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교사의 스마트기기 수업활용요인과 성별, 연령, 경험의 조절효과 분석 = Determinants of Secondary Teacher Acceptance to use Smart Device and Moderator Effects of Gender, Age, and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5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UTAUT(통합기술수용모형)를 바탕으로 중등교사의 스마트기기 수업활용에 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수업활용의도와 실제활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

      본 연구는 UTAUT(통합기술수용모형)를 바탕으로 중등교사의 스마트기기 수업활용에 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수업활용의도와 실제활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성별, 연령, 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 교사 304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을 진행하였고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수업활용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은 수업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촉진조건 및 수업활용의도는 실제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은 수업활용의도를 매개로 실제활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조적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연령은 촉진조건-실제활용 경로만 유의하였고, 그 외 경로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경험은 촉진조건-실제활용, 활용의도-실제활용 경로에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스마트기기의 수업활용 촉진을 위해 교원연수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성공적인 수업사례, 활용사례, 컨텐츠를 공유하고 이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연령, 경험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in secondary classrooms with teachers.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in secondary classrooms with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moderator effects of gender, age, and experience. In order to examine this purpose, 304 second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and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acceptable with a good fi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between factors. The specific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significantly affected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second, facilitating condition and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significantly affected actual behavior;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was significant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actual behavior;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not signifiant on all path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between facilitating condition and actual behavior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to facilitate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성호, "휴대폰기반 모바일보조학습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개발" 원격교육연구소 7 (7): 41-69, 2011

      2 조규복, "초중등학생 스마트기기 활용실태 조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3 김영기, "초등학교 4학년 영어 교육에서 QR코드 학습지를 활용한 듣기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한해숙, "초·중·고에서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유형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51-58, 2013

      5 김혜경, "중학교 광합성 단원에서 스마트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 권오준, "정보기술통합이론을 응용한 스마트폰 수용 고찰" 180-187, 2010

      7 양지윤, "인지된 위험이 모바일 뱅킹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경영경제학회 14 (14): 183-208, 2006

      8 유호선,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 13 (13): 117-147, 2008

      9 강명희, "외국어 학습에서 모바일러닝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9 (29): 637-665, 2013

      10 박재현, "스마트 폰과 QR 코드를 이용한 새로운 교육모델의 제시 : 모바일, QR코드 그리고 서책형 교과서의 융합"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6 (16): 155-164, 2011

      1 권성호, "휴대폰기반 모바일보조학습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개발" 원격교육연구소 7 (7): 41-69, 2011

      2 조규복, "초중등학생 스마트기기 활용실태 조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3 김영기, "초등학교 4학년 영어 교육에서 QR코드 학습지를 활용한 듣기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한해숙, "초·중·고에서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유형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51-58, 2013

      5 김혜경, "중학교 광합성 단원에서 스마트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 권오준, "정보기술통합이론을 응용한 스마트폰 수용 고찰" 180-187, 2010

      7 양지윤, "인지된 위험이 모바일 뱅킹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경영경제학회 14 (14): 183-208, 2006

      8 유호선,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 13 (13): 117-147, 2008

      9 강명희, "외국어 학습에서 모바일러닝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9 (29): 637-665, 2013

      10 박재현, "스마트 폰과 QR 코드를 이용한 새로운 교육모델의 제시 : 모바일, QR코드 그리고 서책형 교과서의 융합"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6 (16): 155-164, 2011

      11 김상연, "스마트 교육 경험 집단과 비 경험 집단 간 활용 의도 경로계수 차이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383-395, 2012

      12 이종옥,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앱북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 18 (18): 45-67, 2013

      13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출판사 2009

      14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15 김영록, "교사의 스마트기기 이용이 수업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16 전새하,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엘지씨엔에스 10 (10): 97-112, 2011

      17 한동욱, "개인의 혁신성과 사회적 영향 관점에서 특수교사들의 스마트미디어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75-83, 2012

      18 Venkatesh, V.,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 Toward a unified view" 27 (27): 425-478, 2003

      19 Ney, B., "Unraveling the adoption of mCRM smartphone applications among Dutch retailers" University of Twente 2013

      20 Wong, K. T.,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acceptance and use of interactive whiteboard" 30 (30): 4-16, 2012

      21 이동만, "UTAUT 이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뱅킹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 중국의 비교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9 (19): 111-136, 2010

      22 Agarwal, R.,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24 (24): 665-694, 2000

      23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1 (1): 16-29, 1996

      24 Moran, M., "Tablet personal computer integration in higher education : Apply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technology model to understand supporting factors" 42 (42): 79-101, 2010

      25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290-312, 1982

      26 Birch, A., "Preservice teachers’ acceptance of ICT integration in the classroom : applying the UTAUT model" 46 (46): 295-315, 2009

      27 Pynoo, B., "Predic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cceptance and use of a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 A cross-sectional study" 27 (27): 568-575, 2011

      28 Lewis, C. C., "Faculty Use of Established and Emerging Technologies in Higher Education: A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Perspective" 2 (2): 13-21, 2013

      29 Moon, J. W.,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38 (38): 217-230, 2001

      30 Yang, K., "Determinants of US consumer mobile shopping services adoption :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bile shopping services" 27 (27): 262-270, 2010

      31 Venkatesh, V.,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36 (36): 157-178, 2012

      32 Jairak, K., "An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for higher education students in Thailand" 17 (17): 36.1-36.8, 2009

      33 Oechslein, O., "An Application of UTAUT2 on Social Recommender Systems: Incorporating Social Information for Performance Expectancy" 3297-3306, 2014

      34 Oye, N. D., "A Model of ICT Acceptance and Use for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1 (1): 22-4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