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시 경관자원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Citizen's Cognition for Landscape Resources in Daegu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6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가 가지는 경관자원들의 인지도와 선호도 분석을 통해 경관자원이 도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고, 대구시 경관이미지들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특성을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가 가지는 경관자원들의 인지도와 선호도 분석을 통해 경관자원이 도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고, 대구시 경관이미지들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 자료를 토대로 과거연구와 비교하여 경시적인 경관자원의 인지특성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경관자원 전체적인 인지도와 선호도에 대한 평가의 경우, 네 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여 나온 결과 ‘문화적 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역사·유적 자원’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고, ‘가로·산업 자원’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둘째, 경관자원 전체의 이미지 선호도‧인지도 구조에 대한 결과는, 선호도는 높으나 인지도가 떨어져서 앞으로 대표경관이 될 수 있는 ‘신천변 녹지’ ‧ ‘월광수변공원’ ‧ ‘계산성당’ 등은 도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잠재자원으로서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도시 이미지 향상에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대구지역과 타지역민의 선호도 관계는, 대체적으로 비례관계를 보였으나 지역민과 타지역민의 선호도에 반비례 관계를 보여주는 10개소의 자원들에 대해서는 경관개선에 대한 방향설정을 다르게 하여 선호도를 올릴 수 있다고 하겠다.

      넷째, 성별에 따른 경관자원의 인지도는 차이를 보인 자원이 있었으나 선호도의 경우에는 성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연령에 따른 인지도 차이는 6개소의 경관자원을 제외하고는 연령에 따라 인지도 차이를 보였다. 선호도 차이를 가장 나타낸 자원들의 경우 경시적 흐름에 따른 경관의 정비와 조성이 필요한 결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관자원의 인식변화를 2000년 연구와 비교한 결과, 과거보다 선호도와 인지도가 상승한 경관자원인 ‘국립대구박물관’과 ‘비슬산 군립공원’ 등의 평가가 높아졌으며 ‘현풍석빙고’, ‘경상감영공원’ 등의 경관자원은 과거보다 인지도와 선호도가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은 경관자원의 경우 지속적인 경관의 유지와 관리를 통해 자원 활용가치를 유지하고, 이와 반대인 경관자원의 경우 경관의 정비와 개선이 필요함과 동시에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이 필요하다.

      여섯째, 대구시 대표경관을 분석한 결과, ‘팔공산’이 꼽혔으며, 대구지역민은 ‘팔공산’, 타지역민은 ‘동성로’로 나타나, 대구지역민과 타지역민과의 대구 대표경관의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이런 기준을 토대로 각각의 경관의 주 이용자층을 파악한 경관자원의 활용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일곱째, 구별 대표경관으로서 중구는 ‘동성로’, 동구는 ‘동촌유원지’, 남구는 ‘앞산’, 북구는 ‘엑스코’, 수성구는 ‘수성못’, 달서구는 ‘대구수목원’, 달성군은 ‘비슬산’ 등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서구와 달성군의 경우 대표경관이 될 만한 자원이 가장 빈약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남구와 수성구는 자원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덟째, 대구 도시이미지에 대한 분석결과, ‘주변산(팔공산 등)’이 도시이미지 형성요소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대구시 경관과 타 도시의 경관과의 비교는 ‘보통’의 결과를 얻었으나 타지역민의 평가가 더 좋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구시 각각의 경관에 대한 이미지는 ‘공원 및 가로녹지(가로수)’에 대한 이미지가 가장 높았으며, ‘공업지역 경관’의 이미지가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공업지역 경관개선을 통하여 대구시 공업지역 경관의 이미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이미지를 활성화 시켜, 도시이미지를 높이려는 단체‧ 지역주민들과 타지역민들의 인지특성과의 관계 나아가 도시이미지와 경관자원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도시이미지와 경관자원들의 요소를 통해 도시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하는 작업에 기초가 될 것이며,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도시이미지와 경관자원들에 대해서는 개선작업을 통하여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구시 경관자원과 도시이미지의 인지특성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그리고 도시경관자원의 활용방안과 경관형성계획의 정책적 제언 그리고 도시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서 도시이미지와 경관자원에 대한 인지특성의 경시적 변화를 고찰하여, 변화추세를 고찰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landscape resources on the establishment of urban images based on analyse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of landscape resourc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lso,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nges in cognitio...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landscape resources on the establishment of urban images based on analyse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of landscape resourc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lso,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nges in cognition of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ta of this study and that of existing studies.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evaluation of overall awareness and preference of 4 categories of landscape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was found to be of the highest level while awareness of ‘historic resources’ and preference of ‘streets and industrial resources’ showed in the lowest levels.

      Second, as for the structure of preference and awareness of overall landscape resources, preference was high while awareness was low, which reveals that ‘greens of the Shincheon Stream’, ‘Wolgwang Lakeside Park’ and ‘Kyesan Catholic Church’ as potential resources to improve the city's images and representative landscape in the future may provide a fast urban image recovery through active marketing.

      Third, preferences of residents in Daegu and other areas tended to be similar. However, as for resources in ten areas which show reverse proportional relations in terms of preference between residents of Daegu and other areas, preference could be improved as the directions for landscape enhancement are differentiated.

      Fourth, there were resources which showed a difference by gender in terms of awareness while preference did not relate to any gender-led differences. As for differences of awareness by age, there was a difference of awareness by age except for landscape resources in six areas. Resources pertaining to the most obvious difference in preference will need the re-arrangement and establishment of landscape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flow.

      Fifth,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awareness of landscape resources with studies conducted in 2000, preference and awareness of ‘Daegu National Museum’ and ‘Biseulsan Mountain County Park’ increased while that of ‘Hyeonpung Seokbinggo (Ice-storing Stone Warehouse)’ and ‘Gyeongsang Gamyeong Park’ decreased. As for landscape resources highly recognized and preferred, the consist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may preserve the value of resources use while those lowly recognized or preferred will need re-arrangement and improvement as well as proa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at the same time.

      Sixth, the results from analyses of representative landscap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cluded ‘Palgongsan Mountain’. Residents in Daegu selected ‘Palgongsan Mountain’ while those in other areas selected ‘Dongseongro Road’, which shows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representative landscapes of Daegu. These standards can be a basis of the use of landscape resources buttressed by identification of main users of each landscape.

      Seventh, representative landscapes by ‘gu’ (district) included ‘Dongseongro Road’ in Jung-gu, ‘Dongchon Resort’ in Dong-gu, ‘Apsan Moutain’ in Nam-gu, ‘EXCO’ in Buk-gu, ‘Suseong Lake’ in Suseong-gu, ‘Daegu City Arboretum’ in Dalseo-gu, and ‘Biseulsan Mountain’ in Dalseong-gun. These results also reveal that Seo-gu and Dalseong-gun have the most insufficient representative landscape resources. On the other hand, Nam-gu and Suseong-gu were found to have rich landscape resourc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of Daegu's urban images, ‘nearby mountains (Palgongsan Mountain, etc.)’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s among the elements forming urban images. Although Daegu Metropolitan City was found to be ‘ordinary’ in comparison with other cities, the evaluation of the city by residents tended to be higher than other city's residents. As for images of each landscap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image of ‘parks and greens on the streets (street trees)’ was of the highest level while that of ‘industrial areas’ was of the lowest level.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mage of industrial areas of the city.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brand images of city based on the analysis of landscape resources by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The elements of urban images and landscape resources which resulted in positive evaluation in the study could be a basis to form urban brand images. At the same time,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and provide solutions to problems pertaining to urban images and landscape resources of negative assess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wareness of landscape resources and urban imag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It is believed that they will work as basic materials for the ways to use urban landscape resources, policy suggestions in plans to develop landscape, and reinforcement of urban brand images. Additionally,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have led to an exploration of longitudinal changes and trends in thes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awareness of urban images and landscape resour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 론 1
      • Ⅱ.이론적 고찰 3
      • 1. 경관자원의 개념 3
      • 2. 관련 연구 동향 4
      •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6
      • Ⅰ.서 론 1
      • Ⅱ.이론적 고찰 3
      • 1. 경관자원의 개념 3
      • 2. 관련 연구 동향 4
      •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6
      • 1. 연구의 범위 6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 1) 조사내용 및 방법 6
      • 2) 분석 방법 7
      • Ⅳ. 결과 및 고찰 10
      • 1. 경관자원 인지도와 선호도 평가 10
      • 1) 전체 경관자원의 인지특성 분석 12
      • 2) 역사유적 자원에 대한 분석 19
      • 3) 문화 자원에 대한 분석 24
      • 4) 자연공원 자원에 대한 분석 29
      • 5) 가로산업 자원에 대한 분석 34
      • 6) 경관자원의 이미지 구조 변화 분석 39
      • 2. 대표경관과 도시경관 이미지 42
      • 1) 대표경관 분석결과 42
      • 2) 구별 대표경관 분석결과 44
      • 3) 도시이미지 및 경관 분석 47
      • 4) 대구시 경관의 비교 분석 48
      • 5) 대구시 경관 유형에 대한 분석 49
      • 6) 대구시 경관유형 변수들의 요인분석 및 회귀모델 51
      • Ⅴ. 결론 53
      • 참고문헌 56
      • 부 록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