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지역 불균등을 동태적 측면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17년까지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F-검증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68316
2019
Korean
보육시설 ; 지역 불균등 ; 지역 격차 ; 수렴 ; Child Care Facility ; Regional Inequality ; Regional Disparity ; Convergence
KCI등재
학술저널
525-554(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지역 불균등을 동태적 측면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17년까지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F-검증을...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지역 불균등을 동태적 측면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17년까지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의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F-검증을 이용하여 구 · 시 · 군 간 격차를 분석하였고, Sigma와 Beta 수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보육시설 불균등의 변화를 검증하였으며, 이후 Knox(1982)의 상대적 변화 모형 추정을 통해 개별 기초자치단체의 상대적 불균등 지위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검증을 통한 격차분석의 결과는 시, 구, 군의 순으로 영유아 천 명 당 보육시설수가 많고, 평균 차이가 최근에 와서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무시하지 못할 정도의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Sigma 수렴 분석결과는 보육시설의 지역 불균등이 2011년까지는 증가하였으나 2012년 이후부터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Beta 수렴 분석결과도 2003∼2011 기간에 비해 2011∼2017 기간의 수렴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분석기간 동안 보육시설의 지역 불균등은 전반적으로 완화되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셋째, Knox(1982) 모형의 추정결과는 불균등의 상대적 지위가 변한 기초자치단체가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3∼2011 기간에는 상향분화에 해당하는 기초자치단체가 부익부 현상을 유발했고, 2011∼2017 기간에는 상향전도, 하향수렴, 하양전도에 해당하는 기초자치단체가 많아 이들이 불균등을 완화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추측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inequalities of child care facilities over tim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child care facilities among Si, Gun, Gu from 2003 to 2017 by F-test, examines 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inequalities of child care facilities over tim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child care facilities among Si, Gun, Gu from 2003 to 2017 by F-test, examines changes in inequalities of child care facilities over time using Beta and Sigma convergence models, and investigates changes in the relative inequality status of individual municipalities using Knox(1982)’s relative change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F-test show that the number of child care facilities is in the order of Si, Gu, and Gun, and mean differences have been decreased in recent years. Second, the results of Sigma convergence show that the regional inequality of child care facilities increased until 2011, but it continued to decrease after 2012, and results of Beta convergence reveal that the convergence speed of 2011∼2017 was faster than that of 2003∼2011.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gional inequality in child care facilities have generally been mitigated during the 2003∼2017 period. Third, the results of the Knox(1982)’s model reveal that only a few municipalities experienced the change in the relative inequality status. However, it is analogized that during 2003∼2011, municipalities classified as deprived divergent induced the rich-get-richer phenomenon, and during 2011∼2017, municipalities classified as inversion to deprived, deprived convergent, and inversion to favored contributed to lowering the dispar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KOSIS)"
2 조영훈, "지방분권화와 복지수준의 지역간 격차: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서울시와 4 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17 (17): 1-19, 2001
3 김재원, "정부 보육비 지원의 거시경제적효과" 24 (24): 313-332, 2003
4 유계숙, "저출산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2007년 출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169-189, 2009
5 민연경, "저출산 정책과 양성평등문화의 출산율 제고 효과: OECD 18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3 (23): 103-132, 2013
6 곽윤숙, "유아교육 및 보육의 불평등 현황과 해소 방안" 9 (9): 387-402, 2008
7 김은정, "영아기 양육지원 인프라 현황과 과제" 237 : 76-90, 2016
8 이경은, "아동복지 수요공급 격차에 따른 지역구분과 지역아동센터의 특성" 한국아동복지학회 (48) : 119-145, 2014
9 임석회,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차에 관한 연구 - 시설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4, 2009
10 김승희, "복지수준의 지역간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 정책적 접근 -" 한국주거환경학회 13 (13): 165-180, 2015
1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KOSIS)"
2 조영훈, "지방분권화와 복지수준의 지역간 격차: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서울시와 4 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17 (17): 1-19, 2001
3 김재원, "정부 보육비 지원의 거시경제적효과" 24 (24): 313-332, 2003
4 유계숙, "저출산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2007년 출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169-189, 2009
5 민연경, "저출산 정책과 양성평등문화의 출산율 제고 효과: OECD 18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3 (23): 103-132, 2013
6 곽윤숙, "유아교육 및 보육의 불평등 현황과 해소 방안" 9 (9): 387-402, 2008
7 김은정, "영아기 양육지원 인프라 현황과 과제" 237 : 76-90, 2016
8 이경은, "아동복지 수요공급 격차에 따른 지역구분과 지역아동센터의 특성" 한국아동복지학회 (48) : 119-145, 2014
9 임석회,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차에 관한 연구 - 시설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4, 2009
10 김승희, "복지수준의 지역간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 정책적 접근 -" 한국주거환경학회 13 (13): 165-180, 2015
11 강국진, "보육지출에서 나타나는 지역 간 불평등성 연구" 한국정책학회 22 (22): 141-162, 2013
12 송헌재, "보육지원정책이 출산율과 여성 노동시장 참여율에 미친 거시적 성과 실증분석" 한국재정정책학회 17 (17): 3-36, 2015
13 서문희, "보육재정 지원 현황과 정책과제" 86 : 56-67, 2003
14 김은정, "보육시설의 지역별 공급 현황 및 정책과제" 215 : 59-67, 2014
15 류명지, "보육시설 수탁률과 여성 고용률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도 단위 패널자료 분석" 경제연구소 32 (32): 67-92, 2011
16 송승민, "보육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산업연관분석의 활용"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2713-2731, 2010
17 김정호, "보육료지원의 여성 노동공급 및 출산 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1-23, 2013
18 서문희, "보육료·유아교육비 지원이 추가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소 4 (4): 76-95, 2010
19 이석환,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의 불평등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3 (33): 1-26, 2019
20 Breusch, T. S., "Testing for Autocorrelation in Dynamic Linear Models" 17 : 334-355, 1978
21 Godfrey, L. G., "Testing Against General Autoregressive and Moving Average Error Models when the Regressors Include Lagged Dependent Variables" 46 : 1293-1301, 1978
22 Davidson, R. N., "Social Deprivation : An Analysis of Intercensal Change" 1 (1): 108-117, 1976
23 Knox, P., "Regional Inequality and the Welfare State : Convergence and Divergence in Levels of Living in the United Kingdom, 1951-1971" 10 (10): 319-335, 1982
24 Rapacki, "Real beta and sigma convergence in 27 transition countries, 1990–2005" 21 (21): 307-326, 2005
25 이영, "OECD 29개국 2000-2013년 데이터를 이용한 영유아교육보육 지원의 여성, 모성, 남성 고용률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41 (41): 1-38, 2018
26 Quah, D., "Galton’s Fallacy and Tests of the Convergence Hypothesis" 95 (95): 427-443, 1993
27 Barro, R. J., "Economic Growth in a Cross Section of Countries" 106 (106): 407-443, 1991
28 Wooldridge, J. M.,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MIT Press 2002
29 Friedman, M., "Do Old Fallacies Ever Die?" 30 (30): 2129-2132, 1992
30 Barro, "Convergence" 100 (100): 223-251, 1992
31 Newey, W. K, "A Simple, Positive Semi-definite, Heteroskedasticity and Autocorrelation Consistent Covariance Matrix" 55 (55): 703-708, 1987
32 Breusch, T. S., "A Simple Test for Heteroskedasticity and Random Coefficient Variation" 47 (47): 1287-1294, 1979
33 Solow, R. M.,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70 (70): 65-94, 1956
선거주기 및 연령별 소통과 결정요인: 2002~2018년 지방선거조사
정부 보조금 사업의 성과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보조금 사업의 성과평가 지표설계를 중심으로
이해관계자 접근을 중심으로 한 공기업 조직효과성 평가: 이명박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1.11 | 1.249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