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김정은 시대 북한이 대러 외교를 위해 역사적 기억을 어떻게 활용했으며, 그것의 주요 내용, 특징 및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우선, 역사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김정은 시대 북한이 대러 외교를 위해 역사적 기억을 어떻게 활용했으며, 그것의 주요 내용, 특징 및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우선, 역사적 ...
이 논문은 김정은 시대 북한이 대러 외교를 위해 역사적 기억을 어떻게 활용했으며, 그것의 주요 내용, 특징 및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우선, 역사적 기억을 대러 '축전외교'에 활용한 것은, 김정은 시대 이전의 북한외교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것은 물론, 김정은 시대 기타 국가에 대한 북한의 외교에서도 나타나지 않은 특별한 외교형식으로, 북한외교에서 나타난 새로운 변화이자 김정은 시대 북한의 '축전외교' 내지 북한외교 특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2019년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후 북한의 '축전외교'가 '새판짜기'를 위한 변화를 시도하던 가운데 역사적 기억을 '발굴'한 것으로 보이며, 역사적 기억을 활용한 북한의 대러 '축전외교'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러 '축전외교'에서의 역사적 기억 활용은 그 아이디어를 러시아의 대북한 '축전외교'에서 얻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북러간의 '축전외교' 및 역사적 기억의 활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North Korea used historical memory to conduct diplomacy with Russia during the Kim Jong-un era, and to study it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irstly, the use of historical memory in “greet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North Korea used historical memory to conduct diplomacy with Russia during the Kim Jong-un era, and to study it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irstly, the use of historical memory in “greeting diplomacy” with Russia is a special form of foreign diplomatic relations of North Korea, both before and after Kim Jong-un’s rule. This is a new change in the North Korea’s diplomacy and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s “greeting diplomacy” which even the North Korea’s diplomacy in the Kim Jong-un era.
Secondly, since the North Korea-US summit meeting in 2019, the North Korea’s “greeting diplomacy” is trying to open a new layout to tap into historical memories and the North Korea’s “greeting diplomacy” with Russia seems to have achieved the desired goal.
Finally, it seems that the idea of the North Korea’s use of historical memory in its “greeting diplomacy” with Russia under the Kim Jong-un era was taken from Russia’s “greeting diplomacy” with the North Korea. Therefore, we need to continue to focus on the “greeting diplomacy” between the North Korea and Russia and the use of historical memory.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덕준, "탈냉전 시기의 북러관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3 (63): 113-140, 2020
2 북한 외무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대변인대답"
3 이상우, "조선로동당사의대외관계 서술 변화에 대한 연구" 인문학연구원 78 : 279-311, 2019
4 국토통일원, "조선로동당대회 자료집 Ⅱ" 국토통일원 1988
5 국토통일원, "조선로동당대회 자료집 Ⅰ" 국토통일원 1988
6 홍석우,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의 축일과 국가건설: 전승기념일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소 31 (31): 133-167, 2015
7 조은희, "역사적 기억의 정치적 활용: 북한의 『항일빨찌산참가자들의 회상기』 분석을 중심으로" 4 (4): 111-155, 2012
8 북한 외무성, "새 세기 조로관계발전의 거대한 추동력을 마련한 력사적선언"
9 정성임, "북한의 대외관계" 한울 2007
10 정규섭, "북한외교의 어제와 오늘" 일신사 1997
1 장덕준, "탈냉전 시기의 북러관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3 (63): 113-140, 2020
2 북한 외무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대변인대답"
3 이상우, "조선로동당사의대외관계 서술 변화에 대한 연구" 인문학연구원 78 : 279-311, 2019
4 국토통일원, "조선로동당대회 자료집 Ⅱ" 국토통일원 1988
5 국토통일원, "조선로동당대회 자료집 Ⅰ" 국토통일원 1988
6 홍석우,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의 축일과 국가건설: 전승기념일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소 31 (31): 133-167, 2015
7 조은희, "역사적 기억의 정치적 활용: 북한의 『항일빨찌산참가자들의 회상기』 분석을 중심으로" 4 (4): 111-155, 2012
8 북한 외무성, "새 세기 조로관계발전의 거대한 추동력을 마련한 력사적선언"
9 정성임, "북한의 대외관계" 한울 2007
10 정규섭, "북한외교의 어제와 오늘" 일신사 1997
11 최용환, "북한 ‘신냉전’ 구조 활용구상에 대한 평가" (222) : 222-, 2023
12 장세호, "러-우 전쟁 이후 북러 밀착: 현황과 전망" (220) : 2023
13 황철환, "러, 일본제재에 맞서 소련시절 ‘대일전승일’ 부활 추진"
14 이상우, "김정은의 ‘축전외교’ 연구" 심연북한연구소 25 (25): 92-135, 2022
15 송준서, "기억의 정치학 : 러시아 국가통합 도구로서 전쟁의 기억" 아태지역연구센터 36 (36): 167-208, 2012
16 송준서, "극동 러시아의 1945년 소련-일본 전쟁 기억과 기념일 정치"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4 (34): 205-236, 2019
17 박상현, "日, 러 ‘일본에 승리한 2차대전 종결일’로 명칭 변경에 “유감”"
18 觀察者網, "俄聯邦共產黨: 建議俄曆史教材將七七事變作爲二戰爆發日"
19 박병광, "中國의 정상외교와 강대국관계조정: 江澤民시기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365-384, 2003
20 "『조선중앙통신』, 2020년 5월 6일, 2023년 1월 27일, 9월 10일"
21 "『로동신문』, 2000-2023년 6월 10일, 6월 11일, 6월 12일; 2000-2023년 8월 8일, 8월 9일, 8월 10일, 8월 11일, 8월 12일. 8월 13일, 8월 14일, 8월 15일, 8월 16일; 2000년 5월 8일, 7월 21일, 2001년 8월 5일, 2003년 10월 8일, 2005년 5월 8일, 2010년 5월 10일, 2015년 5월 9일, 2020년 5월 9일, 2022년 5월 10일, 10월 7일, 2023년 3월 21일, 5월 10일, 7월 27일, 7월 28일, 9월 13일, 9월 14일, 9월 22일"
22 이수형, "2002신진 연구자 북한 및 통일관련 논문집, 1권" 39-69, 2002
23 이상우 ; 정영철, "1961년 조중조약에 대한 재조명 : 전문(前文)과 제1조의 해석을 중심으로" 북한학연구소 14 (14): 147-178, 2018
국회 불신의 거시적 결과와 미시적 기초: 한국 사례의 비교연구
초광역적 공간전략의 정치경제: 메가시티 구상의 의의와 과제를 중심으로
김정은 집권기 북·중·러 삼각관계: 세 개 양자관계의 역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