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상생활의 생의료화와 한의학의 주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62725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북대학교 대학원 , 문화인류학과 , 2016.8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89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xi, 340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 310-325

      • 소장기관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marginalized, even if the market with products embodied in the imag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in rec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marginalized, even if the market with products embodied in the imag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in recent years.
      The perception of holism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getting weak these days. There are two typical examples demonstrating this phenomenon. Firstly, people tend to conside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 restorative, not as a medical treatment to cure your entire body. Secondly, the treatmen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by using acupuncture seems to focus on curing muscular skeletal disease in general.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recognized as medicine, which involves in curing some part of your body, instead of being perceived holistic medicine.
      The discourse of the unification of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has been consistently discussed in the medical field. Most of them were done unilaterally by the western medicine. The regulation of a herbalist would be a typical example showing this kind of medical unification which is done by one specific side.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struggling to build its own identity by doing comparison with Biomedicine. The discourse of 'ethnic group' might be a typical case of explaining the unification between two sides. Due to the process of setting up identity,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mentioned and discussed in the relation with Western Medical in the social context, even though it is a independent medical method. As a result, it would be one of the elements to interrupt the unification of West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The discourse of Medical Unification has been inherent in the issue whether you use a medical appliance or not. Even though the number of the medical treatment consumers and the health care providers has been increasing at the recent years, it seems less possible for Medical Unification successful at the moment. However, Medical Unification which was enforced by some certain power has occurred in some specific areas, and it has been mainly done by Western Medicine.
      In general, the concept of disease might reflect the people's perceptions on medical system. Therefore, it would be unavoidable for any severe competitions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al. However, most of disease has been understood and explained in the Western Medical context. This phenomenon can tell you that the common concept of disease in society and the people's perceptions on medical system have been influenced by the Western Medical more than other sides. The discourse of chronic disease marginalize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and played a pivotal role to enhance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medical on the perceived medical system and the concept of disease in society.
      Medicalization and Biomedicalization are significant theories to examine and illustrate the Margin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Medicalization represents that the Western Medicine became widespread in the recent past. Moreover, Biomedicalization indicates that some changes in quality occurred within the extended area made by Medicalization. In other words, Margin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describes that people's daily lives have been transformed to Biomedicalization in general.
      In terms of Medicalization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there are three key interactive progresses including the discourse of universal medical treatment, a medical check-up, and National Insurance System. The meaning of 'universal medical' is the medical transaction that people in need of medical services would feel little or no hesitance for choosing it. The choices of consumers of medical treatment would be influenced by the side that could gain a competitive edge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In the process of Medicalization, the supply can create the demand. By providing medical services based on the specialized knowledge, new medical customers can be produced. The Western Medicine-centered Medicalization has taken shape in all aspects of our daily lives in the systematic context. For instance, there are a medical check-up and National Insurance System. The former would play a role as a so-called 'gate' to enter the Medicalization, and the latter would keep it in the sustainable way. It is because the process of Medicalization has been mainly done by the Western Medical, the ar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seems to become smaller and smaller compared to the past.
      Medicalization could be a significant method to extend the area of medical services. Western Medicine,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and Health Functional Food would compete each other for extending the territory by doing Medicalization. However, the Medicalization on going at the current moment seems to be mostly done by Western Medicine. This means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alienated from the process of the Medicalization.
      Biomedicalization could depict more clearly the reason why Margin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than Medicalization. It is because that in the process of Margin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Biomedicalization has appeared with Medicalization together at one time. Biomedicalization shows some specific festures including Neoliberalism, Identity of Technology and Science, the subjectivation of the group of patients and life and capital, which can cause any changes within the medical system.
      There are key four features showing up in the process of Margin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Neoliberalism (Personalization embodied in the discourse of financial issues, Reconstitution of the medical system made by commercial Corporatization); Professionalism of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Standardization working as a tool for implementing subjectivation; Scientification that could form the foundation of economy of life and capital.
      Biomedicalization could be understood as Neoliberalism in the medical treatment fields. In the context of Biomedicalization, it is common to gain profits by doing Personalization and Corporatization. Biomedicalization seems to create individuals embodied with the discourse of economy by combining with Biomedicalization. Furthermore, it could realign the system of medical treatment through commercial Corporatization. Margin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tend to be triggered by that the perceptions of individuals transfer to another such as Biomedicalization. It is because that people could seek a profit by doing Commercialization in Neoliberalism, the medical fields that cannot make money would fall behind the others. It means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in the way of Marginalization because it has a different direction from Corporatization
      Visibility plays a critical role in Biomedicalization. The medical development in technology and science has encouraged the expansion of vi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diagnosing equipments seem to make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to lose the image of doing treatment and diagnosis. This can tell you that people would consid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as professionalism by that our daily life is in Biomedicalization.
      Standardization would be an accurate gauge of when individuals adopt medical treatments. It is quite common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not standardized. The subjected-group of patients might produce a new criteria. Standardization which is need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field would be affected by whether conative medical customers can create a new criteria or not.
      Scientification could support the economy of life and capital in Biomedicalization. The medicine could develop through doing scientification based on Biomedicalization. Considering this situati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is behind Western Medicine.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is surrounded by the medical environment, which any medical areas would go downhill without the investment of companies in the financial way.
      Health Functional Food would be a typical example of Biomedicalization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The people's negative perceptions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ve been caused by the discourse of sid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and providing materials for herbal medicine from China. People would consider Health Functional Food as a similar one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when the negative awareness about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exists. People feeling a sense of incompatibility towards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can represent the following issues; the trends that Medicine seems to be recognized as products; they do not trust the Commercialization relate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edical goods.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seem to be isolated in terms of the disease treatment. However, the trend of commercialization by utilizing the imag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widespread at the moment. Recent research says that people would go for Viagra and red ginsengs instead of consuming herbal medicine, and it means that Commercialization of medicine has been appearing based on Biomedicalization. In contrast with that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has been declining, the products with imag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and you can be assure of 'the high level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which provide a certain positive image
      It is a quite common perception that herbal medicine is expensive. Even though the herbal medicine is one of medical supplies, it would be less competitive with Health Functional Food in term of its price. To say another words, the typical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would be perceived as one of goods based on Biomedicalizatio.
      In conclusion, the decline of consumption rat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does not necessary means that people buy read ginsengs instead of. Scientification, Standardization and the discourse of Biomedicalization embodied in Commercialization have caused the decrease of the consumption of the herbal medicine. In the future, if another product that contains the meaning and symbol of Biomedicalization appear in your daily life, red ginsengs will be replaced by it.

      Key word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rginalization, Medicalization, Biomedicalization, Neolibera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6
      • 1) 전통의학에 대한 연구 6
      • 2) 의료화에 대한 연구 8
      • 제 1장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6
      • 1) 전통의학에 대한 연구 6
      • 2) 의료화에 대한 연구 8
      • 3) 생의료화에 관한 연구 11
      • 4) 신자유주의와 생의료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18
      • 5) 생의료화를 뒷받침하는 의료의 과학화, 표준화, 상품화 21
      • 3. 현지연구과정 25
      • 1) 연구동기 25
      • 2) 연구 대상과 방법 30
      • 제 2장 전체론적 의학에서 부분의학으로 45
      • 1. 한방에 대한 전통적 대중 담론 46
      • 1) 문화적 의미가 내재된 한방 46
      • 2. 한방의 부분의학 담론으로의 전환 56
      • 1) 한약을 보약으로 인식 56
      • 2) 침 맞는 장소인 한의원 67
      • 제 3장 양방 중심의 의료체계와 질병관 구축 74
      • 1. 의료 일원화 관점에서 본 양방 중심의 의료체계 구축 74
      • 1) 양방과 대립적인 한방의 정체성 형성 75
      • 2) 한방 내부 갈등 속에서 발견되는 의료일원화의 맥락 81
      • 3) 양방 중심의 강제적 의료일원화 90
      • 2. 양방적 질병관의 확산 99
      • 1) 긴급성으로 의료를 판단하는 인식 100
      • 2) 만성질환 담론 110
      • 제 4장 양방 중심의 의료영역을 확대하는 의료화 125
      • 1. 보편적 진료와 한방 126
      • 2. 제도적으로 추구되는 의료화 135
      • 1) 건강검진으로 시작되는 제도적 차원의 의료화 135
      • 2) 보험화로 지속 유지되는 제도적 차원의 의료화 143
      • 3) 첩약 및 한방과립제의 의료 보험 159
      • 3. 의료화의 주체가 되기 위한 경쟁과 한방 167
      • 제 5장 생의료화에 기인한 의료 내부의 질적 변화와 한방 185
      • 1. 의료영역에서 관찰되는 신자유주의적 흐름과 한방 185
      • 1) 경제담론이 내재화된 개인화 185
      • 2) 영리 위주의 기업화에 따른 의료질서 재편 194
      • 2. 의료의 기술과학적 발전에 기초한 전문성 206
      • 1) 가시성을 토대로 한 전문성 206
      • 2) 세분화로 위장된 전문성 220
      • 3. 주체화의 도구로 이용되는 표준화 -한의원은 가는 곳 마다 처방이 다르다 228
      • 4. 생명자본경제를 뒷받침하는 과학화 239
      • 제 6장 생의료화에 기반한 건강기능식품 259
      • 1. 상품화 관점에서 본 한약 담론 259
      • 1) 한약 부작용 담론 260
      • 2) 중국산 한약재 사용 265
      • 2. 이미지 제공자로서의 한방 273
      • 3. 건강기능식품과 한방의 가격경쟁력 비교 279
      • 4. 생의료화를 통한 상품화의 상징 홍삼 287
      • 제 7장 요약 및 결론 299
      • 1. 요약 299
      • 2. 논문 이후 306
      • 참고문헌 310
      • 부록 32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투데이, "(www", etoday.co.kr)년 8월 6일자 기사참조, 2013

      2 김성수, 이현숙, 여인석, 신규환, 박윤형, 박윤재, "『한국의학사』", 서울: 의료정책연구소, 2012

      3 이수훈, "『세계 체제론』", 나남, 서울:나남, 1993

      4 한광희, "”비만의 생의료화“",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집문당, 파주:집문당, 2006

      6 백승욱, "『자본주의 역사강의』", 서울:그린비, 2006

      7 송기호, "《맛있는 식품법 혁명》", 김영사, 파주:김영사, 2010

      8 주은선, "신자유주의 시대의 연금개혁",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84:70-107 318 일상생활의 생의료화와 한의학의 주변화, 2009

      9 송백석(Baekseok Song), "신자유주의 지구화담론 비판",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43(1):188-219, 2009

      10 최희경, "한국의 의료갈등과 의료정책", 서울:지식산업사, 2007

      1 이투데이, "(www", etoday.co.kr)년 8월 6일자 기사참조, 2013

      2 김성수, 이현숙, 여인석, 신규환, 박윤형, 박윤재, "『한국의학사』", 서울: 의료정책연구소, 2012

      3 이수훈, "『세계 체제론』", 나남, 서울:나남, 1993

      4 한광희, "”비만의 생의료화“",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집문당, 파주:집문당, 2006

      6 백승욱, "『자본주의 역사강의』", 서울:그린비, 2006

      7 송기호, "《맛있는 식품법 혁명》", 김영사, 파주:김영사, 2010

      8 주은선, "신자유주의 시대의 연금개혁",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84:70-107 318 일상생활의 생의료화와 한의학의 주변화, 2009

      9 송백석(Baekseok Song), "신자유주의 지구화담론 비판",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43(1):188-219, 2009

      10 최희경, "한국의 의료갈등과 의료정책", 서울:지식산업사, 2007

      11 박길성, "한국사회의 갈등 지형과 경향",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한국사회』,9(1):5~30, 2008

      12 이옥순, "“19세기 식민지 인도의 위생”", 한국사회역사학회, 『담론 201』,9(1),35-62, 2006

      13 김종명, "『의료보험 절대로 들지 마라』", 이아소, 서울:도서출판 이아소, 2012

      14 지주형,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책세상, 서울:책세상, 2011

      15 서홍관, "“정기건강검진의 역사적 변화”", 대한의사학회, 『의사학』,8(1):90-101, 1999

      16 이현지, "『동아시아 전통의학의 현대화』", 한국학술정보, 파주:한국학술정보, 2008

      17 최종덕, "“의료 일원화 논쟁의 관점 찾기”", 『한국 의료 대논쟁』이종찬 외 지음,서울:소나무, 2000

      18 박윤재, "“일제의 한의학 정책과 조선지배”", 대한의사학회, 『의사학』,17(1):75-86 참고문헌 313, 2008

      19 강신익, "“한국인의 몸을 통해 본 동서의학”", 대한의사학회, 『의사학』,13(2):315-334 ,2007,『몸의 역사 몸의 문화』,서울:휴머니스트, 2004

      20 조태제, "건강기능식품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정책학회, 『법과 정책연구』,9(1): 9~35, 2009

      21 홍태영, "”푸코의 자유주의적 통치성과 정치“",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46(2): 51-70, 2012

      22 이영자, "「신자유주의 시대의 문화 자본주의」",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상과 인식』,36(4): 83~116, 2012

      23 정호근, 조국훈, "“약용작물의 수급 동향과 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농정포커 스』제25호,서울: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24 신동원, "『호환 마마 천연두-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파주:돌베개, 2013

      25 신창건, "경성제국대학에 있어서 한약연구의 성립",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76: 105-139, 2007

      26 박경용, "“한약업사의 지위 공인과 태생적 강제”", 역사문화학회, 『지방사와 지방문 화』,10(1):461-511, 2007

      27 김근령, 정명진, 윤지영, 윤성근, 김수민, "『한방산업육성을 위한 실태조 사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

      28 박재영, "『개념의료:왜 병원에만 가면 화가 날까』", 청년의사, 서울:청년의사, 2013

      29 윤찬영, "“사회복지법에 나타난 신자유주의 경향”",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상황과 복지』,12(9): 279-301, 2002

      30 이영희, "“전문성의 정치와 사회운동-의미와 유형”",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3: 13~41, 2012

      31 강미라, "몸 주체 권력: 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이학사, 서울:이학사, 2011

      32 김환석, "“생명정치의 사회과학,어떻게 할 것인가?”",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3: 13-38, 2013

      33 박혜경, "“우울증의 ‘생의학적 의료화’형성 과정”", 『과학기술연구』, 12(2):117-157, 2012

      34 백승욱, 이지원, "「한국에서 생명보험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 학』,46(2):88-122, 2012

      35 나선삼, "“한의학은 철학이고,서양의학은 과학인가?”", 한국의철학회, 『의철학연구』,6: 35-53, 2008

      36 박석준, "“한의학의 몸-[황제내경]의 몸에 대한 이해”", 『의철학연구』,2: 35-54, 2006

      37 조주현, "”생명정치,벌거벗은 생명,페미니스트 윤리“",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24(4):35-64, 2008

      38 박현수, 변성수, 백인립, "“민간의료보험의 가입요인과 의료이용행태”",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12(7):295-305, 2012

      39 황병주, "”1970년대 의료보험 정책의 변화와 복지담론“", 대한의사학회, 『의사학』,20(2): 425-462, 2011

      40 박형신, "먹거리 불안 파동의 발생 메커니즘과 감정동학",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 구』,33(2):161-193, 2010

      41 강선형,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와 아감벤의 생명정치”", 새한철학회, 『철학논총』,78( 10):129-148, 2014

      42 한경닷컴, "년 3월 17일자 “공진단과 경옥고로 버틴 환절기", 1년 건강을 책임 진다”기사 참조 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3&c1=03&c2=03&c3 =00&nkey=201403171157431&mode=sub_view, 2014

      43 손석춘, "“신자유주의에 대한 언론과 비판언론학 비판”",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 보 』,45:49-76, 2009

      44 김윤성, "“몸,질병,근대성:근대의학과 개항기 한국사회”", 『한신인문학연 구』,5:283-312, 2004

      45 조병희, "“생의학과 한의학의 사회적 관계:갈등과 통합”", 『의철학연구』, 2:83-110, 2006

      46 김원식, "“생활세계 식민화론의 재구성:배제,물화,무시”", 사회와 철학 연구회, 『사회와 철 학』,18:99-124, 2009

      47 미셸, 한희진, "푸코의 파놉티시즘에서 인식,권력,윤리의 관계“", 『의철학 연구』,12:75-104, null

      48 김남일, 이태형, 김태우, "“‘醫林’誌를 통해 본 1950년대 동서의학 논쟁”", 『대한한의학원전학학회지』,25(3):57-78, 2012

      49 송이은, "노무현 정부 이후 진행된 한국 의료민영화의 성격",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 학』,46(4):205-232, 2012

      50 김남일, 이태형, 맹웅재, "보완대체의학의 정의 변화와 국내 관련 연구 분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16(2):212-220, 2010

      51 도재호, 이종원, "“건강기능식품의 시장현황 및 인삼시장의 전망”", 고려인삼학회, 『J. GinsengRes.』,29(4):206-214, 2005

      52 조명옥, "“노인의 건강관념에 관한 연구:비교문화적 접근”", 질적연구학회, 『질적 연구』, 12(2):100-114, 2011

      53 신동원, "『조선의약생활사-환자를 중심으로 본 의료 2000년』", 들녘, 파주:들녘, 2014

      54 이백휴, 이평수, 박윤형, "의사와 한의사의 의료기기 상호 활용 가능성과 한계", 한국의료법학회, 『한국의료법학회지』,19(2):139-160, 2011

      55 강미연, 정승화, 박성일, 김현미, 김고연주, 권수현, "『친밀한 적:신자유 주의는 어떻게 일상이 되었나?』", 서울:도서출판 이후, 2012

      56 강명신, "“통증의 심신상관성,그리고 임상적 통증개념 비판”", 한국의철학회, 『의철학연 구』,10:61-80, 2010

      57 김환석,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정신장애의 사례”", 『과학기술연구』, 14(1):3-33, 2014

      58 박연규, 백영경, "『프랑켄슈타인의 일상:생명공학시대의 건강과 의료』", 밈, 서울:도서출판 밈, 2008

      59 허민호, "보건 관리 체계의 지정학적 분할과 신자유주의적 변형.", 비판사회학회, 『경제 와 사회』,-(94):274-307, 2012

      60 황임경, "환자, 의사, 그리고 텍스트: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의료", 『의철학 연구』,3:118-137, 2007

      61 강용구, 한신희, 안태진, 박충범, 김금숙, "“약초 산업의 진화–21세기 고부가가치 생물자원으로”", 농촌진흥청, 『RDA 인테러뱅 14호』,서울:농촌진흥청, 2011

      62 조영한, "“한국사회에서 신자유주의 읽기:“국면적인 경제 읽기”", 를 제안하 며“,『커뮤니케이션 이론』,8(2):22-64, 2012

      63 마르시아, 안젤, "(강병철 역),,『제약회사는 어떻게 우리 주머니를 털었나』", 서울:청년의사, 2007

      64 박보식, 사득환, "“신자유주의 복지정책의 효과: 한국과 영국의 비교분석”", 강원행정학회, 『한국행정과 정책연구』,4(1):25-46, 2006

      65 이종원, "“홍삼제품의 산업현황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 한국자 원식물학회, 2012

      66 라잔, 순데르, "카우시크(안수진 역),,『생명자본:게놈 이후 생명의 구성』", 서울:그린비, 2012

      67 양창렬, "“생명권력인가 생명정치적 주권권력인가-푸코와 아감벤”",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사회』,19(3):238-254, 2006

      68 태희원, "”신자유주의적 통치성과 자기계발로서의 미용성형 소비“", 한국여성연구소, 『페미 니즘 연구』,12(1):157-191, 2012

      69 이글턴, "테리(이재원 역),,『이론 이후』,서울:길 (원제는 Terry Eagleton", AfterTheoryLondon:AllenLane,2003), 2010

      70 박윤재, "“양생에서 위생으로–개화파의 의학론과 근대 국가 건설”", 한국사회사학회, 『사회 와 역사』,63(5):30-50, 2003

      71 서한기, "『대한민국 의료커넥션:당신이 아플 때 웃는 사람들이 있다』", 바다, 서울:바다출판사, 2013

      72 나브한, "게리 폴(강경이 역),,『지상의 모든 음식은 어디에서 오는가』", 서 울:도서출판 아카이브, 2009

      73 김용진, 오재근, "“‘건강(health)'에 대한 한의학적 고찰-황제내경을 중심으 로”", 『의철학연구』,5:19-51, 2008

      74 이소희, "“몸 정치학:”날씬한 몸“만들기의 수행성과 주체성의 역학”", 『젠더와 사회』,7:126-153, 2008

      75 김환석, "생명정치의 사회과학:경계넘기의 사회과학을 위한 탐색 과 제언", 서울:알렙, 2014

      76 이영자, "“신자유주의 시대의 초개인주의: 개인주의의 후기 근대적 변종.”",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상과 인식』,35(3):103-127, 2011

      77 여인석, "“한국의사면허제도의 정착과정-한말과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 『의사학』,11(2):137-153, 2002

      78 김양석, 장규태, 이기훈, 유진호, 양지은, 신민규, "\乾癬(건선)으로 3개 월 이상 한약을 복용한 환자 82명의 간수치 변화", 『대한한의학회지』, 33(3):95-104, 2012

      79 김정희, 온정, "“성인의 연령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와 정보요구도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17(1):26-37, 2012

      80 김선효, "“우리나라 노년기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및 관련 요인 조 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6(1):30-38, 2011

      81 金在紋, 최진현, 권예경, "국제회계기준의 잠재적 신자유주의-회계언어의 의미 관계론적 접근", 한국국제회계학회, 『국제회계연구』,47(2):1-15, 2013

      82 신영전, "‘의료민영화’정책과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역사적 맥락과 전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비판사회정책』,29:45-90, 2010

      83 김태우, "“노년에 대한 현대의학의 개입:문화인류학이 바라본 당대의 노 년”", 한국서양사학회, 『서양사론』,114:5-28, 2012

      84 조영미, "“출산의 의료화 과정과 여성의 재생산권(reproductiverights)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4

      85 우스딘, "셰린(추선영 역),,『의료세계화:자본은 우리를 어떻게 병들게 하 는가?』", 서울:이후, 2012

      86 이종찬, "지음,,『한국 의료 대논쟁』,서울:소나무 ,2000,『한국에서 醫를 論한다』", 서울:소나무, 2000

      87 이영아, "“근대국민국가의 형성과 내재화된 식민지성:근대국민국가에 갇 힌 몸”", 『진보평론』,12-40, 2010

      88 김병수, 한광희, "문제화된 비만과 치료의 표준화 과정:랩밴드 수술 연 결망에서의 다중 번역",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연구』,13(2):137-172, 2013

      89 마인섭, "“남미 신자유주의 경제개혁과 복지개혁의 정치:칠레,아르헨티 나,브라질”",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총』,29(1):135-162, 2007

      90 박윤주, "“의료보험 민영화가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칠레의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이베로 아메리카』,13(1):69-94, 2011

      91 강내희, "“문화와 시장: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문화—경상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원”", 『마르크스주의연구』,5(2):235-258, 2008

      92 김승유, 이상원, 손상현, 김형돈, 김영옥,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동력, 농업 –농산업의 블루오션,프리미엄 화장품”", 농촌진흥청, 『RDA 인테러뱅 84호』, 수원:농촌진흥청, 2012

      93 서동진, "“신자유주의 분석가로서의 푸코:미셀 푸코의 통치성과 반정치적 정치의 회로”", 문화과학사, 『문화과학』,3:315-335, 2009

      94 민가영, "“신자유주의 질서의 확산에 따른 십대 여성의 성적 주체성 변화 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25(2):5-35, 2009

      95 권상옥, "“의학적 시선에서 기술적 시선으로-미셀 푸코의 [임상의학의 탄 생]을 중심으로”", 『의철학연구』,7:63-80, 2009

      96 허민호, "”사려 깊은 의학의 이데올로기:일상생활의 의료화라는 의학적 표상체계의 문제“", 한국문화연구학회, 『문화연구』,1(2):145-185, 2012

      97 조영운, "”실손의료보험의 한방법정비급여 진료비 보장을 위한 선결조건“, 『보험 연구원』", Kiriweekly230호, 2013

      98 백승민, "“mHealth해외 사례 및 시사점 분석:고령화에 대비한 국민의료 비 절감 방안의 일환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보건산업 브리프 vol.35:1~12, 2012

      99 김명현, "“의료급여정책변화를 통해 본 수급권자의 인식과 태도변화:의료 급여 과다이용의 재생산”", 『지역사회연구 』,15(2):125~150, 2007

      100 윤상우,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화-국가의 성격변 화와 정책대응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83:40-68, 2009

      101 김용호, 임사비나, 손지형, "“한의사의 복합과립제 사용 실태 조사 및 복 합과립제 건강보험 급여 시행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 『대한한의학회지』, 30(4):64-78, 2009

      102 김태우, 한창호, "“사회 속의 의료,의료 속의 사회:한국의 한의학과 중 국의 중의학에 대한 의료인류학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 『대한 한방내과학회지』,33(2): 111-125, 2012

      103 정준영, "“식민지 의학교육과 헤게모니 경쟁: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 과 제도적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85:197-237, 2010

      104 김기태, "『병원장사:대한민국 의료 상업화 보고서』,서울:한겨레 출판 김명진,2001,『대중과 과학 기술』", 서울:도서출판 잉걸, 2013

      105 서홍관, "”한ㆍ양방 의료 일원화-한의학과 양의학은 만나야 한다“,『한국 의료 대논쟁』이종찬 외 지음", 서울:소나무, 2000

      106 최병두,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발전,그리고 종말?:신자유주의와 도시에 관한 데이비드 하비의 견해 재검토“", 『마르크스주의 연구』,6(2):26-68, 2009

      107 김고연주, "”‘나 주식회사’와 외모 관리“,『친밀한 적-신자유주의는 어떻 게 일상이 되었나』,김현미 외 편저", 서울:이후, 2010

      108 채수홍, "발기부전 환자와 비아그라를 통해 본 한국 남성의 남성성:비아그라 효과에 대한 비판적 논점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한국문화인류학』,39(1): 3~23, 2006

      109 도승연, "푸코의 통치성 관점에서 바라본 신빈곤 속의 여성의 삶 : 21세기 한국 농업이주여성 노동자의 경우에 관하여", 한국여성철학회, 『한국여성철학』, 22(11):5-33, 2014

      110 이성오, "“만성통증환자의 자가치료”,전북대학교 석사논문. ,2015a,“양방 중심의 헤게모니적 의료화와 한방의 위축”", 『건지인문 학』,14:209-245,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