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75957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5.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An) analysis on current job training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educational needs job competency

      • 형태사항

        iv, 129장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혜진
        부록: 1.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기초한 현진교육과정 요구조사, 3. 전국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개설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urrent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e awareness of peopl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to analyze the curriculums by focusing on the job competencies for which childcare center directors had higher educational needs, and ultimately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operating state of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the awareness of peopl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2. What ar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3. How are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organized when their top job competency priorities are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the operating state of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provided by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to childcare center directors was analyzed, and the awareness of the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was analyzed. There were 2,640 curriculums offered by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in 18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nation for three years between July of 2013 and June of 2016. Out of them, 345 curriculums geared toward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analyzed, and 138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in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were survey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720 childcare center directors who took the courses offered by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in order to determine their educational needs. And then how the curriculums were organized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job competencies to which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gave top priority as what they wanted to receive education on. As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esides,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the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teachers offered by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upport centers were analyzed, there were 345 curriculums for principals, which accounted for 13.0 percent of the total 2,640 curriculums, and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se curriculums every year. The average number of class per curriculum was 1.4, and the mean number of hours for each curriculum was 2.9. The majority of the curriculums consisted of a class respectively and run three hours or less. The largest number of the curriculums that numbered 142(41.3%) was about financial accounting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curriculums dealt with a class and run three hours or l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wareness of the people in charge of the education, more than half(64%) didn't think the number of the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was sufficient. As for the reason, they responded the curriculums offered by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were geared toward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of asking what they mainly considered in offering the curriculums, the biggest group answered the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job competences of directors as managers."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the themes of the curriculum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aycare teachers"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llowed by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administrative management." What kind of job competences should urgently be improved through in-service education was asked, and they gave the most weight to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followed by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the outside"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s a result of asking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the current curriculums, the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gave top priority to "education tailored to teaching career and segmented, customized education," followed by "small-group education." As for ways of revitalizing in-service education,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he fulfillment of legal measures about director education, supervision and consulting as a way of facilita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irectors," and they also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for job competenc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levels and required levels of all the 10 job competences and 49 sub-competency indexes. It implied that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job competency education. When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used to find out the priorities of their educational needs for job competencies, they gave top priority to 11 sub-competency indexes of six job competencies: "vision and target management," "childcare curriculum management," "infant and preschooler managemen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t signified that they had the strongest educational need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nd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bout which there were three competency indexes each in the top priority grou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curriculums were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the top prioritie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directors for job competencies, 233 curriculums that were linked to the top six job competencies and 11 sub-competency indexes were offered for the three years by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The curriculums accounted for 67.5 percent of the entire curriculums, and the total educational hours for them was 620. 11 curriculums(41 hours) wer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ing staff" that was part of the top priority group for which the directors ha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and 18 curriculums(37.5 hour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20 curriculums(48 hours) were linked to the competency of "childcare curriculum management," and 25 curriculums(45 hours) were related to the competency of "vision and target management," Six curriculums(14.5 hour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competency of "infant and preschooler management," and 153 curriculums(434 hours) were linked to the competency o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The curriculums that wer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nd the competency of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ccounted for 12.4 percent of the entire curriculums offered for the three years, which was very insufficient, though the directors ha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for these job competencies, and as many as 153 curriculums were about financial accounting education related to the competency o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which accounted for 65.7 percent of the total curriculums. Thus, the curriculums were found to have been lopsid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how to provide in-service education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o reduce the gaps between their current and required levels of job competencies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and that curriculums related to job competencies for which directors have higher educational needs should be offered by analyzing their needs accuratel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of more systemized and specialized curriculums is required to enhance the job competenc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manage the quality of directors by developing curriculum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for teachers, by preparing guidelines and by offering a lot of opportunities for them to receive quality education. In terms of content, curriculums should be offered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directors, who are clients, for job competencies.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curriculums should be managed in diverse ways. For instance, diversified and segmented curriculums that deal with different themes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teaching career, and long-term curriculums or small-group ones should be offer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legal foundation for supervision and consulting should be prepared,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urriculums and ensure the systemicity of educational progra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urrent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e awareness of peopl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urrent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e awareness of peopl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to analyze the curriculums by focusing on the job competencies for which childcare center directors had higher educational needs, and ultimately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operating state of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the awareness of peopl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2. What ar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3. How are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organized when their top job competency priorities are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the operating state of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provided by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to childcare center directors was analyzed, and the awareness of the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was analyzed. There were 2,640 curriculums offered by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in 18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nation for three years between July of 2013 and June of 2016. Out of them, 345 curriculums geared toward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analyzed, and 138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in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were survey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720 childcare center directors who took the courses offered by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in order to determine their educational needs. And then how the curriculums were organized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job competencies to which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gave top priority as what they wanted to receive education on. As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esides,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the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teachers offered by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upport centers were analyzed, there were 345 curriculums for principals, which accounted for 13.0 percent of the total 2,640 curriculums, and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se curriculums every year. The average number of class per curriculum was 1.4, and the mean number of hours for each curriculum was 2.9. The majority of the curriculums consisted of a class respectively and run three hours or less. The largest number of the curriculums that numbered 142(41.3%) was about financial accounting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curriculums dealt with a class and run three hours or l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wareness of the people in charge of the education, more than half(64%) didn't think the number of the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was sufficient. As for the reason, they responded the curriculums offered by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were geared toward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of asking what they mainly considered in offering the curriculums, the biggest group answered the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job competences of directors as managers."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the themes of the curriculum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aycare teachers"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llowed by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administrative management." What kind of job competences should urgently be improved through in-service education was asked, and they gave the most weight to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followed by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the outside"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s a result of asking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the current curriculums, the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gave top priority to "education tailored to teaching career and segmented, customized education," followed by "small-group education." As for ways of revitalizing in-service education,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he fulfillment of legal measures about director education, supervision and consulting as a way of facilita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irectors," and they also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for job competenc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levels and required levels of all the 10 job competences and 49 sub-competency indexes. It implied that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job competency education. When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used to find out the priorities of their educational needs for job competencies, they gave top priority to 11 sub-competency indexes of six job competencies: "vision and target management," "childcare curriculum management," "infant and preschooler managemen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t signified that they had the strongest educational need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nd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bout which there were three competency indexes each in the top priority grou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curriculums were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the top prioritie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directors for job competencies, 233 curriculums that were linked to the top six job competencies and 11 sub-competency indexes were offered for the three years by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The curriculums accounted for 67.5 percent of the entire curriculums, and the total educational hours for them was 620. 11 curriculums(41 hours) wer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ing staff" that was part of the top priority group for which the directors ha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and 18 curriculums(37.5 hour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20 curriculums(48 hours) were linked to the competency of "childcare curriculum management," and 25 curriculums(45 hours) were related to the competency of "vision and target management," Six curriculums(14.5 hour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competency of "infant and preschooler management," and 153 curriculums(434 hours) were linked to the competency o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The curriculums that wer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nd the competency of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ccounted for 12.4 percent of the entire curriculums offered for the three years, which was very insufficient, though the directors ha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for these job competencies, and as many as 153 curriculums were about financial accounting education related to the competency o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which accounted for 65.7 percent of the total curriculums. Thus, the curriculums were found to have been lopsid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how to provide in-service education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o reduce the gaps between their current and required levels of job competencies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and that curriculums related to job competencies for which directors have higher educational needs should be offered by analyzing their needs accuratel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of more systemized and specialized curriculums is required to enhance the job competenc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manage the quality of directors by developing curriculum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for teachers, by preparing guidelines and by offering a lot of opportunities for them to receive quality education. In terms of content, curriculums should be offered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directors, who are clients, for job competencies.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curriculums should be managed in diverse ways. For instance, diversified and segmented curriculums that deal with different themes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teaching career, and long-term curriculums or small-group ones should be offer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legal foundation for supervision and consulting should be prepared,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urriculums and ensure the systemicity of educational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은 어떠한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살펴보고, 교육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을 기초로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 및 교육담당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최우선 순위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행하고 있는 현직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어린이집의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3년 동안 전국 18개소의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개설되었던 현직교육과정 총 2,640개 과정 중 원장대상 교육과정 345개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육아종합지원센터 교육담당자 138명의 인식을 설문조사 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현직교육과정에 참여한 어린이집 원장 720명을 대상으로 교육요구를 설문조사 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의 교육 요구가 높은 최우선 순위군 직무역량에 기초하여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3년간 개설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전체 2,640개 과정 중 총 345개 과정(13.0%)이었으며, 연도별로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교육과정별 평균 교과목 수는 1.4개, 과정별 평균 교육시수는 2.9시간으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대부분 한 개의 교육과정이 한 개의 교과목으로 편성되고, 3시간 이내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설된 교육과정 중 ‘재무회계교육’ 과정이 총 142개(41.3%) 과정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담당자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설 정도에 대해서 과반수 이상(64%)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주로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설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 개설 시 주된 고려사항에 대해 ‘기관 운영자로서의 직무역량 향상’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원장대상 교육과정의 주제 중요도에 대해서는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인사·조직 행정관리 교육’ 순으로 인식하였고, 현직교육을 통해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해서는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부모 및 대외협력 관계’, ‘인사 및 조직관리’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현직교육과정 개선 사항에 대하여 교육담당자들은 ‘원장의 교직경력별, 주제별 세분화된 맞춤형 교육’, ‘소그룹 교육’ 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원장대상 현직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원장 교육, 장학 및 컨설팅 등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원장의 전문성 향상 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10개의 직무역량과 49개의 역량지표에 대해서는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들이 모든 직무역량에 대해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유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교육요구를 보인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에는 ‘비전 및 목표관리’, ‘보육과정 운영’, ‘영유아 관리’,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행·재정 및 시설관리’,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등 총 6개 직무역량의 11개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이 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도가 높은 최우선 순위군에 각 각 3개씩의 역량지표가 도출된 것은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으로 도출된 6개 직무역량의 11개 역량지표와 관련하여 3년 동안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개설되었던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총 233개 과정으로 전체의 67.5%이였으며, 교육시수는 총 620시간이었다.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순위군에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1개(41시간) 과정이었으며,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8개(37.5시간) 과정이었다. 다음으로 ‘보육과정 운영’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20개(48시간) 과정이었고, 다음으로 ‘비전 및 목표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25개(45시간) 과정, ‘영유아 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6개(14.5시간) 과정, ‘행·재정 및 시설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53개(434시간) 과정이었다. 직무역량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보육교직원 전문성 신장’,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3년 동안 전체의 12.4%로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게 편성되어 있었고, ‘행·재정 및 시설관리’ 역량과 관련된 재무회계교육과정은 153개 과정으로 전체의 65.7%로 편중되어 개설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을 통해서 원장 직무역량의 현재수준과 미래 필요수준의 차이를 감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직무역량에 대한 체계적인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원장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과 관련된 현직교육과정을 개설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원장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성 있고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교사와는 차별화된 원장대상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침을 마련하여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일정 수준의 교육내용과 기회를 제공하는 등 국가적 차원에서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적인 질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내용적 측면에서 수요자인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개설하여야 하고, 운영방법 또한 원장의 교직 경력별, 주제별 세분화된 내용과 다회기 교육, 소그룹 교육과정 개설 등 운영 방법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원장 교육과 장학 및 컨설팅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과 함께 원장대상 교육과정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은 어떠한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살펴보고, 교육요구도가 높은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은 어떠한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살펴보고, 교육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을 기초로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 및 교육담당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최우선 순위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행하고 있는 현직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어린이집의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3년 동안 전국 18개소의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개설되었던 현직교육과정 총 2,640개 과정 중 원장대상 교육과정 345개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육아종합지원센터 교육담당자 138명의 인식을 설문조사 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현직교육과정에 참여한 어린이집 원장 720명을 대상으로 교육요구를 설문조사 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의 교육 요구가 높은 최우선 순위군 직무역량에 기초하여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3년간 개설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전체 2,640개 과정 중 총 345개 과정(13.0%)이었으며, 연도별로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교육과정별 평균 교과목 수는 1.4개, 과정별 평균 교육시수는 2.9시간으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대부분 한 개의 교육과정이 한 개의 교과목으로 편성되고, 3시간 이내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설된 교육과정 중 ‘재무회계교육’ 과정이 총 142개(41.3%) 과정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담당자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설 정도에 대해서 과반수 이상(64%)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주로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설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 개설 시 주된 고려사항에 대해 ‘기관 운영자로서의 직무역량 향상’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원장대상 교육과정의 주제 중요도에 대해서는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인사·조직 행정관리 교육’ 순으로 인식하였고, 현직교육을 통해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해서는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부모 및 대외협력 관계’, ‘인사 및 조직관리’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현직교육과정 개선 사항에 대하여 교육담당자들은 ‘원장의 교직경력별, 주제별 세분화된 맞춤형 교육’, ‘소그룹 교육’ 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원장대상 현직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원장 교육, 장학 및 컨설팅 등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원장의 전문성 향상 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10개의 직무역량과 49개의 역량지표에 대해서는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들이 모든 직무역량에 대해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유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교육요구를 보인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에는 ‘비전 및 목표관리’, ‘보육과정 운영’, ‘영유아 관리’,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행·재정 및 시설관리’,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등 총 6개 직무역량의 11개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이 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도가 높은 최우선 순위군에 각 각 3개씩의 역량지표가 도출된 것은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으로 도출된 6개 직무역량의 11개 역량지표와 관련하여 3년 동안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개설되었던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총 233개 과정으로 전체의 67.5%이였으며, 교육시수는 총 620시간이었다.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순위군에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1개(41시간) 과정이었으며,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8개(37.5시간) 과정이었다. 다음으로 ‘보육과정 운영’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20개(48시간) 과정이었고, 다음으로 ‘비전 및 목표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25개(45시간) 과정, ‘영유아 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6개(14.5시간) 과정, ‘행·재정 및 시설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53개(434시간) 과정이었다. 직무역량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보육교직원 전문성 신장’,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3년 동안 전체의 12.4%로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게 편성되어 있었고, ‘행·재정 및 시설관리’ 역량과 관련된 재무회계교육과정은 153개 과정으로 전체의 65.7%로 편중되어 개설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을 통해서 원장 직무역량의 현재수준과 미래 필요수준의 차이를 감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직무역량에 대한 체계적인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원장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과 관련된 현직교육과정을 개설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원장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성 있고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교사와는 차별화된 원장대상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침을 마련하여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일정 수준의 교육내용과 기회를 제공하는 등 국가적 차원에서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적인 질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내용적 측면에서 수요자인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개설하여야 하고, 운영방법 또한 원장의 교직 경력별, 주제별 세분화된 내용과 다회기 교육, 소그룹 교육과정 개설 등 운영 방법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원장 교육과 장학 및 컨설팅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과 함께 원장대상 교육과정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정의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8
      •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8
      •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10
      • 2.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 15
      • 1)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15
      • 2)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의 유형 16
      • 3)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 22
      • 3. 선행연구 고찰 26
      • Ⅲ. 연구방법 33
      • 1. 연구 대상 33
      • 2. 연구 도구 38
      • 3. 연구절차 및 자료분석 41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8
      • 1.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 현황과 교육담당자 인식 분석 48
      • 1)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 운영현황 48
      • 2)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담당자 인식 52
      •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 59
      • 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63
      • Ⅴ. 논의 및 결론 69
      • 1. 요약 및 논의 69
      • 2. 결론 및 제언 81
      • ◎ 참고문헌 87
      • ◎ ABSTRACT 95
      • ◎ 부록 10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서영숙, 박진옥, 서혜전,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2014

      2 김익균, 이창수, "보육정책론", 교문사, 파주: 교문사, 2011

      3 주삼환, "미국의 교장", 서울: 학지사, 2005

      4 정일화, 박홍의, 박소화, 류지은, 김수구, 김미정, 주삼환, "교육행정 사례 연구", 서울: 학지사, 2010

      5 김은희, 이기현, 방인옥, 박찬옥, "유아교육과정 제3판", 파주: 정민사, 2010

      6 한공우,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태영, 서울: 교육과학사, 2006

      7 김동희, 이수임, 서정화, 서성옥, "교장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학사, 2002

      8 임재택,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서울: 양서원, 1995

      9 이옥경, 박진아, "부산광역시 보육실태조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재)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 보고서 2014-04, 2014

      10 이미라, 이석열, 주삼환, "교장의 직무수행 척도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4(1), 197-220, 2007

      1 서영숙, 박진옥, 서혜전,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2014

      2 김익균, 이창수, "보육정책론", 교문사, 파주: 교문사, 2011

      3 주삼환, "미국의 교장", 서울: 학지사, 2005

      4 정일화, 박홍의, 박소화, 류지은, 김수구, 김미정, 주삼환, "교육행정 사례 연구", 서울: 학지사, 2010

      5 김은희, 이기현, 방인옥, 박찬옥, "유아교육과정 제3판", 파주: 정민사, 2010

      6 한공우,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태영, 서울: 교육과학사, 2006

      7 김동희, 이수임, 서정화, 서성옥, "교장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학사, 2002

      8 임재택,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서울: 양서원, 1995

      9 이옥경, 박진아, "부산광역시 보육실태조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재)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 보고서 2014-04, 2014

      10 이미라, 이석열, 주삼환, "교장의 직무수행 척도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4(1), 197-220, 2007

      11 이정원, 이혜민, "2014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4-22, 2014

      12 이윤식, "교원 연수 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93-09, 1993

      13 박영호,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모델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14 신상명, "미래학교가 요구하는 교장의 역할",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토론 회 자료집, 2-27, 2007

      15 염지숙, 한미경, "어린이집 원장의 교직경험 이야기",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169-191, 2009

      16 정일화, "교장의 직무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7

      17 백혜리, "보육정책의 전망과 발전 방향 탐색", 보육정책연구, 3(1), 5-26, 2006

      18 김희영, 조대연, 박용호, 김벼리, "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한 국교원교육연구, 27(4), 293-315, 2010

      19 김문경, 최윤경, 양성은, 안재진, 김의향, 김은설, "보육 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육아정책연구소.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 신미경, "유보통합 추진과제 현황과 향후 전망",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년 임시총회 및 추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65-70, 2015

      21 조혜진,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2(5), 471-494, 2012

      22 길대환(Dae-Hwan Kil), 김진모(Jin-Mo Kim), "기업체 HRD 담당자의 직무교육 요구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 직업교육과 인적 자원개발, 41(2), 153-175, 2009

      23 정효정(Chung, Hyo-Chung), "한국의 표준보육과정의 현황과 개선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60(2), 19-37, 2010

      24 문무경, 최윤경, "OECD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향상 방안 연구", 교육과학 기술부, 육아정책연구소 수탁연구보고 2011-2., 2011

      25 백선희, 서문희, "보육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대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성부 연구 보고 2004-11, 2004

      26 김주영, "초등교감직무와 자격연수과정의 관계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7

      27 주현준, "학교장 리더십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5(3), 85-105, 2007

      28 지성애, "보육교사 보수교육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1(3), 155-180, 2007

      29 서문희, "보육시설 종사자 직무 및 근로환경 실태분석", 여성가족부, 서울: 여성가족부, 2006

      30 이차영(Cha Young Lee), "직무 명료화에 기초한 교장 평가제도의 설계",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4(2), 225-250, 2006

      31 권미경, 최윤경, 이혜민, 이정원, 이미화, 박진아, 도남희, 김영원,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보고-", 육아정책연구소. 보건복지부, 2016

      32 김이경(Kim, Ee-gyeong), 김수아(Kim, Su-a), 정일화(Jeong, Il-hwa). 김미정(Kim, Mi-jung), "미국과 영국의 교장 직전교육 사례 비교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7(1), 327-348, 2009

      33 윤여복, 이기성, "교원연수 담당자의 역량에 관한 수행 수준 분석", 평생 교육 HRD연구, 6(4), 69-93, 2010

      34 최윤경, 최은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컨설팅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육아정 책연구, 9(2), 63-89, 2013

      35 이미화, 김문정, 김경희, "육아지원인력의 재교육 실태 및 개선 방안 연 구", 육아정책개발센터,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 2008-05, 2008

      36 이관배, "중등교원 현직연수 효과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7 양정희, "교직 생애주기에 따른 초등교사의 현직 연수 연구",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8 구수현, "보육시설장의 신규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9 김갑성, Kim Kap-sung, Kim Do-ki, Kim Ee-gyeong, 김이경, 김도기, "우수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6(3), 325-350, 2008

      40 조정아, 서경혜, 이지은, 조경원, 한유경, "학교행정가의 리더십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37(1), 49-75, 2006

      41 임문수, "중등 수학과 교사 현직연수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단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2 성낙돈, "초등학교장의 핵심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 교육연구, 25(3), 325-348., 2008

      43 양석균, "조직상황특성이 리더십 역량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4 Baumgartner, L. M., Merriam, S. B., Caffarella, R. S., "성인학습론 제3판.(기영화, 홍성화, 조윤정, 김선주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본 발 간일 2009년), 2009

      45 김동원, "중등 학교장의 핵심 역량 지표 개발 및 역량 수준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6 유해미, "육아종합지원센터 이용 실태 및 운영 내실화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2015

      47 조대연(Cho, Dae-Yeon),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 제연구, 35, 166-187, 2009

      48 조혜진 ( Hyea Jin Cho ), 김옥주 ( Ok Ju Kim ), "유치원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직무연수과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3(2), 297-319, 2013

      49 김은설, 황미영, "보육교직원의 효율적 보수교육 추진체계 구축 방안 연 구",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1-04., 2011

      50 김의향, 황성원, 지성애, 정지연, "보육시설장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 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 53, 1-27, 2008

      51 신화식(Shin Hwa-Sik), 박진옥(Park Jin-Ock),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통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52(3), 103-123, 2008

      52 성병창, 이용탁, "학교장 리더십 연수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분 석",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19(1)(, 151-175, 2012

      53 조혜진 ( Hyea Jin Cho ), 고은미 ( Eun Mi Ko ), "보육컨설턴트가 경험한 어린이집 보육컨설팅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0(4), 73-97, 2015

      54 백혜리, "강원도 국공립 보육시설 원장의 신분보장과 처우개선 방안", 2007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세미나, 2007

      55 고은미, 박순호,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직무수행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2(6), 195-213, 2008

      56 이소현,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부 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7 차영숙, 권미랑,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운영관리의 어려움과 해결을 위한 노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23-47, 2011

      58 김영명, "보육시설장의 직무와 교육 요구에 기초한 현직교육 내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59 김미진, 황해익, 김병만,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71-94, 2011

      60 김나영, "초등 교장의 교장자격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적 인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1 이홍민, "핵심역량 핵심인재:인적자원 핵심역량 모델의 개발과역량평가", 한국능률협회, 서울: 한국능률협회, 2003

      62 이현숙,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기초한 유치원 원장의 자격연수과정 분석",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3 김송이, 최주혜, 이혜숙, "서울시 보육교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정책연구-03, 2014

      64 박미정, "가정과 교사의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인식과 요구도 분 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한국가정교육학회지, 20(3), 131-143, 2008

      65 주삼환, "한국과 미국의 학교장 양성과 전문직적 능력개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393-413, 2004

      66 백선희, 서문희,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 자 격제도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39(12), 171-195, 2004

      67 한규형, "평생학습계좌제에 대한 평생교육기관 담당자의 인식 및 요구 조 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8 김현진, "교원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원연수기관의 연수운영체제 설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69 이정화, 이수련, "어린이집 원장의 경영형태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1(4), 165-181, 2011

      70 오연주, "한국의 표준보육과정과 일본의 보육지침에서 건강영역의 비교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479-503, 2007

      71 조혜진(Cho, Hyea-Jin), 김수연(Kim, Su-Yeon), "어린이집 신규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직무교육과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199-220, 2013

      7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와 교육과정 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2007

      73 신현석, 오찬숙,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연구 영역,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431-462, 2013

      74 김치곤, 채영란, 정정희, "유아교육기관 정보공시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 -재무회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33(2), 161-176, 2015

      75 고유경, 최병순, 김현경,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의지조정 전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76-384, 2006

      76 장영인, "유보통합 논의에 대한 재검토-교육중심의 통합에 대 한 보육관점의 논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87(7), 113-142, 2014

      77 김현주, 전상길, "역량기반인적자원관리의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기업을 위 한 상황론적 접근",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 조직연구, 14(2), 107-139, 2006

      78 유미숙, 이원선, "국공립보육시설 시설장의 운영관리 역할수행 실태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현구", 아동연구, 16(2), 117-141, 2003

      79 김은희, 송승민,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4(3), 7-26, 2010

      80 문복진, "유치원 교원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연수 모형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 방안", 한국육아지원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81 김미정, 최인화, "어린이집 원장의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에 따른 다문화 교육 운영 실태 및 인식 차이",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9(4). 597-615, 2015

      82 김재현, 조대연, "사회적 자본을 통한 국가수준의 역량개발 가능성 탐색 : 국가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인력개발연구, 9(2), 105-122, 2007

      83 김낙홍, "미국 공립 유아학교(Universal Pre-Kindergarten)에 대한 정책과 평가-조지아 Pre-Kindergarte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총, 12(1), 319-338, 2008

      84 김용희, 황혜경, 정미미, "신규와 일반직무과정 보수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욕구 차이에 관한 연구-강원도 영서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 국영유아보육학, 73, 1-25,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