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저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lf-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 in journal theraphy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54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요약

      본 연구는 저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중년기 여성이 인생 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은 무엇인지,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 경험은 어떠한지,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를 통한 자기이해 경험은 어떠한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중년기 여성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들여다보았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연구결과는 크게 세 개의 범주에 따라 기술되었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이 인생 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은 크게 ‘제 2의 사춘기’, ‘후회와 희망’, ‘성찰과 실행’으로 범주화되었다. 중년기 여성들이 가장 먼저 느끼는 변화는 신체적 변화였다. 하고 싶은 일도 해야 할 일도 많은데 몸이 잘 따라 주지 않을 때, 중년기 여성들은 정신과 육체의 불균형 속에서 힘들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년기 여성들은 비단 몸만이 아니라 급변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갈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제 2차 성장의 시기이기도 한 중년기 여성들은 이 시기에 또 한번의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기도 한다. 종종 뒤틀린 모습으로 나타나는 청년기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훌륭하게 조명한 심리학자 Erikson, E. H.(1963)도 인생후반기에 개인의 정체성 형성은 끊임없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과정이어야 한다고 말했다(Sadler, 2006). 여전히 비틀거리며 혼란스럽다는 중년기 여성들에게 ‘나 이런 사람이에요.’ 라고 말할 수 있는 정체성의 확립이 절실했다. 중년기 여성들은 열심히 살아왔지만, 삶의 많은 부분이 후회로 얼룩져 있었다. 그 중 가장 큰 후회는 가족에게 못 해 준 것들과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막지 못한 죄책감이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는 시기도 바로 중년기이다. 비틀거리다가도 제 자리를 찾아나가며 어둠 속에서도 한 줄기 빛을 찾으려는 열정이 중년기 여성을 버티게 하는 힘이었다. 결국 중년기 여성들은 자신에 대한 깊은 통찰 후, 선택과 집중을 하는 데 있어 진지하고 절실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남은 생을 후회 없이 보내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스스로 찾아가고 있었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 경험’은 크게 ‘글쓰기의 의미’, ‘함께 쓰기의 묘미’로 범주화 되었다. 저널치료는 중년기 여성들의 잠자고 있던 글쓰기 욕구를 불러일으켰다. 책값이 우울증 약값보다 싸다고 하며, 책읽기와 글쓰기는 절망 속에 빠진 자신에게 삶을 선물 해 준다는 가인의 고백이 인상적이었다. 글쓰기가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때로 글쓰기는 아픈 기억을 회상하며 불가능을 기대하게 한다는 점에서 쓸 수도 쓰지 않을 수도 없는 딜레마라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저널치료를 통해 자신만의 문제에 깊숙이 들어가 저마다의 심각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기르게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아픔을 딛고 글을 쓸 수 있을 만큼의 힘을 얻게 되며,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다가 올 미래를 계획하게 되었다고 했다. 또한 저널치료는 다양한 삶 속에서 다른 사람의 삶을 들여다보며 나의 삶의 무게를 내려놓을 수 있으며 다양한 삶의 풍경 속, 나의 삶도 한 폭의 그림임을 깨닫게 한다고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누구에게도 말 할 수 없어 몰래 눈물 흘리던 아픈 기억들을 꺼내 놓고 말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고 했다. ‘소통과 교감’은 중년기 여성들의 삶의 중요한 과업이었으며, 저널치료 프로그램을 함께 하며 서로에게 높은 등급의 보석과 같은 연대감을 갖게 되었다고 했다.
      셋째,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를 통한 자기이해 경험’은 ‘자기감정에 대한 이해’, ‘자기태도에 대한 이해’, ‘자기신념에 대한 이해’로 범주화되었다. 중년기 여성의 억압된 감정은 울고 싶어도 눈물이 나지 않았으며, 정리되지 않은 감정은 시퍼렇게 멍이 들어 가슴 속 암덩이를 가지고도 표현하지 못한 아픔을 갖게 했다. 참여자 대부분은 우울을 혹처럼 달고 있었으나, 이 우울감을 표현하기에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너무 많은 감정의 소모를 경험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 중 몇몇은 여전히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중년기 여성은 ‘감정은 태어나고 죽고 다시 태어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삶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살에 관한 충동도 자식으로 인해 잠재울 수 있었다고 했다. 이들은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상처를 입었으며 가장 큰 상처는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받은 상처였다. 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절망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 “그동안 잘 보내서 다행이야, 고생 했어” 라고 스스로에게 하는 위로는 가장 큰 힘이 되었으며, 자신을 가장 사랑해 줄 사람은 바로 자신임을 알고 있었다. 심하게 꼬여있는 삶도 결국 스스로 풀어나가야 하며 또 이를 바탕으로 더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것도 결국 자신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이해 경험을 통해 중년기는 나이가 든다는 것, 몸이 노화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긍정적인 부분이 훨씬 더 많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길 원하며 좋은 사람이 되어 이 사회에 따스한 빛이 되길 소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원하는 가장 안정적인 상황은 돈도 명예도 아니었다. 솔직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 가면을 쓰지 않아도 되는 삶을 추구하고 있었다. 가장 좋은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 인생의 후반, 그것을 위해 인생의 전반이 존재(Sadler, 2006)하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연구의 요약 본 연구는 저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중년기 여성이 인생 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은 무엇인지, 중년기 여성의 저...

      연구의 요약

      본 연구는 저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중년기 여성이 인생 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은 무엇인지,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 경험은 어떠한지,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를 통한 자기이해 경험은 어떠한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중년기 여성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들여다보았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연구결과는 크게 세 개의 범주에 따라 기술되었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이 인생 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은 크게 ‘제 2의 사춘기’, ‘후회와 희망’, ‘성찰과 실행’으로 범주화되었다. 중년기 여성들이 가장 먼저 느끼는 변화는 신체적 변화였다. 하고 싶은 일도 해야 할 일도 많은데 몸이 잘 따라 주지 않을 때, 중년기 여성들은 정신과 육체의 불균형 속에서 힘들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년기 여성들은 비단 몸만이 아니라 급변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갈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제 2차 성장의 시기이기도 한 중년기 여성들은 이 시기에 또 한번의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기도 한다. 종종 뒤틀린 모습으로 나타나는 청년기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훌륭하게 조명한 심리학자 Erikson, E. H.(1963)도 인생후반기에 개인의 정체성 형성은 끊임없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과정이어야 한다고 말했다(Sadler, 2006). 여전히 비틀거리며 혼란스럽다는 중년기 여성들에게 ‘나 이런 사람이에요.’ 라고 말할 수 있는 정체성의 확립이 절실했다. 중년기 여성들은 열심히 살아왔지만, 삶의 많은 부분이 후회로 얼룩져 있었다. 그 중 가장 큰 후회는 가족에게 못 해 준 것들과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막지 못한 죄책감이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는 시기도 바로 중년기이다. 비틀거리다가도 제 자리를 찾아나가며 어둠 속에서도 한 줄기 빛을 찾으려는 열정이 중년기 여성을 버티게 하는 힘이었다. 결국 중년기 여성들은 자신에 대한 깊은 통찰 후, 선택과 집중을 하는 데 있어 진지하고 절실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남은 생을 후회 없이 보내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스스로 찾아가고 있었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 경험’은 크게 ‘글쓰기의 의미’, ‘함께 쓰기의 묘미’로 범주화 되었다. 저널치료는 중년기 여성들의 잠자고 있던 글쓰기 욕구를 불러일으켰다. 책값이 우울증 약값보다 싸다고 하며, 책읽기와 글쓰기는 절망 속에 빠진 자신에게 삶을 선물 해 준다는 가인의 고백이 인상적이었다. 글쓰기가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때로 글쓰기는 아픈 기억을 회상하며 불가능을 기대하게 한다는 점에서 쓸 수도 쓰지 않을 수도 없는 딜레마라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저널치료를 통해 자신만의 문제에 깊숙이 들어가 저마다의 심각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기르게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아픔을 딛고 글을 쓸 수 있을 만큼의 힘을 얻게 되며,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다가 올 미래를 계획하게 되었다고 했다. 또한 저널치료는 다양한 삶 속에서 다른 사람의 삶을 들여다보며 나의 삶의 무게를 내려놓을 수 있으며 다양한 삶의 풍경 속, 나의 삶도 한 폭의 그림임을 깨닫게 한다고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누구에게도 말 할 수 없어 몰래 눈물 흘리던 아픈 기억들을 꺼내 놓고 말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고 했다. ‘소통과 교감’은 중년기 여성들의 삶의 중요한 과업이었으며, 저널치료 프로그램을 함께 하며 서로에게 높은 등급의 보석과 같은 연대감을 갖게 되었다고 했다.
      셋째,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를 통한 자기이해 경험’은 ‘자기감정에 대한 이해’, ‘자기태도에 대한 이해’, ‘자기신념에 대한 이해’로 범주화되었다. 중년기 여성의 억압된 감정은 울고 싶어도 눈물이 나지 않았으며, 정리되지 않은 감정은 시퍼렇게 멍이 들어 가슴 속 암덩이를 가지고도 표현하지 못한 아픔을 갖게 했다. 참여자 대부분은 우울을 혹처럼 달고 있었으나, 이 우울감을 표현하기에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너무 많은 감정의 소모를 경험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 중 몇몇은 여전히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중년기 여성은 ‘감정은 태어나고 죽고 다시 태어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삶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살에 관한 충동도 자식으로 인해 잠재울 수 있었다고 했다. 이들은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상처를 입었으며 가장 큰 상처는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받은 상처였다. 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절망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 “그동안 잘 보내서 다행이야, 고생 했어” 라고 스스로에게 하는 위로는 가장 큰 힘이 되었으며, 자신을 가장 사랑해 줄 사람은 바로 자신임을 알고 있었다. 심하게 꼬여있는 삶도 결국 스스로 풀어나가야 하며 또 이를 바탕으로 더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것도 결국 자신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이해 경험을 통해 중년기는 나이가 든다는 것, 몸이 노화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긍정적인 부분이 훨씬 더 많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길 원하며 좋은 사람이 되어 이 사회에 따스한 빛이 되길 소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원하는 가장 안정적인 상황은 돈도 명예도 아니었다. 솔직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 가면을 쓰지 않아도 되는 삶을 추구하고 있었다. 가장 좋은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 인생의 후반, 그것을 위해 인생의 전반이 존재(Sadler, 2006)하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의 6
      • 1) 중년기 여성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의 6
      • 1) 중년기 여성 6
      • 2) 자기이해 6
      • 3) 저널치료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중년기 여성의 특성 8
      • 1) 중년기의 개념 및 특성 8
      • 2) 중년기 여성의 삶과 경험 10
      • 2.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 13
      • 1) 자기이해 13
      • 2)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 15
      • 3. 저널치료에 대한 이해 18
      • 1) 저널치료의 개념 18
      • 2) 저널치료의 효과 22
      • 3) 저널치료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24
      • Ⅲ. 연구 방법 27
      • 1. 현상학적 연구방법론 27
      • 2. 연구자 30
      • 3. 연구 참여자 32
      • 1) 연구 참여자 선정기준 및 선정과정 32
      •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34
      • 3)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41
      • 4. 연구 설계 및 절차 41
      • 1) 저널치료 프로그램 구안 전 준비과정 43
      • 2) 저널치료 프로그램 구안 전 예비연구 44
      • 5.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를 위한 저널치료 프로그램 45
      • 1) 저널치료 프로그램의 목적 45
      • 2) 저널치료 프로그램의 구안 과정 및 예비 프로그램 시행 45
      • 3)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를 위한 저널치료 프로그램의 내용 47
      • 6. 자료수집 49
      • 7. 자료의 분석과 해석 52
      • Ⅳ. 중년기 여성이 인생 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 56
      • 1. 제 2의 사춘기 56
      • 1) 신체적 변화 56
      • 2) 정체성 혼란 59
      • 2. 후회와 희망 61
      • 1) 지나온 삶에 대한 후회 62
      • 2) 앞으로의 삶에 대한 희망 65
      • 3. 성찰과 실행 68
      • 1) 자아통찰 68
      • 2) 선택과 집중 70
      • Ⅴ.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 경험 73
      • 1. 글쓰기의 의미 73
      • 1) 글 쓰는 존재로서의 자기 확인 73
      • 2) 자기 생을 성찰하는 글쓰기 78
      • 3) 정화와 통찰 81
      • 2. 함께 쓰기의 묘미 89
      • 1) 다양한 삶 속의 나 89
      • 2) 역동 안에서 나를 발견함 90
      • 3) 소통과 교감 92
      • Ⅵ.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를 통한 자기이해 경험 98
      • 1. 자기감정에 대한 이해 98
      • 1) 억압된 감정 99
      • 2) 표현된 우울감 102
      • 3) 감정의 변화 104
      • 4) 자기위로 112
      • 2. 자기태도에 대한 이해 114
      • 1) 사회적 가면 114
      • 2) 삶에 대한 태도 116
      • 3) 우울감 극복 121
      • 3. 신념에 대한 이해 122
      • 1) 사람에 대한 신념 122
      • 2) 일에 대한 신념 125
      • 3) 상황에 대한 신념 126
      • Ⅶ. 결론 128
      • 1. 연구의 요약 128
      • 2. 논의 및 연구의 잠정적 결론 131
      • 1) 논의 131
      • 2) 연구의 잠정적 결론 135
      •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제언 136
      • 1) 연구의 의의 136
      •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37
      • 4. 연구자의 해석학적 순환 138
      • 참 고 문 헌 142
      • 부 록 153
      • <부록 1> 저널치료 프로그램 154
      • <부록 2> 저널치료 워크북 160
      • <부록 3> 연구 참여자 동의서 185
      • <부록 4> 일반적 특성에 대한 질문 내용 186
      • <부록 5> 저널치료 프로그램 중과 후의 질문 187
      • <부록 6> 연구에 대한 본 질문 내용: 개별심층면담 188
      • <부록 7> 코딩 원 자료 189
      • Abstract 1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명자, "달", 서울: 교문사, 2003

      2 이형득, "집단상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2

      3 정옥분,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3

      4 Pennebaker, J. W., "글쓰기 치료", 서울: 학지사, 2007

      5 정옥분, "애착과 발달", 서울: 학지사, 2015

      6 정성호, "중년의 사회학", 서울: 살림, 2006

      7 김애순, "장 노년 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5

      8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9 박혜란, "나이듦에 대하여", 서울: 웅진닷컴, 2001

      10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 2003

      1 김명자, "달", 서울: 교문사, 2003

      2 이형득, "집단상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2

      3 정옥분,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3

      4 Pennebaker, J. W., "글쓰기 치료", 서울: 학지사, 2007

      5 정옥분, "애착과 발달", 서울: 학지사, 2015

      6 정성호, "중년의 사회학", 서울: 살림, 2006

      7 김애순, "장 노년 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5

      8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9 박혜란, "나이듦에 대하여", 서울: 웅진닷컴, 2001

      10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 2003

      11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경기도: 아카데미프레스, 2012

      12 김남선, 조영달, 장연집, 신경림, "질적연구용어사전", 서울: 현문사, 2003

      13 Gardner, H., "마음의 틀. 이경희 역", 서울: 양서원, 1983

      14 박아청, "성격발달 심리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006

      15 이형득, "인간관계 훈련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82

      16 박효정, 하대현, 정종진, 정재걸, 이영만, 유승희, 신명희, 성용구, "다중 지능 이론과 수업", 서울: 양서원, 2006

      17 공병혜, "간호연구에서의 현상학", 현상학과 현대철학, 23, 151-178, 2004

      18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999

      19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철학과 현상학연구, 24. 256-268, 2005

      20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파주: 한길사, 2014

      21 장연집, "신념체계와 전체성 탐색", 여성건강, 3(2), 1-17, 2002

      22 채연숙, "글쓰기 치료-이론과 실제", 대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0

      23 이오덕,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 서울: 보리, 2004

      24 구인회, "죽음에 관한 철학적 고찰", 서울: 한길사, 2015

      25 송승필, "죽음을 알면 삶이 보인다", 서울: 시간의 물레, 2016

      26 차미숙, "저널치료를 통한 자아발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7 Adams, K., "저널치료 (강은주 이봉주 역)", 서울: 학지사, 2006

      28 김미영, 장연집, 신경림, 박인숙, "정승은 현상학과 심리학연구", 서울: 현문사, 2004

      29 권석만, 허인섭, 정준영, 우희종, 박찬국, 김진무, 김종주, "나, 버릴 것 인가 찾을 것인가", 서울: 운주사, 2008

      30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대한간호학회지, 29(6), 1208-1220, 2000

      31 강은주, "글쓰기치료에 관한 이론적 고찰", 총신대논총, 25, 283-315, 2005

      32 김미경, "중년기 부부 위기와 기독교 상담", 복음과 상담, 15권 0호, 137-159, 2010

      33 Van Manen. Max., "Van Manen. Max. 체험연구 (신경림 역)", 서울 : 현문사, 2000

      34 Levinson, D. J., "The Seasons of a women's Life. (김애순 역)", 서 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35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4

      36 Rogers. C. R., "Rogers. C. R. 사람중심상담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2009

      37 이서영, "자기이해를 위한 인문적 사회과교육",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8 Conway, J., "남자나이 마흔이 된다는 것 (한성열역)", 서울: 학지사, 2005

      39 김춘경, 변외진, "중년여성의 우울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지, 44(7), 125-139, 2007

      40 Sadler, W., "서드에이지, 마흔 이후 30년 (김경숙 역)", 서울: 사이, 2006

      41 연합뉴스, "연합뉴스 5060세대 54% “내가 가장소중”", 키워드는 ‘리본 (Re-born)’. http://www.yonhapnews.co.kr, 2018

      42 이부영, "분석심리학: C. G. 융의 인간심성론 제 3판", 서울: 일조각, 2011

      43 Marina Benjamin., "Marina Benjamin. 중년, 잠시 멈춤. (이은숙 역)", 서울: 웅진지식하 우스, 2016

      44 김정애, 이우진, "미술치료 전공자의 저널쓰기 체험의 의미", 미술치료연 구, 23, 1447-1468, 2016

      45 이우진, "미술치료 전공자의 저널쓰기 체험의 의미",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46 이남인, "하이데거의 후설 비판과 해석학적 현상학", 현상학과 현대철학, 8, 199-242, 1996

      47 김명자, "중년기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48 강정호, "자기이해에 기초한 신앙성장 교육교재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9 민경화, 이승화, "중년기 삶의 의미 유형에 따른 분류 및 특성",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6(5), 399-415, 2015

      50 박아청, "여성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115-126, 2000

      51 신세정, "사회적 가면 페르소나를 통한 자아 표현 연구", 국민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2 박명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관련요인 분석", 여성건강간호학 회지, 3(2), 139-157, 1997

      53 Gardner, H., "다중지능, 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문용린 역)", 서울: 김 영사, 1999

      54 박재연, 박태경, "중년기 여성의 자기실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예술인 문 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 523-532, 2018

      55 김영천, "질적 자료분석 방법으로서 영역 분석: 질적 탐구", 3(1), 133-155, 2017

      56 Corey, G., Corey, M. S., "전 생애 발달과 적응 (이은경, 이지연, 장미경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57 유혜령, "질적 연구의 자료 해석 과정: 현대 해석학의 관점", 교육인류학 연구회 하계 워크숍 자료집, 1998

      58 김재휘, 한미영, 안서원, "30대 미혼 여성의 삶의 후회와 주관적 안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24(1), 29-46, 2010

      59 Spradley, J., "Participant Observation . (신재영 역). (2006). 참여관 찰법", 서울: 시그마프레스, 1980

      60 이명희, 이제경, "수능 직전 고3 학생을 위한 진로저널 프로그램 연구", 상담학연구, 13(4), 1975-2000, 2012

      61 임영희, "중년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 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2 권석만, "유성진 심리치료에서 도식과 양식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 학회지: 일반, 27(1), 91-117, 2008

      63 윤정하, "학습의 어려움을 가진 아동의 부모튜터링 관한 연구", 한국특 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 205-218, 2014

      64 Creswell. J. W.,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조흥식, 정성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2007

      65 고하정, "내적 이야기 구성에 관한 비주얼 저널의 자전적 탐구", 영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66 김광희, "메디컬스킨케어가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7 전가일,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관계 맺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8 심지현, "중년 여성의 통합문학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경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9 박태진, "청소년기 자아의 치료와 정체성을 찾는 저널쓰기 연구", 한국작 문학회, 11, 9-44, 2010

      70 Patterson, C. H., "카운슬링과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이관용, 이장 호역)", 서울: 문교부, 1972

      71 Merleau-Ponty, M.,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 (류의근 역) (2002). 지각의 현상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45

      72 이병준, "저널치료를 통한 갈등부부들의 자기자각 경험에 대한 연구", 백 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73 조옥희,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74 황주연, "중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5 권희정, "40대 기혼여성의 자기이해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76 강은주, "기독인의 성화의 삶을 위한 내적 치유 도구로서의 글쓰기치료", 신앙과 학문, 12(3), 49-82, 2007

      77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255-273, 2010

      78 김춘경, 채연숙, 변학수, "문학치료와 현대인의 정신병리-인격 장애의 문 학 치료적 중재", 뷔히너와 현대문학, 28, 275-303, 2007

      79 김영애, "아름다운 사람 만들기-사티어의 좋은 부모 되기 훈련 프로그 램", 서울: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2005

      80 김영근, "글쓰기 고백을 활용한 내적치유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 증",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81 정원임, "중년여성의 빈둥지증후군 극복을 위한 독서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2 조진희, "관계상실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83 이미숙,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84 박태경, "중년기 여성의 자기실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85 지완종,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를 위한 정신역동적 집단미술치료사례 연구", 성산효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86 이은하, 지완종,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를 위한 정신역동적 집단미술 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9(2), 85-110, 2019

      87 이현주, "노인부부가구에서 치매 배우자를 돌보는 남편의 수발 경험에 관 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88 최은미, "저널쓰기를 병행한 집단예술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 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3(2), 135-151, 2013

      89 공진영, "저널치료가 성인 여성의 감사와 탄력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 치는 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90 Jacobs, B., "Writting for Emotional Balance (김현희 이영식 역). 감 정 다스리기를 위한 글쓰기", 서울: 학지사, 2008

      91 김화중, "긍정적 글쓰기 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 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92 Berk. L. E., "Berk. L. E. 생애발달Ⅱ (이옥경, 박영신, 이현진, 김혜리, 정윤경, 김 민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93 전찬례, "중년전환기 여성의 인생구조 변화와 신경증에 관한 기독교 상 담학적 고찰",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94 김한별, 박소연,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의 자아 정체감형성 경험 분석", 교양교육연구, 6(1), 153-178, 2012

      95 박서영, "자기서사 글쓰기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심리변화에 미치 는 효과 연구",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6 최규하, "개념도 방법을 활용한 중년기 자기이해에 대한 연구. 한국상담 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97 이봉희, "‘저널치료: 새로운 일기쓰기’, “새국어교육”, 제 77호(2007년 12월), pp.235-364",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98 이근호, "질적연구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 법적탐구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2007

      99 노은영,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가족건강성, 향유신념 및 삶의 의미 간의 관계",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0 송혜진,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30~40대 기혼여성의 자기이해 경험에 관 한 해석학적 탐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1 백지연, 유현실, "사진치료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년여 성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9(3), 75-102, 2014

      102 김영희, 이강진, "중년여성의 가족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와의 관 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696-715, 2018

      103 임정선, "임정선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저널쓰기 집단상담 프로 그램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04 조연수, "도예작업을 활용한 점토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변환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05 김춘경, 변외진, "중년 여성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자아분화, 내면체계 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2), 155-165, 2006

      106 김연신, "중년여성의 내현적 자기애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 의와 반추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7 Van Manen, "M.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신경림, 안규남 역). 서울: 동녘", (원전은 1990 년에 출판), 1994

      108 김미옥, "중년기 여성의 대인애착, 내현적 자기애 및 배우자 지지가 심 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4

      109 Pennebaker, J. W., "Witting to Heal: A Guided Journal for Recovering from Trauma & Emotional Upheaval, 이봉희 역(2007). 글쓰기치료", 서울: 학지사, 2004

      110 송향주,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을 위한 TSL 프로그램 효과-뇌 생명 사회과학적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2

      111 안소영,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에 중점을 둔 예비 보육 교사교육에서 예비 교사가 경험하는 배움의 과정", 한국보육학회지, 12(3), 39-61, 2012

      112 이민아, "이민아 저널쓰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임용고사를 앞둔 대학생의 불안 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2016

      113 김미례,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이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0

      114 이희연, 전혜성, "진로개발형 중년기 여성의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 연 구: 삶의 기대, 마음 챙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 성연구, 49(1), 123-159, 2010

      115 이우경,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16 원진숙,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 체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작문연구, 11, 137-164, 2010

      117 이윤주, "우울과 공황증상을 가진 중년여성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부정적 정서표현과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치료학회지", 2, 73-93,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