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합작영화 : 제도로 정착시킨 ‘한국’영화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합작영화는 합작 상대국과 함께 제작비를 출자하여 판권을 소유하고 수출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이익이 강조된 제작 방식이었다. 그러나 합작영화...

      1950년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합작영화는 합작 상대국과 함께 제작비를 출자하여 판권을 소유하고 수출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이익이 강조된 제작 방식이었다. 그러나 합작영화의 제작 과정에는 두 나라에서 찍었거나 한 나라에서 찍어 최종 작업한 결과물의 수입이 포함될 수밖에 없기에, 세금의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문제들이 내재해 있었다. 결국 합작영화의 제작이 경제적 이익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 모든 것을 문제가 아닌 것으로 만들 수 있는 제도적 도움이 필연적이었다.
      이 글은 합작영화의 제작이 시작된 1950년대 후반부터 영화법 내 합작영화의 세부사항이 명시되는 1960년대 중반까지를 훑으며 합작영화의 중요한 기준을 만든 분기점을 살펴보았다. 합작영화는 1950년대 후반 합작영화용으로 들여오는 외화 필름에 관세를 부여할 것인지의 문제, 1960년대 초반 매우 적은 제작비만을 제공하고 외국어로 찍은 필름을 국산품으로 볼 것인지의 문제를 지나 1960년대 중반 위장으로 밝혀진 합작영화를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는지 등의 문제와 부딪힌다. 이에 대해 영화 사무의 주무부서는 합작영화를 제도적으로 ‘국산’영화의 범주에 포함 시키며 합작영화의 제작을 승인한다. 당국은 합작용으로 들여오는 영화는 관세를 부과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도저히 국내용 영화로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에서는 관세율표에 합작영화 항목을 신설하였으며, 이미 승인한 (위장)합작영화를 옹호하며 최소한의 기준을 제공하는 등의 대안을 제시한다. 즉 합작영화의 정착은 합작영화를 ‘국산’영화로 포섭시키는 제도적 뒷받침으로 가능한 것이었으며, 이는 매우 제작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production films were a production method in which economic profits were emphasized in that they could be exported, owning the copyright by investing production costs together with the partner of the co-production, in the 1950s. However, in the pro...

      Co-production films were a production method in which economic profits were emphasized in that they could be exported, owning the copyright by investing production costs together with the partner of the co-production, in the 1950s. However, in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of co-production films, since the importation of the products after shooting in two countries or shooting and finally working in one country cannot but be included, various problems were present, including the problem of taxes. Consequently, to recognize the production of co-production films as an economic profit, institutional help was inevitable, which could make everything unproblemati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junction that made important criteria for co-production films, examining the late-1950s when co-production films began to be produced through the mid-1960s when the details of co-production films were specified in the Motion Pictures Act. From the problem of whether to impose a tariff on foreign films coming in for co-production films in the late-1950s, the problem of whether to consider films providing only very little production costs domestic products, in the early-1960s, the Korean film industry encountered the problem with how to treat co-production films proven to be disguised ones and what institutional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this in the mid-1960s. Concerning this, the office of primary concern for film advocates for the production of co-production films, including co-production films in the category of ‘Korean’ films institutionally. The authority made it clear that it would not be necessary to impose a tariff on the films coming in for co-production. In a situation in which it would absolutely be difficult to accept the film for domestic use, the item of co-production films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tariff schedule, and it presented alternatives like advocating the (disguised) co-production films already approved and providing the minimum criteria. In other words, the settlement of Co-production films was possible by the institutional support to include Co-production films in ‘domestic’ films, which was done in a very producer-friendly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한국영화가 합작으로 이익을 얻기 위해 필요한 것들
      • 2. ‘반반’ 제작비로 승인된 국산품: 〈그림자 사랑〉(1957)
      • 3. 추가된 관세번호 3707-61, 62: 〈나갈 길이 없다〉(1962)
      • 4. 의미 없는 조항으로 정리된 합작의 비율: 〈서유기〉(1966)
      • 5. 경제적 이익이라는 명분과 제도적 지원 속 합작영화
      • 1. 한국영화가 합작으로 이익을 얻기 위해 필요한 것들
      • 2. ‘반반’ 제작비로 승인된 국산품: 〈그림자 사랑〉(1957)
      • 3. 추가된 관세번호 3707-61, 62: 〈나갈 길이 없다〉(1962)
      • 4. 의미 없는 조항으로 정리된 합작의 비율: 〈서유기〉(1966)
      • 5. 경제적 이익이라는 명분과 제도적 지원 속 합작영화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