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교육개발센터의 경향과 발전방향 =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9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ission of university faculty is rapidly changing from 'the research functioning' to ‘the teaching functioning'. To be a good teacher, he must have a good character, a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his major, the presentation skill of communicati...

      The mission of university faculty is rapidly changing from 'the research functioning' to ‘the teaching functioning'. To be a good teacher, he must have a good character, a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his major, the presentation skill of communicating with students, the facilitating skills of study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urgent needs, lots of universities have founded CTL(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So this study searches for CTL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TL of 21 universities in our country.
      Several approaches a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 training the lecture methods for full-time professors, part-time lecturers, assistants individually.
      : organizing the students' studying group and helping the tutor for the tutees.
      : the assessment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concerning the lecture during the mid-term periods.
      : opening the career guidance and career exploratory programs for the students.
      :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about the general education, major programs, cooperative programs with the another maj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의 3대 역할은 연구와 교육 그리고 사회봉사영역인데 이 중에서 최근 교육영역에 대한 필요가 제기되었고 이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하여 대학교육개발센터(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가 설...

      대학의 3대 역할은 연구와 교육 그리고 사회봉사영역인데 이 중에서 최근 교육영역에 대한 필요가 제기되었고 이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하여 대학교육개발센터(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가 설립되었다. 이 기관은 교수들에게는 효과적인 교수법을, 학생들에게는 효과적인 학습법을 통하여 돕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개발센터가 교수와 학생들의 욕구를 수용 내지는 충족시켜야 한다는 취지 하에 21개 대학을 대상으로 국내 대학의 교육개발센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업무의 경향과 미국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수-학습 관련 프로그램의 경향을 살펴보고 앞으로 대학교육개발센터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미국의 경우 교수개발, 조직개발, 학습지원과 개발 등으로 영역이 구분되어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교수지원, 학습지원, 교수 및 학습매체의 제작, 교육과정의 개발 등으로 큰 분류를 할 수 있다.교수지원으로는 첫째, 개별 및 그룹별 지원 프로그램으로서 신임교원 오리엔테이션, 대상별로 차별화된 교수법 강좌, 강의 비디오 촬영/개별 상담, 강의 중 학습자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할 수 있고 둘째, 특별 프로그램 운영인데 특별 연사 초청 강연, 우수 강의교수 강좌 시리즈, 연례적 교육주간 운영, 각종 워크숍 등을 운영하도록 하며 셋째, 교수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활동으로 교수법 및 학습지도 관련 도서 및 자료 발간, 강의 tips 제공, 우수교수 사례 소개 등을 권장할 수 있다.학습지원으로는 첫째, 개별 및 집단 지도 프로그램으로서 학습상담, 클리닉 운영, 스터디 그룹 조직, 학습 튜터 제도 운영, 학습 스타일 진단검사 및 컨설팅 등을 실시할 수 있고 둘째, 특별 프로그램 운영으로는 신입생 세미나 운영, 개인별 배경에 따른 학습 및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 바람직한 대학생활 안내 프로그램, 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 학습관련 워크숍 개최, 셋째, 학습관련 자료제공 활동인데, 학습안내서 발간, 학습 tips 제공 등을 실시할 수 있다. 교수 및 학습 매체의 제작 지원으로는 첫째, 효율적 활용 방법 지도 영역으로 사이버 및 멀티미디어 강의 개발, 멀티미디어 기자재 사용 및 활용 방법, 둘째, 자료 제공 및 기술 지원영역으로 교육매체 보유현황 자료집 발간, 각종 매뉴얼 제작, 교육매체 시설 및 장비에 대한 기술지원 등이다.교육과정개발 영역에서는 교육과정(운영) 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교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공 교육과정 개발, 전공간 협력 프로그램 개발 등을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호, "세계의 대학교육" 문이당 1995

      2 김봉진, "삼육대학교 재학생 대학생활 만족도조사 학생생활연구" (2) : 69-114, 1998

      3 김은주, "미국의 CTL 동향소개, 제1회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심포지엄 주제강연" 2004

      4 박부권, "대학의 교수학습풍토 쇄신 방안 탐색 대학의 교수학습풍토 쇄신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19941994

      5 이현청, "대학교육의 발전과 교육개발센터의 과제, 제1회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심포지엄 명강의 노하우" 2003

      6 변영계,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03

      7 Cohen, "Searching for a Magic bullet Education Researcher" 16-20, 1987

      8 Matkin, "Faculty development in a research-oriente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Unpublished paper 1992

      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4년도 대학 종합평가인정제 시행을 위한 대학 종합평가 편람" 2004

      1 이성호, "세계의 대학교육" 문이당 1995

      2 김봉진, "삼육대학교 재학생 대학생활 만족도조사 학생생활연구" (2) : 69-114, 1998

      3 김은주, "미국의 CTL 동향소개, 제1회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심포지엄 주제강연" 2004

      4 박부권, "대학의 교수학습풍토 쇄신 방안 탐색 대학의 교수학습풍토 쇄신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19941994

      5 이현청, "대학교육의 발전과 교육개발센터의 과제, 제1회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심포지엄 명강의 노하우" 2003

      6 변영계,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03

      7 Cohen, "Searching for a Magic bullet Education Researcher" 16-20, 1987

      8 Matkin, "Faculty development in a research-oriente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Unpublished paper 1992

      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4년도 대학 종합평가인정제 시행을 위한 대학 종합평가 편람"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4 1.94 2.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35 2.393 0.9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