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항산화성 비타민 보충 급여가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 -SOD활성도,과산화지질 및 항산화 비타민을 중심으로 =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on Antioxidant System in Smokers and Non-smokers:SOD Activity, TBARS and Antioxidant Vitami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487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식행동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실태와 항산화 영양상태를 비교 조사하고, 항산화 비타민 보충급여가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자대학생 흡연자 30명, 비흡연자 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항산화 비타민 보충 급여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흡연자를 비타민 C 보충군, 비타민 E 보충군, 비타민 C와 E 병합 보충군으로, 비흡연자를 비타민 C 보충군, 비타민 E 보충군, 비타민 C와 E 병합 보충군으로 각 군별 10명씩 나누어 4주간 보충 급여하였다. 비타민 급여량은 비타민 C 500mg, 비타민 E 400IU이었다.
      신체계측 및 설문지를 통한 식행동, 맛에 대한 기호도, 흡연양상 및 흡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항산화 비타민 섭취수준은 식품섭취 빈도조사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항산화 영양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항산화 비타민 보충 전, 후로 혈액을 채취하여 methemoglobin, TBARS, SOD 활성도 및 혈장 비타민 C와 E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수면시간과 운동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커피와 알코올을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아(p<0.01) 흡연 이외 부가적인 요인에 의한 건강상의 위협을 받고있는 것으로 보였다. 흡연에 대한 인식을 벼교해 본 결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는데(p<0.001),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의 장점을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흡연의 단점은 덜 느껴 흡연에 동의하는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 비타민의 섭취량을 비교해 본 결과 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반면, 혈장의 비타민 C 농도는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압은 흡연자에게서 높았으며(p<0.05), 혈당, methemoglpbin, TBARS는 차이가 없었고, SOD 활성도는 비흡연자에게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항산화 비타민 보충 급여 효과로는 흡연자의 비타민 C 보충군에서 수축기 혈압(p<0.01), 이완기 혈압(p<0.001), methemoglobin(p<0.001)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비타민 E 보충군에서는 수축기 혈압(p<0.05), 이완기 혈압(p<0.05), 혈당(p<0.05), methemoglobin(p<0.001), TBARS(p<0.05)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 SOD 활성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비타민 C와 E 병합 보충군에서는 이완기 혈압(p<0.05), methemoglobin(p<0.01), TBARS(p<0.05)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비흡연자의 경우 비타민 C, 비타민 E 보충군에서 methemoglobin이 감소하였고(p<0.001), 비타민 C와 E 병합보충군에서는 수축기 혈압(p<0.05), methemoglobin(p<0.01), TBARS(p<0.05)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항산화 비타민 보충급여의 효과는 흡연군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자에게 비타민 C와 E를 보충했을 경우 흡연으로 인한 인체의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여러 가지 질병의 발생의 위험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식행동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실태와 항산화 영양상태를 비교 조사하고, 항산화 비타민 보충급여가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연구는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식행동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실태와 항산화 영양상태를 비교 조사하고, 항산화 비타민 보충급여가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자대학생 흡연자 30명, 비흡연자 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항산화 비타민 보충 급여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흡연자를 비타민 C 보충군, 비타민 E 보충군, 비타민 C와 E 병합 보충군으로, 비흡연자를 비타민 C 보충군, 비타민 E 보충군, 비타민 C와 E 병합 보충군으로 각 군별 10명씩 나누어 4주간 보충 급여하였다. 비타민 급여량은 비타민 C 500mg, 비타민 E 400IU이었다.
      신체계측 및 설문지를 통한 식행동, 맛에 대한 기호도, 흡연양상 및 흡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항산화 비타민 섭취수준은 식품섭취 빈도조사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항산화 영양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항산화 비타민 보충 전, 후로 혈액을 채취하여 methemoglobin, TBARS, SOD 활성도 및 혈장 비타민 C와 E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수면시간과 운동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커피와 알코올을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아(p<0.01) 흡연 이외 부가적인 요인에 의한 건강상의 위협을 받고있는 것으로 보였다. 흡연에 대한 인식을 벼교해 본 결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는데(p<0.001),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의 장점을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흡연의 단점은 덜 느껴 흡연에 동의하는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 비타민의 섭취량을 비교해 본 결과 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반면, 혈장의 비타민 C 농도는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압은 흡연자에게서 높았으며(p<0.05), 혈당, methemoglpbin, TBARS는 차이가 없었고, SOD 활성도는 비흡연자에게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항산화 비타민 보충 급여 효과로는 흡연자의 비타민 C 보충군에서 수축기 혈압(p<0.01), 이완기 혈압(p<0.001), methemoglobin(p<0.001)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비타민 E 보충군에서는 수축기 혈압(p<0.05), 이완기 혈압(p<0.05), 혈당(p<0.05), methemoglobin(p<0.001), TBARS(p<0.05)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 SOD 활성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비타민 C와 E 병합 보충군에서는 이완기 혈압(p<0.05), methemoglobin(p<0.01), TBARS(p<0.05)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비흡연자의 경우 비타민 C, 비타민 E 보충군에서 methemoglobin이 감소하였고(p<0.001), 비타민 C와 E 병합보충군에서는 수축기 혈압(p<0.05), methemoglobin(p<0.01), TBARS(p<0.05)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항산화 비타민 보충급여의 효과는 흡연군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자에게 비타민 C와 E를 보충했을 경우 흡연으로 인한 인체의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여러 가지 질병의 발생의 위험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dietary behaviors,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and the blood antioxidant statu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nd to examine whether antioxidant status improves after the supplementary intakes of vitamin C and E in college male students.
      Dietary behaviors and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ries and antioxidant vitamins intake was determined by a food frequency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on blood antioxidant status, methemoglobin, TBARS, SOD activity, and plasma vitamin C and vitamin E levels were analyzed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each of which was vitamin C supplementation group(n: smokers=10, non-smokers=10), vitamin E supplementation group(n: smokers=10, non-smokers=10),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n: smokers=10, non-smokers=10), respectively.
      Vitamin C supplementation groups were consumed at 500mg of ascorbic acid, vitamin E supplementation groups were consumed at 4001U of D- α -tocopherol, and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s were consumed at 500mg of ascorbic acid and 4001U of D- a -tocopherol by each groups for 4 weeks. Supplementation period was from November 2, 2000 to November 30, 2000.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2.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behaviors. However, smokers tended to drink more coffee and alcohol than non- smokers (P<0.01).
      3. Comparison of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he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of smok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non- smokers (p<0.001).
      Compared with non-smokers, smok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on advantage of smoking, while they felt less negatively on disadvantage of smoking.
      4. Antioxidant vitamins intake and plasma antioxidant vitamins level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lthough antioxidant vitamins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plasma level of vitamin C of smo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 smokers (p<0.05). However, plasma level of vitamin 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5. Th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in smokers:
      Plasma vitamin C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vitamin C and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s and plasma vitamin 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vitamin E and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s.
      Blood pressure and methemoglob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ll vitamin supplementation groups and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vitamin E supplementation group.
      6. Th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in non-smokers:
      In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ethemoglob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ll vitamin supplementation groups.
      7.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ochemical variables of subjects before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ed:
      Plasma vitamin C level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BP(p<0.05). TBA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BP(p<0.05). SB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BP(p<0.001). Blood glucose level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methemoglobin(p<0.001).
      8.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ochemical variables of subjects after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ed:
      Plasma vitamin C level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BP(p<0.001) and DBP(p<0.05). SB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BP(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in smokers had a tendency to decrease disease risk due to smoking by improving of antioxidant status. Therefor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requirement of antioxidant nutrients for smokers should be elevated compared to that of non-smok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dietary behaviors,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and the blood antioxidant statu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nd to examine whether antioxidant status improves after the supplementary inta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dietary behaviors,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and the blood antioxidant statu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nd to examine whether antioxidant status improves after the supplementary intakes of vitamin C and E in college male students.
      Dietary behaviors and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ries and antioxidant vitamins intake was determined by a food frequency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on blood antioxidant status, methemoglobin, TBARS, SOD activity, and plasma vitamin C and vitamin E levels were analyzed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each of which was vitamin C supplementation group(n: smokers=10, non-smokers=10), vitamin E supplementation group(n: smokers=10, non-smokers=10),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n: smokers=10, non-smokers=10), respectively.
      Vitamin C supplementation groups were consumed at 500mg of ascorbic acid, vitamin E supplementation groups were consumed at 4001U of D- α -tocopherol, and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s were consumed at 500mg of ascorbic acid and 4001U of D- a -tocopherol by each groups for 4 weeks. Supplementation period was from November 2, 2000 to November 30, 2000.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2.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behaviors. However, smokers tended to drink more coffee and alcohol than non- smokers (P<0.01).
      3. Comparison of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he attitudinal beliefs regarding smoking of smok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non- smokers (p<0.001).
      Compared with non-smokers, smok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on advantage of smoking, while they felt less negatively on disadvantage of smoking.
      4. Antioxidant vitamins intake and plasma antioxidant vitamins level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lthough antioxidant vitamins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plasma level of vitamin C of smo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 smokers (p<0.05). However, plasma level of vitamin 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5. Th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in smokers:
      Plasma vitamin C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vitamin C and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s and plasma vitamin 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vitamin E and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s.
      Blood pressure and methemoglob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ll vitamin supplementation groups and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vitamin E supplementation group.
      6. Th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in non-smokers:
      In vitamin C+E supplementation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ethemoglob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ll vitamin supplementation groups.
      7.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ochemical variables of subjects before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ed:
      Plasma vitamin C level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BP(p<0.05). TBA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BP(p<0.05). SB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BP(p<0.001). Blood glucose level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methemoglobin(p<0.001).
      8.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ochemical variables of subjects after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ed:
      Plasma vitamin C level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BP(p<0.001) and DBP(p<0.05). SB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BP(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tioxidant vitamins supplementation in smokers had a tendency to decrease disease risk due to smoking by improving of antioxidant status. Therefor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requirement of antioxidant nutrients for smokers should be elevated compared to that of non-smo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List of Tables = i
      • 국문초록 = iii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연구방법 = 7
      • 목차
      • List of Tables = i
      • 국문초록 = iii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연구방법 = 7
      • 제1절 연구대상 및 기간 = 7
      • 제2절 설문조사 내용 및 방법 = 7
      • 1. 일반사항, 건강 및 운동사항 조사 = 7
      • 2. 흡연에 대한 인식 및 식행동 조사 = 7
      • 3. 항산화 비타민 섭취빈도 조사 = 8
      • 제3절 신체계측 및 혈압, 혈당 측정 = 8
      • 제4절 생화학적 분석 = 9
      • 1. 채혈 및 혈장 분리 = 9
      • 2. Methemoglobin 분석 = 9
      • 3. 혈장 과산화지질(TBARS) 농도 측정 = 9
      • 4. 혈장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도 측정 = 10
      • 5. 혈장 비타민 C 농도 측정 = 10
      • 6. 혈장 비타민 E 농도 측정 = 11
      • 제5절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 12
      • 제3장 결과 및 고찰 = 13
      • 제1절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비교 연구 = 13
      • 1. 신체사항 및 일반사항 = 13
      • 2. 식행동 및 기호도 = 18
      • 3. 흡연양상 및 흡연에 대한 인식 = 22
      • 4.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 = 26
      • 5. 혈압, 혈당, methemoglobin, TBARS, SOD 활성도 = 27
      • 6. 혈장 비타민 C와 비타민 E 농도 = 29
      • 7. 신체계측치와 생화학적 성분간의 상관관계 = 31
      • 제2절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항산화 비타민 보충급여 효과 = 32
      • 1. 혈압, 혈당, methemoglobin, TBARS, SOD 활성도 = 32
      • 2. 혈장 비타민 C와 비타민 E 농도 = 36
      • 3. 항산화 비타민 보충전 생화학적 성분간 상관관계 = 38
      • 4. 항산화 비타민 보충후 생화학적 성분간 상관관계 = 39
      • 제4장 결론 = 41
      • 참고문헌 = 44
      • Abstract =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