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리듬표현활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것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인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리듬표현활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것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인 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리듬표현활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것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인 교수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다. 리듬표현활동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의논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 교사들이 직접 참여하게 하고자교사들과 함께 다중지능에 기초한 표현활동 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교수학습공동체 구성원중 1인 교사는 본인이 재직하고 있는 학교 4학년 학생 63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다중지능이론을 기초로 한표현활동 프로그램을 8주간 실행하였다. 또한 통제집단으로 동일한 학교 4학년 학생 60명을 선정하여 기존 교과서의 표현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통제그룹보다 실험그룹의 평균 리듬표현능력이 재미요인을 통하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미적체험, 자신감, 즐거움 그리고 협동성함양 신장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n the rhythm expression ability of the elementary students. For the research, I constitute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n the rhythm expression ability of the elementary students. For the research, I constitute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mmunity which is a new paradigm for the educational method. With this teachers’ community, we, together, developed a detailed expression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 order to discuss various problems of rhythm express activities for the elementary students and to involve the teachers directly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During the process, a teacher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mmunity selected 63 4th grade students in Gwang-ju area that she was teaching, and implemented the expression activity program for eight weeks. And for the control group, 60 students from the same school were selected and we implemented the program in the current textbook.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rhythm expression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tudents through the enjoyment factor. And, there are the positive influence upon the sub-factors of dance course enjoyment which are esthetic expression experience, self-confidence, satisfaction and the sprit of team work.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숙영, "초등학교 표현활동수업 실천의 어려움"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41-61, 2007
2 이종형, "초등학교 표현활동 교육실태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91-200, 2009
3 황경숙,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제자리 찾기" 한국체육철학회 20 (20): 99-113, 2012
4 노미현,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정희자,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91-101, 2011
6 이미경, "초등교사와 학생이 선호하는 체육수업내용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손은정, "초등 교사의 무용수업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교육과학기술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9
9 김현정,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이창섭,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42 (42): 161-174, 2003
1 황숙영, "초등학교 표현활동수업 실천의 어려움"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41-61, 2007
2 이종형, "초등학교 표현활동 교육실태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91-200, 2009
3 황경숙,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제자리 찾기" 한국체육철학회 20 (20): 99-113, 2012
4 노미현,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정희자,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91-101, 2011
6 이미경, "초등교사와 학생이 선호하는 체육수업내용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손은정, "초등 교사의 무용수업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교육과학기술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9
9 김현정,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이창섭,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42 (42): 161-174, 2003
11 김선아, "중등 미술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반성적 사고도구 개발" 한국미술교육학회 25 (25): 57-82, 2011
12 최남정,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 심미교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13 서경혜,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85-310, 2005
14 서진아,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에서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에 관한 연구 : 전국미술교과모임 참여 교사의 사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15 최진영,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따른 사회과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17-240, 2006
16 김성천,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 협동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17 이창섭,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에 대한 연구" 19 (19): 49-63, 2001
18 정광진,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표현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초등학생의 운동참여가 정신력, 회복탄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체조선수의 스포츠심리상담 및 심리기술훈련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4-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 |
2011-04-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 |
2011-03-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7 | 1.67 | 1.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 | 1.37 | 1.644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