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인사이드 아웃>, <용과 주근깨 공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ness in modern animation –Focusing on <Inside Out> and <Belle: The Dragon and the Freckled Prin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33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 영상매체가 생성하고 있는 공간들이 장소성을 획득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 공간들이 현대에 생성되고 있는 장소의 새로운 정체성과 맞닿아 있는 지점이 있다고 제안하고, 이 공간들에 내재된 새로운 장소로서의 가능성을 현대애니메이션을 통해 타진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2015), <용과 주근깨 공주>(Belle: The Dragon and the Freckled Princess, 2021)를 새로운 장소성을 규명하기 위한 일종의 표본텍스트로 탐색하였으며 탐색 과정에서 장소 개념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논리를 제시했다고 평가받는 오제의 ‘비장소’ 개념을 활용하였다. 또한 오제가 제시한 ‘장소의 세 가지 조건 곧 역사성, 관계성, 정체성’을 장소의 새로운 가능성을 진단하는 기준으로 차용하여 현대애니메이션 속 장소에 내재된 새로운 역사성, 관계성,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하였다.
      두 작품을 경유하여 탐색한 현대애니메이션 속 장소에서 본 연구가 가장 유의미한 지점으로 주목하는 지점은 두 가지다. 첫째, 장소는 오랫동안 렐프의 표현을 빌리자면 ‘인간의 질서와 자연의 질서가 융합된 것’이었다. 현대애니메이션은 그곳에 기술의 질서가 첨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장소는 이제 물리적 영토의 원리, 질서 못지않게 감정과 욕망이 주도하고 운영하는 장소가 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장소는 감정, 욕망과 같은 본능적 질서와 에너지가 기술적 질서, 조건을 통해 현실로 재구성된 곳이 되고 있다.
      기존 장소 이론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공간들, 새로운 논리와 의미로 작동하는 장소의 한 양상을 탐색하는 본 연구는 장소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디지털 영상매체가 생성하고 있는 공간들이 장소성을 획득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 공간들이 현대에 생성되고 있는 장소의 새로운 정체성과 맞닿아 있는 지점이 있다고 제안하고, ...

      본 연구는 디지털 영상매체가 생성하고 있는 공간들이 장소성을 획득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 공간들이 현대에 생성되고 있는 장소의 새로운 정체성과 맞닿아 있는 지점이 있다고 제안하고, 이 공간들에 내재된 새로운 장소로서의 가능성을 현대애니메이션을 통해 타진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2015), <용과 주근깨 공주>(Belle: The Dragon and the Freckled Princess, 2021)를 새로운 장소성을 규명하기 위한 일종의 표본텍스트로 탐색하였으며 탐색 과정에서 장소 개념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논리를 제시했다고 평가받는 오제의 ‘비장소’ 개념을 활용하였다. 또한 오제가 제시한 ‘장소의 세 가지 조건 곧 역사성, 관계성, 정체성’을 장소의 새로운 가능성을 진단하는 기준으로 차용하여 현대애니메이션 속 장소에 내재된 새로운 역사성, 관계성,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하였다.
      두 작품을 경유하여 탐색한 현대애니메이션 속 장소에서 본 연구가 가장 유의미한 지점으로 주목하는 지점은 두 가지다. 첫째, 장소는 오랫동안 렐프의 표현을 빌리자면 ‘인간의 질서와 자연의 질서가 융합된 것’이었다. 현대애니메이션은 그곳에 기술의 질서가 첨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장소는 이제 물리적 영토의 원리, 질서 못지않게 감정과 욕망이 주도하고 운영하는 장소가 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장소는 감정, 욕망과 같은 본능적 질서와 에너지가 기술적 질서, 조건을 통해 현실로 재구성된 곳이 되고 있다.
      기존 장소 이론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공간들, 새로운 논리와 의미로 작동하는 장소의 한 양상을 탐색하는 본 연구는 장소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aces created by digital video media are acquiring a sense of place, and furthermore, that there is a point where these spac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new identity of places being created in modern times, and that there is a point where these spac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new identity of places being created in modern times, and that there is a point where these spac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new identity of places being created in modern times.
      This is a work that explores possibilities through modern animation.
      To this end, <Inside Out> and <The Dragon and the Freckles Princess> were explored as a kind of sample text to identify new placeness, and in the process of exploration, Ohze’s concept of ‘nonplace’, which is evaluated as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and logic on the concept of place, was utilized. did. In addition, the ‘three conditions of place, that is, historicity, relationship, and identity’ presented by Ohje were adopted as a standard for diagnosing the new possibility of place, and the new historicity, relationship, and identity inherent in place were specifically diagnosed.
      Among the places in modern animation explored through the two works, there are two points that this study focuses on as the most meaningful. First, the place has long been, to use Relph’s expression, ‘a fusion of the human order and the natural order.’ Modern animation shows that technological order is being added. Second, places are now becoming places led and operated by emotions and desires as much as the principles and order of physical territory. In other words, a place is becoming a place where instinctive order and energy, such as emotions and desires, are reorganized into reality through technical order and conditions.
      This study, which explores spaces that are difficult to capture with existing place theories and an aspect of places that operate with new logic and meaning, will be a meaningful study in that it can serve as basic data in presenting a future vision for places. You can.
      번역하기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aces created by digital video media are acquiring a sense of place, and furthermore, that there is a point where these spac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new identity of places being created in modern times, and that 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aces created by digital video media are acquiring a sense of place, and furthermore, that there is a point where these spac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new identity of places being created in modern times, and that there is a point where these spac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new identity of places being created in modern times, and that there is a point where these spac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new identity of places being created in modern times.
      This is a work that explores possibilities through modern animation.
      To this end, <Inside Out> and <The Dragon and the Freckles Princess> were explored as a kind of sample text to identify new placeness, and in the process of exploration, Ohze’s concept of ‘nonplace’, which is evaluated as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and logic on the concept of place, was utilized. did. In addition, the ‘three conditions of place, that is, historicity, relationship, and identity’ presented by Ohje were adopted as a standard for diagnosing the new possibility of place, and the new historicity, relationship, and identity inherent in place were specifically diagnosed.
      Among the places in modern animation explored through the two works, there are two points that this study focuses on as the most meaningful. First, the place has long been, to use Relph’s expression, ‘a fusion of the human order and the natural order.’ Modern animation shows that technological order is being added. Second, places are now becoming places led and operated by emotions and desires as much as the principles and order of physical territory. In other words, a place is becoming a place where instinctive order and energy, such as emotions and desires, are reorganized into reality through technical order and conditions.
      This study, which explores spaces that are difficult to capture with existing place theories and an aspect of places that operate with new logic and meaning, will be a meaningful study in that it can serve as basic data in presenting a future vision for places. You c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