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도희, "『관광산업론』", 백산출판사, 2016
2 이훈구, "『성격심리학』", 법문사, 1999
3 소냐 류보머스키, "『행복의 정석』", 블룸컴퍼니, 2017
4 서천범, "『2017 레저백서』", 한국레저산업연구소, 2017
5 에드워드 윌슨, "『바이오필리아』", 사이언스북스, 2017
6 양윤, "『소비자심리학』", 학지사, 2008
7 김주영,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비앤엠북스, 2016
8 박세범, 박종오, "년). 『소비자 행동』", 북넷, 2009
9 김웅서, 최승민, "『도심 속 바다 생물』", 지성사, 2011
10 김민혜, 이재열, 남은영,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한국사회학』, 46(5), 1-33, 2012
11 신건권,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청람, 2013
12 이훈영, "연구조사방법론: 2판", 서울: 청람, 2012
13 안광호, "『정서지배 소비자행동』", 학현사, 2011
14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성격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5(1), 169-186, 2009
15 이승훈, 현명호, "회복환경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525-545, 2003
16 박아청, "『성격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교육과학사, 2000
17 이군희, "『사회과학연구방법론: 수정판』", 법문사, 2012
18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2
19 이충기, "『관광조사통계분석: SPSS AMOS 활용』", 대왕사, 2016
20 이승훈, 현명호, "한국판 회복환경지각척도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29-241, 2003
21 소냐 류보머스키, "『How to be happy: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지식노마드, 2009
22 구재선, 김의철, "심리적 특성 생활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18, 2006
23 서은국, "구제선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5(1), 95-113, 2011
24 이승훈, 현명호, "자연환경과 회복환경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비교", 『한국심리학회 지: 건강』, 9(3), 609-632, 2004
25 공병호, "고전강독 3: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진정한 행복을 묻다", 해냄출판사, 2012
26 남궁영, 이희민, "외식가치, 주관적 웰빙, 행동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 학연구』, 26(3), 113-130, 2017
27 김문진, "우리나라 아쿠아리움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5
28 이정순, 전원배, "관광활동,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주관적 웰빙의 관계", 『관광학 연구』, 28(4), 149-172, 2005
29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아산재단 연구총서 48』", 집문당, 1998
30 이기원, "아쿠아리움의 해양생물 전시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고급편』", 서울: 한나래, 2016
32 한장헌,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 회논문지』, 16(7), 587-597, 2016
33 윤재진, 이길형,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 나타나는 바이오필리아 효과 연구", 『커뮤 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55, 124-138, 2016
34 김의준, 하재연, 이창근,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한 여수 아쿠아리움 방문확률의 추정", 『농촌계획』, 16(1), 1-8, 2010
35 김상진, 이종한, "호텔종사원의 개인성격이 직무몰입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식음경영연구』, 22(1), 29-49, 2011
36 조은영, 임정하,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4), 185-210, 2014
37 최연희, "패밀리레스토랑의 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과 행동의도간 연구", 경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8 김진옥, 이충기, "한국형 치유관광의 개념모델 정립 및 치유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31(5), 5-21, 2017
39 서용원, 오선영, "대인갈등이 관계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 감정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4), 663-688, 2015
40 신희웅, 지정훈, "미용실 종사자의 멘토신뢰가 서비스일관성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3), 359-370, 2018
41 윤태환, 전재균, "아쿠아리움 방문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 구", 『관광레저연구』, 17(3), 265-282, 2005
42 임승환, "행동유형론 (대인관계 중심의 성격유형론) 정립을 위한 경 험적 연구", 『한 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4(3), 705-723, 2002
43 박수완, "관광객 유형, 센세이션추구 및 지각된 위험이 모험추구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15(2), 86-104, 2013
44 이정헌, "디지털 가상현실 수족관 <아이큐아리움>의 방문자 체험특성 질적 관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0), 200-213, 2013
45 김무한, "주의회복환경에서 본 형태의 장에 관한 연구: 서울 청계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6 우정권, 유미, "아쿠아리움을 위한 미디어 전시 콘텐츠 제안: 경포 석호생태관을 중 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3), 116-124, 2016
47 이혜린, "아웃도어 레크레이션의 자기결정동기화 모형 구축: 바이오필리아 관점에 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8 김미연, 정희경, 유희경, "“외식기업 종업원의 Big 5 성격요인, 조직지 원인식과 고객성과의 관계분석”", 『호텔경영학연구』, 16(5), 201-219, 2007
49 김명소, 차경호, 김혜원,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 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19-32, 2001
50 안대희, 전정아, "특급호텔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재방문 및 추천의도간 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 연구』, 19(3), 49-68, 2007
51 김무한, "건강환경 조성을 위한 주의회복이론 관점의 치유환경 고찰: 청계천을 중 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5,(1), 94-104, 2017
52 이인혜, "성격, 유쾌한 및 불쾌한 생활경험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 NEO 성격모 델의 적용", 『한국심리학회: 건강』, 2(1), 209-219, 1997
53 김홍길, 이희천, "아쿠아리움 체험에 따른 만족이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6(6), 89-110, 2014
54 박혜미, 현성협, "심리적 계약에 대한 고용주의 의무 이행이 직무몰입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0(3), 85-104, 2018
55 백림정, 한진수, "호텔 이용객의 고객경험이 긍정적 감정, 고객감동,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4(6), 19-39, 2015
56 김현준, 박슬기, "호텔 직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심리적 계약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5(5), 187-202, 2016
57 권웅, 박상일, 민들레, "국제스포츠이벤트 관람자의 관람동기, 서비스품질 및 주 관적 웰빙 간의 인과관계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9(1), 1-15, 2014
58 김남조, 한승훈, 김진옥, "치유관광에서 자연을 통한 감정조절과 지각된 회복환경이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0(8), 47-60, 2016
59 설은종, 이윤철, "관광스토리텔링 전략이 관광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5(2), 37-61, 2017
60 김성용, 정승훈, "스포츠센터 고객접점 서비스가 고객만족, 긍정적 감정, 고객몰입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2, 201-216, 2018
61 김재형, "아웃도어스포츠 참여대학생의 회복환경지각과 회복탄력성,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5), 425-436, 2016
62 김진옥,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환경이 치유관광객의 주의회복과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 치유의 숲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63 이동환, "직무스트레스의 도전 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와 조직지원인식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8
64 김진옥, "도시민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연기반 치유회복환경의 회복경험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주의회복이론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2(7), 51-7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