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도의 위헌결정과 향후 대응방안 =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Concern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correspondent meas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4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을 통한 불법정보 등의 유통에 따른 역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된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에 대한 위헌결정에 즈음하여, 본고에서는 이른바 ``인터넷실명제’의 도입...

      인터넷을 통한 불법정보 등의 유통에 따른 역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된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에 대한 위헌결정에 즈음하여, 본고에서는 이른바 ``인터넷실명제’의 도입배경 및 그 헌법적 쟁점과 해결이론을 분석한 후,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도와 공직선거법의 실명확인제도에 대하여 각각의 구체적 사안 및 그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평가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도가 지니고 있었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보완을 위한 대응방안으로서의 인터넷자율규제에 관한 현행법제의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regard to the recent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concern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The Act”), which was introduced to as a mean...

      With regard to the recent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concern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The Act”), which was introduced to as a means of blocking the adverse effects of illegal information circulation via the internet, this will first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 adaptation of the “internet real-name confirmation system”, the constitutional issues and solution theories followed by specific matters in relation to the identification system The Act, and a real-name confirmation system of the Pubic Official Election Act and an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Constitutional Court`s assessments of these matters, all with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ct`s identification system, and as a countermeasure for supplementation, the problems inherent within the internet self-regulation laws and the legislative measures have been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성우, "현행 인터넷상 본인확인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법학연구소 23 (23): 27-45, 2011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0

      3 성낙인, "헌법학 제9판" 법문사 2009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1

      5 유승관, "한국정치 환경에서의 인터넷 자율규제방안"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4) : 51-84, 2009

      6 장성호, "한국의 인터넷 실명제 갈등: 전개과정과 특성" 한국동북아학회 16 (16): 99-118, 2011

      7 임규철, "정보통신망법의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법학회 47 (47): 71-94, 2012

      8 황창근, "정보통신망법상 본인확인제에 대한 공법적 고찰"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315-344, 2008

      9 장여경, "인터넷실명제와 정보인권" (2) : 2008

      10 정상기, "인터넷과 표현의 자유" 7 : 2001

      1 지성우, "현행 인터넷상 본인확인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법학연구소 23 (23): 27-45, 2011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0

      3 성낙인, "헌법학 제9판" 법문사 2009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1

      5 유승관, "한국정치 환경에서의 인터넷 자율규제방안"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4) : 51-84, 2009

      6 장성호, "한국의 인터넷 실명제 갈등: 전개과정과 특성" 한국동북아학회 16 (16): 99-118, 2011

      7 임규철, "정보통신망법의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법학회 47 (47): 71-94, 2012

      8 황창근, "정보통신망법상 본인확인제에 대한 공법적 고찰"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315-344, 2008

      9 장여경, "인터넷실명제와 정보인권" (2) : 2008

      10 정상기, "인터넷과 표현의 자유" 7 : 2001

      11 유정석, "인터넷 콘텐츠의 공적 규제와 자율규제간의 협력모델 개발" 방송통신정책연구 2010

      12 이민영, "인터넷 자율규제의 법적 의의" 한국법학원 (116) : 133-160, 2010

      13 조소영, "인터넷 실명제의 의의와 한계" (사)한국언론법학회 10 (10): 39-82, 2011

      14 황성기,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법학연구소 25 (25): 9-40, 2008

      15 성낙인,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265-28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5-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과학기술법연구소 -> 과학기술법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 Technology ->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 Techn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2 0.6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