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이러닝준비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The Study of exploring factors affecting learner`s achievements of e-learning readiness in a cyber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5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이러닝준비도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 자기주도학습, 온라인 관계형성, 온라인 읽기, 동영...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이러닝준비도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 자기주도학습, 온라인 관계형성, 온라인 읽기, 동영상 학습콘텐츠,팀 프로젝트, 수업성공을 위한 요소 등의 7개 영역, 38문항으로 구성된 이러닝준비도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A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러닝준비도 설문을 실시하여 1,375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고,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들의 7개 영역에 걸친 이러닝준비도 조사결과는 평균 3.91로 나타나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보통 수준 이상의 역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둘째로, 이들의 이러닝준비도 요인이 학업성취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학습, 수업성 공요소, 온라인 읽기 변인이 학업성취와 상호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이러닝준비도 요소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수업성공요소가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이러닝학습을 위한 준비도 특성을 파악하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그들의 학습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적합한 수업활동을 지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relationships with e-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n adult learners of cyber university. To do this, e-learning readiness consisting of seven areas and 38 ques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relationships with e-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n adult learners of cyber university. To do this, e-learning readiness consisting of seven areas and 38 questions such as techniques, self-directed learning, online relationships, online reading, video learning content, team projects, and success factors for teaching were used to investigate tool. In this study,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ponse data were analyzed for 1,375 student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earson was conduct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ults across the seven areas of cyber university student recognized an average 3.91 and the majority of learners have a more normal level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e-learning readiness factor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have some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classroom success factors, team projects, online reading had a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that e-learning readiness factors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does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teaching success factors was found on a smal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nature of e-learning readiness for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and may be used as empirical data to understand what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structors will determine the nature of their learning targets by taking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be able to take to support classroom activities for th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을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조직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63-83, 2010

      2 임정훈, "웹기반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탐색" 3 (3): 179-207, 2003

      3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4 김정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습준비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73-92, 2009

      5 김세련,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 참여와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의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정원,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427-445, 2012

      7 김소희,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성격유형,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79-106, 2007

      8 정봉영,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0 (10): 127-150, 2004

      9 박종선, "사이버대학 학생의 학습스타일과 학습참여활동의 관계 탐색" 107-115, 2008

      10 박종선,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활동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51-59, 2010

      1 배을규,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조직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63-83, 2010

      2 임정훈, "웹기반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탐색" 3 (3): 179-207, 2003

      3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4 김정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습준비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73-92, 2009

      5 김세련,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 참여와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의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정원,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427-445, 2012

      7 김소희,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성격유형,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79-106, 2007

      8 정봉영,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0 (10): 127-150, 2004

      9 박종선, "사이버대학 학생의 학습스타일과 학습참여활동의 관계 탐색" 107-115, 2008

      10 박종선,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활동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51-59, 2010

      11 임연욱, "사이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간의관계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6 (16): 177-200, 2008

      12 이준구,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분석" 교육공학연구소 6 (6): 121-138, 2012

      13 Gunawardena, C. N., "Which learner readiness factors, online features, and CMC related learning approaches are associated with learner satisfaction in computer conferences" 2001

      14 Keramati, A., "The role of readiness factors in e-Learning outcomes: An empirical study" 57 : 1919-1929, 2011

      15 Anderson, K. C., "The relationship of course relevance, online features, and perceived learner readiness with corporate employee satisfaction with e-Learning" The University of Minnesota 2005

      16 Dede, C., "The evolution of distance education : emerging technologies and distributed learning" 10 (10): 4-36, 1996

      17 Hadjiathanasiou, P., "The e-learning readiness of Cyprus primary teachers ahead of dias system integration into Cyprus schools" (1) : 1-10, 2009

      18 Guglielmino, L., "The AMA handbook of e-learning"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87-98, 2003

      19 Rhee, R., "Technology readiness, learning goals, and e-Learning : Searching for synergy" 5 (5): 127-149, 2007

      20 Fogerson, D. L., "Readiness factors contributing to participant satisfaction in online higher education courses" The University of Tennessee 2005

      21 Aydin, C. H., "Measuring readiness for e-Learning : Reflections from an emerging country" 8 (8): 244-257, 2005

      22 Brush, T., "Integrating technology in a field-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 : The PT3@ASU project" 51 (51): 57-72, 2003

      23 Stone, D., "How To Determine Enterprise-Wide E-Learning Readiness" 2003

      24 Watkins, R., "Ends and means : e-learning study skills and strategies" 1 (1): 24-26, 2004

      25 So, T., "E-learning readiness of Hong Kong teachers" The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2006

      26 Zoraini, A., "E-Learning readiness: A crucial factor in managing teaching and learning" 2004

      27 Watkins, R., "Building skills for e-learning success" 1 (1): 27-28, 2004

      28 Watkins, R., "Assessing readiness for e-learning" 17 (17): 66-79,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