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습자의 성격유형(MBTI)이 인터넷과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tudents' psychological type(MBTI) on the use of internet and web based i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0177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전공 , 2003. 8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79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국문요지: p. i-ii
        Abstract: p. 74-75
        부록으로 설문지 수록
        참고문헌: p. 68-73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성격유형이 인터넷 및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인터넷 이용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웹기반 원격교육 참여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S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407명이다. 이들을 성격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MBTI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과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 실태에 대한 조사는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t 검정, 일원분산분석,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1>은 긍정되었다. 내향형(I) 학생들이 외향형(E) 학생들보다 컴퓨터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외향형(E) 학생들이 내향형(I) 학생들보다 전자우편을 더 많이 발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인식형(P) 학생들이 판단형(J) 학생들보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사고·인식형(TP) 학생들이 사고·판단형(TJ) 학생들이나 감정·판단형(FJ) 학생들보다 컴퓨터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감정·판단형(FJ) 학생들과 사고·인식형(TP) 학생들이 사고·판단형(TJ) 학생들보다 게시판에 메시지를 더 많이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선호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에 있어서, 내향형(I) 집단과 외향형(E)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내향형(I) 학생들은 외향형(E) 학생들보다 온라인 게임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내향형 42.3%, 외향형 27.6%), 외향형(E) 학생들은 내향형(I) 학생들보다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활동(게시판에 메시지 올리기, 전자우편 보내기, 채팅에 참가하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타인과 대화 나누기)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외향형 26.2%, 내향형 14.8%). 또한, 판단형(J) 집단과 인식형(P)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인식형(P) 학생들은 판단형(J) 학생들보다 온라인 게임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인식형 38.1%, 판단형 25.4%), 판단형(J) 학생들은 인식형(P) 학생들보다 각종 정보 검색을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판단형 20.6%, 인식형 10.7%).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인터넷 이용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반면에, <가설2>는 부정되었다.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 경험 유무에 있어서 각각의 성격유형별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웹기반 원격교육활용시 중시하는 점에 있어서 성격유형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판단형(J) 학생들이 인식형(P) 학생들에 비해 교사의 피드백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사고·판단형(TJ) 집단과 감정·인식형(FP) 집단이 사고·인식형(TP) 집단에 비해 교사의 피드백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본 연구를 통해, 성격유형이 인터넷 이용과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밝혀졌다. 앞으로, 학습자들의 성격유형이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학업성취도, 만족도, 동기, 학습방법, 학습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성격유형이 인터넷 및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성격유형이 인터넷 및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인터넷 이용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웹기반 원격교육 참여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S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407명이다. 이들을 성격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MBTI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과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 실태에 대한 조사는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t 검정, 일원분산분석,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1>은 긍정되었다. 내향형(I) 학생들이 외향형(E) 학생들보다 컴퓨터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외향형(E) 학생들이 내향형(I) 학생들보다 전자우편을 더 많이 발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인식형(P) 학생들이 판단형(J) 학생들보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사고·인식형(TP) 학생들이 사고·판단형(TJ) 학생들이나 감정·판단형(FJ) 학생들보다 컴퓨터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감정·판단형(FJ) 학생들과 사고·인식형(TP) 학생들이 사고·판단형(TJ) 학생들보다 게시판에 메시지를 더 많이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선호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에 있어서, 내향형(I) 집단과 외향형(E)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내향형(I) 학생들은 외향형(E) 학생들보다 온라인 게임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내향형 42.3%, 외향형 27.6%), 외향형(E) 학생들은 내향형(I) 학생들보다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활동(게시판에 메시지 올리기, 전자우편 보내기, 채팅에 참가하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타인과 대화 나누기)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외향형 26.2%, 내향형 14.8%). 또한, 판단형(J) 집단과 인식형(P)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인식형(P) 학생들은 판단형(J) 학생들보다 온라인 게임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인식형 38.1%, 판단형 25.4%), 판단형(J) 학생들은 인식형(P) 학생들보다 각종 정보 검색을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판단형 20.6%, 인식형 10.7%).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인터넷 이용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반면에, <가설2>는 부정되었다.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 경험 유무에 있어서 각각의 성격유형별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웹기반 원격교육활용시 중시하는 점에 있어서 성격유형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판단형(J) 학생들이 인식형(P) 학생들에 비해 교사의 피드백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사고·판단형(TJ) 집단과 감정·인식형(FP) 집단이 사고·인식형(TP) 집단에 비해 교사의 피드백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본 연구를 통해, 성격유형이 인터넷 이용과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밝혀졌다. 앞으로, 학습자들의 성격유형이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학업성취도, 만족도, 동기, 학습방법, 학습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udents' psychological type (Myers-Briggs Type Indicator) on the use of Internet and web based instruction(WBI). To accomplish the goal, the hypotheses are formulated as follows;

      Hypothesis 1 :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ype,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Internet.

      Hypothesis 2 :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ype,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web based instruc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407 male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Seoul. First, to classify the students by psychological type, researcher examined the psychological type of the students through Form G of the MBTI. And researcher surveyed the status of the usage of Internet and web based instruction through a questionnaire made up of 21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Hypothesis 1 was accepted (p<.05). In the use of computer and Interne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troverts use computers and on-line game services more than Extraverts. Extaverts send more letters and use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ervice more than Introverts. Those in Perceiving group use computer and Internet more than those in Judging group. Those in Judging group use 'information search service' more than those in Perceiving group.
      On the other hand, hypothesis 2 was rejected (p>.0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WBI among the group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udents' psychological type (Myers-Briggs Type Indicator) on the use of Internet and web based instruction(WBI). To accomplish the goal, the hypotheses are formulated as follows; Hypothesis 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udents' psychological type (Myers-Briggs Type Indicator) on the use of Internet and web based instruction(WBI). To accomplish the goal, the hypotheses are formulated as follows;

      Hypothesis 1 :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ype,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Internet.

      Hypothesis 2 :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ype,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web based instruc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407 male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Seoul. First, to classify the students by psychological type, researcher examined the psychological type of the students through Form G of the MBTI. And researcher surveyed the status of the usage of Internet and web based instruction through a questionnaire made up of 21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Hypothesis 1 was accepted (p<.05). In the use of computer and Interne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troverts use computers and on-line game services more than Extraverts. Extaverts send more letters and use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ervice more than Introverts. Those in Perceiving group use computer and Internet more than those in Judging group. Those in Judging group use 'information search service' more than those in Perceiving group.
      On the other hand, hypothesis 2 was rejected (p>.0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WBI among the grou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 문 초 록 ⅰ
      • I.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와 가설 6
      • 3. 연구의 제한점 7
      • 국 문 초 록 ⅰ
      • I.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와 가설 6
      • 3. 연구의 제한점 7
      • II. 이론적 배경
      • 1. 웹기반 원격교육 8
      • 2. 온라인 학습자의 특성 12
      • 3. MBTI의 개념 14
      • 가. Jung의 심리유형론 14
      • 나. MBTI 성격유형 검사 18
      • 다. 성격유형 분류 방식 26
      • 라. MBTI 성격유형과 웹기반 원격교육 30
      •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1. 연구대상 34
      • 2. 자료 수집 방법 34
      • 3. 연구도구 36
      • 가. MBTI 성격유형 검사지 36
      • 나. 인터넷과 원격교육 활용실태에 관한 설문지 37
      • 4. 조사 절차 38
      • 5. 자료 처리 방법 38
      • IV. 연구결과
      • 1. 조사대상자들의 성격유형 분포 39
      • 2. 인터넷 및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 실태 40
      • 3. 성격 유형과 인터넷 이용 44
      • 가. 8가지 선호지표와 인터넷 이용 44
      • 나. ST:SF:NT:NF(기능별 분류)와 인터넷 이용 48
      • 다. SJ:SP:NT:NF(기질별 분류)와 인터넷 이용 49
      • 라. TJ:TP:FJ:FP(Ganey의 분류)와 인터넷 이용 50
      • 마. 성격유형과 인터넷 서비스 선호도 51
      • 4. 성격유형과 웹기반 원격교육 53
      • V. 논의 61
      • VI. 결론 및 제언
      • 1. 결론 65
      • 2. 제언 66
      • 참고문헌 68
      • ABSTRACT 74
      • 부록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