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현금동문유기』(1620)에 수록된 ‘대현4괘궁’의 <대엽(大葉)> 세 곡 중 <평조대엽(낙수조)>의 연주법과 선율적 특징을 밝힌 논문이다. 이 논문의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33017
성기련 (서울대학교)
2025
Korean
평조대엽 ; 낙수조 ; 연주법 ; 농현법 ; 김복근 ; 정옥경 ; Pyeongjo Daeyeop ; Naksujo ; Performance technique ; Nonghyeonbeop ; Kim Bok-geun ; Jeong Ok-gyeong
KCI등재
학술저널
321-366(4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현금동문유기』(1620)에 수록된 ‘대현4괘궁’의 <대엽(大葉)> 세 곡 중 <평조대엽(낙수조)>의 연주법과 선율적 특징을 밝힌 논문이다. 이 논문의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고는 『현금동문유기』(1620)에 수록된 ‘대현4괘궁’의 <대엽(大葉)> 세 곡 중 <평조대엽(낙수조)>의 연주법과 선율적 특징을 밝힌 논문이다. 이 논문의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조대엽(낙수조)>는 15세기 중엽에 이마지가 창작한 <대엽(용재)>를 원곡으로 하며, 역안법으로 연주되던 악곡이다. <평조대엽(낙수조)>의 악보에는 다양한 연주법 지시어가 적혀 있는데, 이를 해석하여 ‘뜰’, ‘슬기둥’ 등의 탄법과 ‘요성’, ‘퇴성’, ‘추성’ 등의 농현법을 지시한 것을 파악하였다. <평조대엽(낙수조)>의 연주 시기는 성종(1469∼1494) 말기부터 연산군(1494∼1506) 초기에 해당하는 1490년대 무렵이며, 이 악곡의 연주자는 이마지의 유법(遺法)을 이은 전악 김복근 또는 악공 정옥경으로 추정된다.
<평조대엽(낙수조)>의 악곡 구조와 악조를 분석한 결과 이 악곡은 5지의 가곡 형식으로 된 임종궁의 평조 악곡이었으며, ‘물이 흐르는 소리’를 묘사한 주요 선율형이 악곡에 여러 번 출현하는 특징이 있었다. 즉 ‘물이 흐르는 소리’를 묘사하기 위한 이 악곡의 주요 선율형은 ‘고(㑬)에서 퇴성한 후 태(㑀)를 요성’하거나 ‘고(㑬)에서 퇴성한 후 임(㑣)을 요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독특한 선율적 특징으로 인하여 이 악곡은 <평조대엽>이라는 제목 외에 ‘낙수조(洛水調)’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erformance technique and melodic characteristics of <Pyeongjo Daeyeop(Naksujo)>, one of the three pieces of <Daeyeop> included in 『Hyeongeum Dongmun Yugi』(1620). The study reveals that <Pyeongjo Daeyeop(Naks...
This paper examines the performance technique and melodic characteristics of <Pyeongjo Daeyeop(Naksujo)>, one of the three pieces of <Daeyeop> included in 『Hyeongeum Dongmun Yugi』(1620). The study reveals that <Pyeongjo Daeyeop(Naksujo)> is based on the original <Daeyeop (Yongjae)> created by Lee Ma-ji in the mid-15th century and was performed using the Yeokan-beop(力按法; the method pressing the string with force). The score of the piece contains various performance instructions, which, when interpreted, reveal specific right hand techniques such as "tteul" and "seulgidung" as well as left hand Nonghyeonbeop(弄絃法) like "yoseong(搖聲; vibrating sound)," and "toeseong(退聲; descending sound)," and "chuseong(推聲; ascending sound)." The performance of the piece is believed to have occurred in the late 15th century, around the 1490s,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1469–1494) and the early years of King Yeonsangun (1494–1506). The performers are presumed to have been either Kim Bok-geun or Jeong Ok-gyeong, who inherited Lee Maji's performance styl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tonality of <Pyeongjo Daeyeop(Naksujo)> shows that it is a 5 part gagok form composed in the Pyeongjo style of Imjonggung(林鍾宮), characterized by a recurring melody that represents the sound of flowing water. The main melodic motif for depicting this sound involves a pattern in which, after a "go (㑬)" note falls into "toeseong", it transitions into "tae(㑀)" or "im(㑣)" with "yoseong". Due to this distinctive melodic feature, the piece is known not only as <Pyeongjo Daeyeop> but also by another special name "Naksujo(洛水調)", referencing the flowing water motif.
퍼포먼스 <휴먼 푸가> 연구 - 소설 <소년이 온다>의 극화 방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