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유아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방안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유아교사 5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26761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01-627(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유아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방안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유아교사 5명...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유아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방안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2회 실시하였다. 구조적 코딩과 내성 코딩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로부터 개념을 도출하고, 반복적으로 재범주화를 수행하여최종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사들은 아는 만큼 세계시민교육이 달라지며, 유아세계시민교육이 포괄적인내용을 담고 있어 다른 교육들과의 연결 속에서 교육과정 전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이러한 유아세계시민교육이 모든 연령의 유아를 위한 교육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적인실천 방안을 살펴보면,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관심을 파악하고, 관심을 더 끌어내기도 하며, 학급의 문제에 유아를참여시키고,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개념을 짚어주고, 일상에서 가르칠만한 순간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목소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가능성 및 구체적인 방안에대한 시사점을 얻고 교사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반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qualitatively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w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acticed early ch...
This study aimed to qualitatively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w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acticed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ir institutions. Structural coding and in vivo coding were used to derive concepts from the collected data, and iterative re-categorization was performed to derive the final them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more teachers know, the more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hanges. They also recognized that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inclusive and needs to be approached in an in tegrated manner across the curriculum with connections to other forms of education. Additionally, they acknowledged that it is education for children of all ages. In terms of specific practices, early childhood teachers identified and further engaged young children’s interests, involved them in classroom problems, pointed out key concepts of global citizenship, and capitalized on teachable moments. The findings provide significant insights into the applica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through the vo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teacher support programs.
AI 활용 교육의 사회・윤리적 쟁점에 관한 교원의 인식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비교과 강좌 개발 및 실행에 관한 연구: 독도 교육을 중심으로
교사정서, 교사소진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구조방정식 기반 메타분석
가족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 CQR-M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