 영향을 미친 3가지 영향요인 중 적합성이 주관적 웰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쿠아리움 관람을 통해 관광객들은 무료한 일
      상과 과업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기분을 느끼며, 힘들거나 지친 마음을 아쿠
      아리움의 다양한 어종 및 해양포유류 관람과 몰입도 높은 분위기, 자연을 느
      낄 수 있는 은은한 배경음악(BGM), 살아있는 생물들을 만질 수 있는 생태
      체험 등을 통해서 마음에 평정심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블루스페이스 내 아쿠아리움 관람을 통해 형성된 주관적 웰빙은 관
      광객의 미래행동의 의지인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는 관람을 통한 여가생활에 대해 관광객들은 본인들이 그
      동안 생각하던 여가생활로 인식하고 있으며, 만족감도 상당히 크고, 긍정적
      인 여가생활로 받아들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블루스페이스 내 아쿠아리움 관람을 통한 회복환경지각이 주관적 웰
      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긍정적 정서의 조절영향 중 일탈성과 매력성은 유
      의한 정(+)의 조절영향을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탈성이 주관적 웰빙
      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정서를 높게 느끼는 관광객들보다 긍정적 정서를
      낮게 느끼는 관광객들이 더 큰 일탈감을 느끼면서 주관적 웰빙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매력성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정서를 낮게 느끼는 관광객들보다 긍정적 정서를 높게 느끼는 관광
      객들이 주관적 웰빙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테마파크 산업의 한 영역인 아쿠아리움 관련 이론 정립
      및 연구를 확장시켜 이론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며, 아쿠아리움 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및 지속 가능한 마케팅 구사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점차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아쿠아리움 산업 내에서 관광객들은 아쿠아리 움을 단순히 동반자와의 일시적 즐거움 혹은 자녀들의 교육적 가치증진을 위해 주로 이용하고 있지만, 아쿠아리움...

      점차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아쿠아리움 산업 내에서 관광객들은 아쿠아리
      움을 단순히 동반자와의 일시적 즐거움 혹은 자녀들의 교육적 가치증진을
      위해 주로 이용하고 있지만, 아쿠아리움 관람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누적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 주관적 웰빙을 느낄 수 있다면 향후 아쿠아리움 산
      업은 보다 다양한 마케팅적 소구점을 찾고, 광고 및 홍보효과를 누리면서 타
      레저산업과의 차별적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 전라남도 대표 관광지 내 위치하고 있는
      A아쿠아리움을 관람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테마가 상존하고 있는 아
      쿠아리움을 관람한 후 형성되는 블루스페이스 회복환경지각이 주관적 웰빙
      과 나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블루스페이스 회복
      환경지각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정서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였다.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2018년 5월 19일 A아쿠아리움을 실
      시간으로 방문한 관광객 454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 및 의도를 자세히
      설명한 후 설문을 받는 방식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
      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루스페이스 회복환경지각 중 조화성을 제외한 일탈성, 매력성, 적
      합성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의
      한 영향을 미친 3가지 영향요인 중 적합성이 주관적 웰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쿠아리움 관람을 통해 관광객들은 무료한 일
      상과 과업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기분을 느끼며, 힘들거나 지친 마음을 아쿠
      아리움의 다양한 어종 및 해양포유류 관람과 몰입도 높은 분위기, 자연을 느
      낄 수 있는 은은한 배경음악(BGM), 살아있는 생물들을 만질 수 있는 생태
      체험 등을 통해서 마음에 평정심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블루스페이스 내 아쿠아리움 관람을 통해 형성된 주관적 웰빙은 관
      광객의 미래행동의 의지인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는 관람을 통한 여가생활에 대해 관광객들은 본인들이 그
      동안 생각하던 여가생활로 인식하고 있으며, 만족감도 상당히 크고, 긍정적
      인 여가생활로 받아들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블루스페이스 내 아쿠아리움 관람을 통한 회복환경지각이 주관적 웰
      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긍정적 정서의 조절영향 중 일탈성과 매력성은 유
      의한 정(+)의 조절영향을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탈성이 주관적 웰빙
      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정서를 높게 느끼는 관광객들보다 긍정적 정서를
      낮게 느끼는 관광객들이 더 큰 일탈감을 느끼면서 주관적 웰빙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매력성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정서를 낮게 느끼는 관광객들보다 긍정적 정서를 높게 느끼는 관광
      객들이 주관적 웰빙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테마파크 산업의 한 영역인 아쿠아리움 관련 이론 정립
      및 연구를 확장시켜 이론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며, 아쿠아리움 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및 지속 가능한 마케팅 구사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4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제 2 장 이론적 고찰 9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4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제 2 장 이론적 고찰 9
      • 제 1 절 회복환경 9
      • 1. 바이오필리아 효과 및 주희회복이론 9
      • 2. 블루스페이스 내 회복환경지각 13
      • 3. 회복환경 개념 및 측정방법 16
      • 4. 회복환경 관련 선행연구 20
      • 제 2 절 주관적 웰빙 25
      • 1. 주관적 웰빙 정의 및 개념 25
      • 2. 주관적 웰빙과 유사 개념과의 차이점 28
      • 3. 주관적 웰빙 관련 선행연구 30
      • 제 3 절 행동의도 34
      • 1. 행동의도 정의 및 개념 34
      • 2. 행동의도 구성개념 35
      • 3. 행동의도 관련 선행연구 37
      • 제 4 절 긍정적 정서 41
      • 1. 긍정적 정서 정의 및 개념 41
      • 2. 긍정적 정서 관련 선행연구 43
      • 제 5 절 아쿠아리움 관광 45
      • 1. 아쿠아리움 정의 및 산업 특징 45
      • 2. 아쿠아리움 관광 관련 선행연구 51
      • 제 3 장 연구방법 54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 54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61
      • 제 3 절 표본의 구성 및 설문지 구성 66
      • 제 4 절 자료 분석방법 및 예비조사 시행 69
      • 제 4 장 분석결과 72
      • 제 1 절 표본의 특성 72
      • 제 2 절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74
      • 제 3 절 확인적 요인분석 77
      • 제 4 절 연구모형의 분석과 가설 검증 81
      • 제 5 장 결 론 85
      • 제 1 절 연구의 요약 85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87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92
      • 참고문헌 93
      • 설문지 10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도희, "『관광산업론』", 백산출판사, 2016

      2 이훈구, "『성격심리학』", 법문사, 1999

      3 소냐 류보머스키, "『행복의 정석』", 블룸컴퍼니, 2017

      4 서천범, "『2017 레저백서』", 한국레저산업연구소, 2017

      5 에드워드 윌슨, "『바이오필리아』", 사이언스북스, 2017

      6 양윤, "『소비자심리학』", 학지사, 2008

      7 김주영,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비앤엠북스, 2016

      8 박세범, 박종오, "년). 『소비자 행동』", 북넷, 2009

      9 김웅서, 최승민, "『도심 속 바다 생물』", 지성사, 2011

      10 김민혜, 이재열, 남은영,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한국사회학』, 46(5), 1-33, 2012

      1 김도희, "『관광산업론』", 백산출판사, 2016

      2 이훈구, "『성격심리학』", 법문사, 1999

      3 소냐 류보머스키, "『행복의 정석』", 블룸컴퍼니, 2017

      4 서천범, "『2017 레저백서』", 한국레저산업연구소, 2017

      5 에드워드 윌슨, "『바이오필리아』", 사이언스북스, 2017

      6 양윤, "『소비자심리학』", 학지사, 2008

      7 김주영,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비앤엠북스, 2016

      8 박세범, 박종오, "년). 『소비자 행동』", 북넷, 2009

      9 김웅서, 최승민, "『도심 속 바다 생물』", 지성사, 2011

      10 김민혜, 이재열, 남은영,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한국사회학』, 46(5), 1-33, 2012

      11 신건권,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청람, 2013

      12 이훈영, "연구조사방법론: 2판", 서울: 청람, 2012

      13 안광호, "『정서지배 소비자행동』", 학현사, 2011

      14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성격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5(1), 169-186, 2009

      15 이승훈, 현명호, "회복환경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525-545, 2003

      16 박아청, "『성격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교육과학사, 2000

      17 이군희, "『사회과학연구방법론: 수정판』", 법문사, 2012

      18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2

      19 이충기, "『관광조사통계분석: SPSS AMOS 활용』", 대왕사, 2016

      20 이승훈, 현명호, "한국판 회복환경지각척도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29-241, 2003

      21 소냐 류보머스키, "『How to be happy: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지식노마드, 2009

      22 구재선, 김의철, "심리적 특성 생활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18, 2006

      23 서은국, "구제선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5(1), 95-113, 2011

      24 이승훈, 현명호, "자연환경과 회복환경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비교", 『한국심리학회 지: 건강』, 9(3), 609-632, 2004

      25 공병호, "고전강독 3: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진정한 행복을 묻다", 해냄출판사, 2012

      26 남궁영, 이희민, "외식가치, 주관적 웰빙, 행동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 학연구』, 26(3), 113-130, 2017

      27 김문진, "우리나라 아쿠아리움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5

      28 이정순, 전원배, "관광활동,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주관적 웰빙의 관계", 『관광학 연구』, 28(4), 149-172, 2005

      29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아산재단 연구총서 48』", 집문당, 1998

      30 이기원, "아쿠아리움의 해양생물 전시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고급편』", 서울: 한나래, 2016

      32 한장헌,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 회논문지』, 16(7), 587-597, 2016

      33 윤재진, 이길형,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 나타나는 바이오필리아 효과 연구", 『커뮤 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55, 124-138, 2016

      34 김의준, 하재연, 이창근,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한 여수 아쿠아리움 방문확률의 추정", 『농촌계획』, 16(1), 1-8, 2010

      35 김상진, 이종한, "호텔종사원의 개인성격이 직무몰입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식음경영연구』, 22(1), 29-49, 2011

      36 조은영, 임정하,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4), 185-210, 2014

      37 최연희, "패밀리레스토랑의 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과 행동의도간 연구", 경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8 김진옥, 이충기, "한국형 치유관광의 개념모델 정립 및 치유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31(5), 5-21, 2017

      39 서용원, 오선영, "대인갈등이 관계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 감정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4), 663-688, 2015

      40 신희웅, 지정훈, "미용실 종사자의 멘토신뢰가 서비스일관성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3), 359-370, 2018

      41 윤태환, 전재균, "아쿠아리움 방문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 구", 『관광레저연구』, 17(3), 265-282, 2005

      42 임승환, "행동유형론 (대인관계 중심의 성격유형론) 정립을 위한 경 험적 연구", 『한 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4(3), 705-723, 2002

      43 박수완, "관광객 유형, 센세이션추구 및 지각된 위험이 모험추구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15(2), 86-104, 2013

      44 이정헌, "디지털 가상현실 수족관 <아이큐아리움>의 방문자 체험특성 질적 관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0), 200-213, 2013

      45 김무한, "주의회복환경에서 본 형태의 장에 관한 연구: 서울 청계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6 우정권, 유미, "아쿠아리움을 위한 미디어 전시 콘텐츠 제안: 경포 석호생태관을 중 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3), 116-124, 2016

      47 이혜린, "아웃도어 레크레이션의 자기결정동기화 모형 구축: 바이오필리아 관점에 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8 김미연, 정희경, 유희경, "“외식기업 종업원의 Big 5 성격요인, 조직지 원인식과 고객성과의 관계분석”", 『호텔경영학연구』, 16(5), 201-219, 2007

      49 김명소, 차경호, 김혜원,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 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19-32, 2001

      50 안대희, 전정아, "특급호텔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재방문 및 추천의도간 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 연구』, 19(3), 49-68, 2007

      51 김무한, "건강환경 조성을 위한 주의회복이론 관점의 치유환경 고찰: 청계천을 중 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5,(1), 94-104, 2017

      52 이인혜, "성격, 유쾌한 및 불쾌한 생활경험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 NEO 성격모 델의 적용", 『한국심리학회: 건강』, 2(1), 209-219, 1997

      53 김홍길, 이희천, "아쿠아리움 체험에 따른 만족이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6(6), 89-110, 2014

      54 박혜미, 현성협, "심리적 계약에 대한 고용주의 의무 이행이 직무몰입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0(3), 85-104, 2018

      55 백림정, 한진수, "호텔 이용객의 고객경험이 긍정적 감정, 고객감동,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4(6), 19-39, 2015

      56 김현준, 박슬기, "호텔 직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심리적 계약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5(5), 187-202, 2016

      57 권웅, 박상일, 민들레, "국제스포츠이벤트 관람자의 관람동기, 서비스품질 및 주 관적 웰빙 간의 인과관계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9(1), 1-15, 2014

      58 김남조, 한승훈, 김진옥, "치유관광에서 자연을 통한 감정조절과 지각된 회복환경이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0(8), 47-60, 2016

      59 설은종, 이윤철, "관광스토리텔링 전략이 관광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5(2), 37-61, 2017

      60 김성용, 정승훈, "스포츠센터 고객접점 서비스가 고객만족, 긍정적 감정, 고객몰입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2, 201-216, 2018

      61 김재형, "아웃도어스포츠 참여대학생의 회복환경지각과 회복탄력성,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5), 425-436, 2016

      62 김진옥,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환경이 치유관광객의 주의회복과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 치유의 숲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63 이동환, "직무스트레스의 도전 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와 조직지원인식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8

      64 김진옥, "도시민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연기반 치유회복환경의 회복경험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주의회복이론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2(7), 51-70,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