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연예술 제작환경의 뉴 패러다임 연구: 서경공연예술센터 SKON1관 디지털 트윈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 Paradigm of the Performing Arts Production Environment: Focused on the Case of Digital Twin Production of SKON1 at Seokyeong Performing Arts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3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공연예술계의 변화 움직임을 살펴보고,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가상 공연장 및 가상 공연 콘텐츠 제작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향후 공연예술 제작 환경이 변화해 나가...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공연예술계의 변화 움직임을 살펴보고,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가상 공연장 및 가상 공연 콘텐츠 제작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향후 공연예술 제작 환경이 변화해 나가야 할 길을 타진하는 것에 최 종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우선 첫 번째 장에서는 공연 실황 영상 및 실시간 스트리밍 공연 등 온라인 플랫폼으로 진출한 공연예술계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후 이른바 메타버스 로 총칭되는 가상공간 영역으로 진출한 공연 사례를 살펴보며 그 한계점을 짚어보았다. 또한 시뮬레이션 등의 기능으로 타 산업에서 중용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개념과 공연예술 접목에 있어서의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장에서는 디지털 트윈 개념을 적용하여 구축한 가상 공연장의 실제 사례를 제시하고 그 활용성에 관해 논하였다. 다음으로는 해당 공연장에서의 시연을 전제로 제작된 가상 공연 콘텐츠 제작 사례를 살펴보고 해당 콘텐츠가 작금의 공연예술계에 전하는 의의를 제시하였다.
      미처 준비되지 않은 변화의 시기, 공연예술은 유례없는 위기를 맞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산업의 확산을 꿈 꿀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을 공연예술에 접목하여 제작된 사례를 통해 포착된 공연 제작 환경의 뉴 패러다임은 반드시 받아들여야 할 시대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가은 ; 박진원, "포스트코로나시대, 온라인 플랫폼 기반 공연 영상화 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1 (1): 15-31, 2020

      2 백선혜,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정책리포트" 1-30, 2020

      3 김봉건, "포스트코로나 시대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 연구 -SM엔터테인먼트의 서라운드뷰잉 공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15-130, 2021

      4 배영임, "코로나 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1-26, 2020

      5 김은정, "코로나 19 시대의 공연 영상화 사업 연구" 2022

      6 국립극장, "스크린에 비친 공연예술의 미래: NT Live와 공연의 영상화"

      7 서울문화투데이, "서울예술단 ʻ잃어버린 얼굴 1895ʼ, IFLAND 메타버스 뮤지컬 공연 제작"

      8 김형숙, "비대면 공연예술분야 활성화를 위한 문화산업 원천기술 활용방안"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19-34, 2021

      9 뉴스컬쳐, "뮤지컬 '작은아씨들'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마치家 랜선 집들이ʼ"

      10 문화재청, "문화재청, 디지털 대전환 기분 구축"

      1 김가은 ; 박진원, "포스트코로나시대, 온라인 플랫폼 기반 공연 영상화 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1 (1): 15-31, 2020

      2 백선혜,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정책리포트" 1-30, 2020

      3 김봉건, "포스트코로나 시대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 연구 -SM엔터테인먼트의 서라운드뷰잉 공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15-130, 2021

      4 배영임, "코로나 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1-26, 2020

      5 김은정, "코로나 19 시대의 공연 영상화 사업 연구" 2022

      6 국립극장, "스크린에 비친 공연예술의 미래: NT Live와 공연의 영상화"

      7 서울문화투데이, "서울예술단 ʻ잃어버린 얼굴 1895ʼ, IFLAND 메타버스 뮤지컬 공연 제작"

      8 김형숙, "비대면 공연예술분야 활성화를 위한 문화산업 원천기술 활용방안"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19-34, 2021

      9 뉴스컬쳐, "뮤지컬 '작은아씨들'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마치家 랜선 집들이ʼ"

      10 문화재청, "문화재청, 디지털 대전환 기분 구축"

      11 송원철 ; 정동훈,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8 (28): 3-22, 2021

      12 대전시립미술관, "대전비엔날레 2020 디지털트윈 온라인 가상전시관"

      13 김가은 ; 박진원, "다매체 융합공연을 위한 효율적인 협업제작과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9-61, 2020

      14 최원선, "기술융합의 활용을 통한 한국 컨템포러리 댄스의 표현성 확장 -「기억의 파편」을 중심으로-" 우리춤연구소 16 (16): 31-60, 2020

      15 Ai타임즈, "국내 최초 메타버스 체험공연 `비비런(BBRUN)` 탄생 과정은?"

      16 "공연법. 법률 제 18758호"

      17 정진이, "k-pop 비대면 공연콘텐츠 다변화상황 고찰" 한국비평문학회 (85) : 271-295, 2022

      18 신창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대면 공연 분석 연구* - 국내 공연예술단체 사례 중심으로 -" 한국연기예술학회 25 (25): 109-133, 2022

      19 스포츠조선,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블랙핑크의 인게임 콘서트 장(場)이 된다"

      2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Art& Tech, ""사람만 쌍둥이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문화예술도 '디지털 트윈'이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