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후기 화단에 관한 연구 : 강희언(姜熙彦)과 강세황(姜世晃)을 중심으로 = Study on painting circle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 focusing on Hee-Eon KANG and Se-Hwang K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895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술사상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온 조선후기 회화의 대한 논의로, 당시의 대표적인 작가 담졸(淡拙) 강희언(姜熙彦)과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을 비교 분석하면서 당...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술사상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온 조선후기 회화의 대한 논의로, 당시의 대표적인 작가 담졸(淡拙) 강희언(姜熙彦)과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을 비교 분석하면서 당시대의 양식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시대의 회화는 조선초기와 중기의 전통을 토대로 하고 새로이 전래된 명, 청대 중국회화를 섭렵하여서 당시에 풍미하였던 자아의식을 발현하여 새로운 화풍을 형성하였던 것으로 믿어진다. 이렇게 발전된 당시 회화의 대체적인 경향은 강세황의 의한 남종화이 본격적인 유행, 강희언의 남종화법을 수용하여 한국의 실경을 그린 한국적 진경산수화의 풍미, 투시도법과 음영법, 원근법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화법을 사용한 그 들의 산수화의 독자적인 화풍을 이루었다.
      이 두사람은 이후 19세기 활발히 활동한 중인여기화가들의 앞선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므로 이들의 회화는 조선후기 회화사 흐름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특히 서양화법을 수용하여 개성있는 화풍을 이루었던 것은 후기 화단에서 서양화법의 수용면을 보여주며, 이것은 그들의 회화의 의의를 더욱 부각시켜 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후기화단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전 연구들을 통해 다루워진 내용과 화원출신인 강희언과 비화원인 강세황의 작품세계를 비교 분석하면서 각자의 개성과 시대적 요인이 작품의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고 나아가 조선시대 후기 회화의 양식 형성과 그 특징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painting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which brought epochal changes on Korea’s art history, and it looks into modal features of those days while comparatively analyzing representative artists, Damjol Hee-Eon KANG and...

      This study discusses painting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which brought epochal changes on Korea’s art history, and it looks into modal features of those days while comparatively analyzing representative artists, Damjol Hee-Eon KANG and Pyoam Se-Hwang KANG.
      It is believed that paintings of those days were based on tradition of early and middle stage of Chosun dynasty and ranged over newly introduced Chinese paintings of the Ming and the Qing dynasties. And they formed a new style of painting by revealing those days’ overwhelming self-consciousness. Overall trend of those days’ paintings includes popularity of the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by Se-Hwang KANG, and predominance of Korean real landscape painting, which accepted Hee-Eon KANG’s methodology of the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These two artists who used methodology of western painting which was characterized by perspective and shade, formed independent style of painting.
      Paintings of these two artists help us to understand the trend of painting history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since they performed pioneer role of middle class hobby artists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19^(th) century.
      Particularly the fact that they formed their own style by accepting the methodology of the western paintings shows how methodology of the western paintings was accepted by Korean art circle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nd this brought out meaning of their paintings.
      In this study, therefore, I will comparatively analyzing content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works of Hee-Eon KANG who was a public artist and Se-Hwang KANG who was not a public artist to help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painting circle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In addition, I will explain that individuality of each artist and factors of the days are the important factors to lead the changes of the works and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style and the features of the painting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抄錄
      • Ⅰ. 序 論 = 1
      • Ⅱ. 조선후기 화단의 흐름과 특징 = 3
      • 1. 시대적 배경 = 3
      • 2. 화단의 흐름 = 7
      • 國文抄錄
      • Ⅰ. 序 論 = 1
      • Ⅱ. 조선후기 화단의 흐름과 특징 = 3
      • 1. 시대적 배경 = 3
      • 2. 화단의 흐름 = 7
      • Ⅲ. 강희언과 강세황의 작품세계 = 10
      • 1. 담졸(淡拙) 강희언(姜熙彦) = 11
      • 1) 姜熙彦의 생애 = 11
      • 2) 姜熙彦의 양식적 특징 = 15
      • 2. 표암(豹菴)강세황(姜世晃) = 21
      • 1) 姜世晃의 생애 = 21
      • 2) 姜世晃의 양식적 특징 = 25
      • Ⅳ. 姜熙彦과姜世晃 山水畵에 나타난 서양화법(작품을중심으로) = 32
      • Ⅴ. 結論 = 39
      • 參考文獻 = 41
      • 도판 = 43
      • ABSTRACT = 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