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시교육과 성장시(成長詩)  :  기형도, 이상, 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 On the Literary Education Meanings of 'Bildungspo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30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교육 제재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학에 대한 지적 탐구 의욕을 고취하고, 삶의 원리를 발견하게 함으로써 언어능력의 증진은 물론 정신적 성장을 자극하는 기능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제시되는 제재가 흥미유발에 기능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문학교육 제재들은 이러한 면에서 비기능적이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문학교육 제재들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던 까닭은 문학사적ㆍ문학이론적 관점에서 제재가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문학교육의 제재들은 문학연구 담론들이 가치 있다고 평가한 작품들에 한정되어 옴으로써 시대적으로는 1930년대 작품들이, 내용상으로는 학습자들의 내면세계와 거리가 먼 작품들이 지배적이었다.
      본고는, 학습자들의 정신적 발달 단계와 조응되는 작품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정신적 성장 과정을 시적으로 변용한 작품들을 성장시(成長詩)로 규정, 그러한 작품들의 구조와 문학교육적 의미를 논하였다. 본고는 기형도의 『위험한 家系ㆍ1969』가 성장시의 원형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보았으며, 그것으로부터 성장시의 양식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성장시는 첫째, 본능적 차원의 주인공과 그것을 정직하게 살펴보려는 태도를 지닌 서술자가 존재하며 둘째, 주인공은 불안 의식을 각성의 계기로 하여 의식의 성장을 경험하게 되며 셋째, 가족이라는 사회적 단위 내에서의 역할을 비롯, 사회적 정체성을 획득함으로써 성장의 종결에 도달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인간은 본능적 차원에서 사회적 정체성을 획득함으로써 성장의 과정을 밟아나간다는 점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 성장시이다.
      성장시는 무엇보다도 성장 과정 중인 학습자의 정신 세계 및 내적 갈등의 특성들을 공유한 주인공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신분석학에 의하면, 개별적 자아가 정립되는 초기 국면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은 '거울 단계'이다. 살아가는 전 과정 속에서 자아, 생명 혹은 의미를 찾는 아동은 자신을 나타낼 수 있을 것 같은 모든 것에 자기애적인 리비도를 부여한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학습자 역시 자기와 유사한 것을 보여주는 것에는 강렬한 정신적 힘을 투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성장시는 문학교육 과정에서 그러한 '거울'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성장시는 문학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기능적일 수 있으며 그들의 정신적 성장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작품 범주라 하겠다. 본고는 이러한 작품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문학교육 제재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학에 대한 지적 탐구 의욕을 고취하고, 삶의 원리를 발견하게 함으로써 언어능력의 증진은 물론 정신적 성장을 자극하는 기능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

      문학교육 제재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학에 대한 지적 탐구 의욕을 고취하고, 삶의 원리를 발견하게 함으로써 언어능력의 증진은 물론 정신적 성장을 자극하는 기능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제시되는 제재가 흥미유발에 기능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문학교육 제재들은 이러한 면에서 비기능적이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문학교육 제재들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던 까닭은 문학사적ㆍ문학이론적 관점에서 제재가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문학교육의 제재들은 문학연구 담론들이 가치 있다고 평가한 작품들에 한정되어 옴으로써 시대적으로는 1930년대 작품들이, 내용상으로는 학습자들의 내면세계와 거리가 먼 작품들이 지배적이었다.
      본고는, 학습자들의 정신적 발달 단계와 조응되는 작품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정신적 성장 과정을 시적으로 변용한 작품들을 성장시(成長詩)로 규정, 그러한 작품들의 구조와 문학교육적 의미를 논하였다. 본고는 기형도의 『위험한 家系ㆍ1969』가 성장시의 원형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보았으며, 그것으로부터 성장시의 양식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성장시는 첫째, 본능적 차원의 주인공과 그것을 정직하게 살펴보려는 태도를 지닌 서술자가 존재하며 둘째, 주인공은 불안 의식을 각성의 계기로 하여 의식의 성장을 경험하게 되며 셋째, 가족이라는 사회적 단위 내에서의 역할을 비롯, 사회적 정체성을 획득함으로써 성장의 종결에 도달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인간은 본능적 차원에서 사회적 정체성을 획득함으로써 성장의 과정을 밟아나간다는 점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 성장시이다.
      성장시는 무엇보다도 성장 과정 중인 학습자의 정신 세계 및 내적 갈등의 특성들을 공유한 주인공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신분석학에 의하면, 개별적 자아가 정립되는 초기 국면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은 '거울 단계'이다. 살아가는 전 과정 속에서 자아, 생명 혹은 의미를 찾는 아동은 자신을 나타낼 수 있을 것 같은 모든 것에 자기애적인 리비도를 부여한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학습자 역시 자기와 유사한 것을 보여주는 것에는 강렬한 정신적 힘을 투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성장시는 문학교육 과정에서 그러한 '거울'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성장시는 문학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기능적일 수 있으며 그들의 정신적 성장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작품 범주라 하겠다. 본고는 이러한 작품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iterary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functional at motivating learners' interests in literary works and let them discover the principles of life through them.
      But present literary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re not functional.
      Most of all, that's due to the logic of literary scholarship over the procedure of selecting materials in literary education.
      Literary educational materials consist of works written in 1930s, most of them are far away from the experiences of contemporary learners.
      It has made the crisis of learner' empathy with them in literary classroom.
      This essay suggest the 'bildunspoem' as new literary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Bildungspoem corresponds t o the spirit and psychology of learners as it shapes internal landscape of the spirit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mature bei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psychoanalysis, a child pays strong attentions to the mirror because it reflects the specular image similar to himself.
      Bildungspoem plays the role as a mirror in literary classroom.
      In other words, it motivates effectively the interests of leaners in literary works because it reflects the specular image of spiritual development progress of person.
      Bildungspoem has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includes character of instincts, and a narrator who always keeps eyes to him.
      And it' s character experiences the spiritual development thorough the anxiety about depending from his parents.
      Human is destined to experience the dependency from his parents, its necessary path makes human spirit
      suffer the anxiety. But its path make human as mature being.
      Third, it shapes the stage of having social identity of the
      character. So bildungspoem shapes the progress from instinct
      to social identity.
      Literary education should take care of the spiritu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refore, it should present the literary works which ha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learner's.
      Bildungspoem is a kind of them, so it has the possibility to resolve the crisis of literary classroom.
      번역하기

      The literary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functional at motivating learners' interests in literary works and let them discover the principles of life through them. But present literary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re not functional. Most ...

      The literary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functional at motivating learners' interests in literary works and let them discover the principles of life through them.
      But present literary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re not functional.
      Most of all, that's due to the logic of literary scholarship over the procedure of selecting materials in literary education.
      Literary educational materials consist of works written in 1930s, most of them are far away from the experiences of contemporary learners.
      It has made the crisis of learner' empathy with them in literary classroom.
      This essay suggest the 'bildunspoem' as new literary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Bildungspoem corresponds t o the spirit and psychology of learners as it shapes internal landscape of the spirit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mature bei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psychoanalysis, a child pays strong attentions to the mirror because it reflects the specular image similar to himself.
      Bildungspoem plays the role as a mirror in literary classroom.
      In other words, it motivates effectively the interests of leaners in literary works because it reflects the specular image of spiritual development progress of person.
      Bildungspoem has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includes character of instincts, and a narrator who always keeps eyes to him.
      And it' s character experiences the spiritual development thorough the anxiety about depending from his parents.
      Human is destined to experience the dependency from his parents, its necessary path makes human spirit
      suffer the anxiety. But its path make human as mature being.
      Third, it shapes the stage of having social identity of the
      character. So bildungspoem shapes the progress from instinct
      to social identity.
      Literary education should take care of the spiritu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refore, it should present the literary works which ha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learner's.
      Bildungspoem is a kind of them, so it has the possibility to resolve the crisis of literary classroo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성장시의 범주 설정 필요성
      • 2. 성장시의 구조 -정신적 각성의 서사적 표현
      • 2.1. 성장시 논의의 출발점 : 奇亨度의 「위험한 家系ㆍ1969」
      • 2.2. 성장시의 '주인공'과 '서술주체'의 특성
      • 2.3. 성장의 각성 동인 : 격리 불안
      • 1. 성장시의 범주 설정 필요성
      • 2. 성장시의 구조 -정신적 각성의 서사적 표현
      • 2.1. 성장시 논의의 출발점 : 奇亨度의 「위험한 家系ㆍ1969」
      • 2.2. 성장시의 '주인공'과 '서술주체'의 특성
      • 2.3. 성장의 각성 동인 : 격리 불안
      • 2.4. 성장의 假종결점 : 가족의식, 정체성, '겨울'의 시간 의식
      • 2.5. 미완결헝식으로서의 성장시 : 성장의 내적 모순 - 동일시와 거부
      • 3. 성장시의 변증법 -동일시와 거부의 시적 변용
      • 3.1. 성장의 거부 : 李箱 시의 성장시적 특성
      • 3.2. 성장과 동일시 : 尹東柱 시의 성장시적 특성
      • 4. 성장시의 문학교육적 의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