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예비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sponsive interaction teaching on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play beliefs and play teaching 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48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교육은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2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D대학교 4학년 재학생들이었다. 총 12명을 표집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정했다. 실험집단은 사전교육을 포함한 이론교육과 20분의 유아와의 놀이 비디오 촬영 및 이후 피드백 과정과 면담을 진행했다. 본 교육과정 시작 전과 종료 직후에 놀이신념 척도와 놀이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각각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고, 연구 변인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의 Wilcoxon 부호-서열 검정을 실시했다. 예비보육교사와의 면담내용은 내용분석을 통해 제시했다. 분석결과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놀이신념은 사전-사후 결과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놀이교수효능감은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니 하위요인인 놀이교수효능신념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면담을 통해서는 아동 주도 놀이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으며 아동과의 놀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진술했다. 이는 예비보육교사들이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을 통해 영유아의 놀이에 긍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믿음이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즉,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아동주도 놀이의 이해와 효과적 참여 나아가 놀이교수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본 연구는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예비보육교사에게 아동주도의 놀이 및 효과적인 놀이참여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교육은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26...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교육은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2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D대학교 4학년 재학생들이었다. 총 12명을 표집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정했다. 실험집단은 사전교육을 포함한 이론교육과 20분의 유아와의 놀이 비디오 촬영 및 이후 피드백 과정과 면담을 진행했다. 본 교육과정 시작 전과 종료 직후에 놀이신념 척도와 놀이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각각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고, 연구 변인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의 Wilcoxon 부호-서열 검정을 실시했다. 예비보육교사와의 면담내용은 내용분석을 통해 제시했다. 분석결과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놀이신념은 사전-사후 결과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놀이교수효능감은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니 하위요인인 놀이교수효능신념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면담을 통해서는 아동 주도 놀이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으며 아동과의 놀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진술했다. 이는 예비보육교사들이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을 통해 영유아의 놀이에 긍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믿음이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즉,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아동주도 놀이의 이해와 효과적 참여 나아가 놀이교수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본 연구는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예비보육교사에게 아동주도의 놀이 및 효과적인 놀이참여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제4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23~’27) 수립 공청회"

      2 이성희,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는 어릴 적 놀이경험과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 신은수 ; 유영의 ; 박현경,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49-69, 2004

      4 고미영,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6

      5 임수진 ; 여은진 ; 이혜원,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01-318, 2013

      6 김정미 ; 정빛나, "영유아 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51-170, 2016

      7 육아정책연구소,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8 서지은 ; 이선미, "영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29-150, 2014

      9 김현지 ; 조복희,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221-1235, 2009

      10 김정미,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특성이 발달장애 아동의 포괄적 발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25-42, 2004

      1 보건복지부, "제4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23~’27) 수립 공청회"

      2 이성희,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는 어릴 적 놀이경험과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 신은수 ; 유영의 ; 박현경,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49-69, 2004

      4 고미영,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6

      5 임수진 ; 여은진 ; 이혜원,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01-318, 2013

      6 김정미 ; 정빛나, "영유아 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51-170, 2016

      7 육아정책연구소,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8 서지은 ; 이선미, "영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29-150, 2014

      9 김현지 ; 조복희,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221-1235, 2009

      10 김정미,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특성이 발달장애 아동의 포괄적 발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25-42, 2004

      11 유미 ; 유미숙,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1 (11): 53-63, 2008

      12 박선경,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놀이개입행동"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4

      13 김정미, "부모와 교사를 위한 반응성 교수 교육과정" 학지사 2008

      14 김정미, "부모-아동 반응성 상호작용과 아동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리산 국립공원 한화리조트 80-81, 2005

      15 최윤경, "보육교직원 보수교육기관 선정 기준 및 운영에 관한 연구" 36 : 1-150, 2014

      16 최예원 ; 조규판,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11-125, 2019

      17 서현진,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18 김명순, "보육교사의 놀이 신념과 자유놀이 참여시간의 관계" 222-, 2013

      19 김송이, "보육교사의 경력 및 소진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481-499, 2015

      20 박형신 ; 김정주, "보육교사가 인식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21-135, 2011

      21 정윤정,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이수교과목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22 이지효, "반응성 상호작용 교수(RT) 보육교사 교육이 교수효능감 및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3 : 97-109, 2020

      23 엄미리, "반응성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 훈련이 교사 주도행동과 발달지체 유아의 중심축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서대학교 보육대학원 2013

      24 김정효, "몽골 유치원의 자유놀이 양상과 교사의 놀이신념 : 자유놀이 시간 및 교사의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5 신은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20 (20): 27-42, 2000

      26 Johnson J, E., "놀이, 발달, 유아교육" 아카데미프레스 2006

      27 김정미, "놀이 상호작용 관찰 평가를 위한 부모-아동 상호작용 행동평가" 학지사 2020

      28 길현주 ; 김수영, "교사의 수용적․반응적 태도 및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39-52, 2014

      29 송영선, "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에 따른 영아의 사회·인지 놀이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30 권혜진,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175-200, 2013

      31 박은영,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수 행동 및 유아 놀이행동의 차이"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2 최선희 ; 황혜정,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0 (10): 1-18, 2011

      33 이윤경 ; 김여경, "교사-아동 상호작용 유형과 영,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55-73, 2004

      34 조재영, "‘명확성의 원칙’에서 바라본 ‘방송광고심의에 관한 규정’ 사후심의 결과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15 (15): 351-386, 2013

      35 Riggs, L. M.,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74 (74): 625-637, 1990

      36 Downer, J.,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Toward a theory of within-and cross-domain links to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21 (21): 699-723, 2010

      37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38 김용대, "SPSS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2019

      39 Mahoney, G., "Responsive teaching: Parent-mediated developmental intervention" Brooks Publishing 2005

      40 Mahoney, G., "Maternal communication style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92 (92): 352-359, 1988

      41 Hamre, B.,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 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85 (85): 1257-1274, 2014

      42 Stipek, D. J.,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Do theypractice what they preach?" 12 : 305-325, 1997

      43 De Kruif, R. E., "Classification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15 (15): 247-268, 2000

      44 Weber, R. P, "Basic content analysis" Sage 1985

      45 Mahoney, G., "Autism and developmental delays in young children: The Responsive Teaching curriculum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PRO-ED 2007

      46 Fogle, L.,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frican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21 (21): 507-518, 2006

      47 Spodek. B., "A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 Preschool teachers"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