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를 통해본 신분질서 = The status order through the typology of Ara Gaya stone-lined pit burial tom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53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야제국에 대한 연구는 그간 김해의 금관가야와 고령의 대가야 중심의 연맹체적 해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때문에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아라가야의 중...

      가야제국에 대한 연구는 그간 김해의 금관가야와 고령의 대가야 중심의 연맹체적 해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때문에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아라가야의 중심고분군인 도항리고분군에는 4세기 중엽 이후에 대형 목곽묘가 조영되기 시작하고, 이어서 5세기 초엽~중엽에는 대형봉토고분의 매장주체부로 수혈식석곽묘가 축조되는데, 동시기 금관가야에 비해 탁월하며, 대가야와 비교해도 대등한 수준이다. 아라가야의 성장과 발전은 묘제의 변화과정에 나타나 있으며, 아라가야의 최전성기의 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연구를 통해 당시 아라가야 발전기의 대외정세와 지배층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경향은 유물중심의 편년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묘제는 목곽묘에서 횡혈식석실묘에 이르는 통시적인 연구경향이 강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를 중심으로 성장과 발전을 논하기 위해, 앞 시기의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를 관곽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형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유형화 결과,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는 각각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수혈식석곽묘의 상위위계인 Ⅰ·Ⅱ유형은 다시 규모, 순장형태, 부장유물의 질적 차이 등에 따라 Ⅰ유형은 3개의 소유형, Ⅱ유형은 2개의 소유형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아라가야의 5세기 대 수혈식석곽묘 Ⅰ유형에는 순장이 시행되었으며, 마갑과 철제 갑주류 등의 상당한 위세품의 부장되었다. 이는 아라가야 성장의 외적표현이 수혈식석곽묘의 축조와 동시에 나타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수혈식석곽묘 Ⅰ유형의 유형분화 양상은 아라가야의 王과 그 아래에 上·下旱岐층의 존재와 대응되는 것으로,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를 통해 파악된 지배층의 분화양상은 아라가야의 정치적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현상으로 파악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on the Gaya Empire has been interpreted as confederacies of the center of Geumgwan Gaya in Gimhae and Dae Gaya in Goryung, due to that, Ara Gaya has been lacking research. However Dohangri tombs which is center of Ara Gaya`s tombs started...

      The research on the Gaya Empire has been interpreted as confederacies of the center of Geumgwan Gaya in Gimhae and Dae Gaya in Goryung, due to that, Ara Gaya has been lacking research. However Dohangri tombs which is center of Ara Gaya`s tombs started up construcitng the large wooden outer coffin since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nd then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As the principal part of large fief of burial tumulus, stone - lined pit burial tomb was constructed. That is excellent compared to Geumgwan Gaya and is the same level compared to Dae Gaya. The growth an development of Ara Gaya appeared in the process of change of burial. By researching of the stone-lined pit burial which is the peak of Ara Gaya, 1 could look through the foreign situation and the ruling class of Ara Gaya in those days. However, the recent studies tend chronological study of the artifact-centric and the research of the burials have tendency to be diachronic study from wooden outer coffin to stone chamber tomb with tunnel entrance.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typology by applying to the previous wooden outer coffin and stone-lined pit burial as the concept to coffin to discus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one-lined pit burial in Am Gaya. As a result of typology, wooden outer coffin and stone-lined pit burial could be divided into 4 types,1,2 I, I II type of upper hierarchy in stone-lined pit burial tomb sub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scale, the form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the qualifies of director`s remains: I type into three small types, II type into two small types stone-lined pit burial tomb I type in Ara Gaya in the 5th century was performing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was buried with considerable prestige goods such as bard and iron armor. This is to say that the outward expression of Ara Gaya growth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struction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The differentiation type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is corresponding to the presense of king(王) of Ara Gaya and the below strata(上-下旱岐層). At last, the differentiation of the elites through the typology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is realized important archaeological phenomenon which was showing the political grow go Ara Gay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보식, "嶺南地域 橫口式ㆍ橫穴式石室墓의 型式分類와 編年" 嶺南考古學會 12 : 1993

      2 조수현, "함안지역의 수혈식석곽묘, In 咸安博物館圖錄(특별논고)" 咸安博物館 2004

      3 경남문화재연구원, "함안 오곡리 유적ⅠㆍⅡ" 2007

      4 서영민, "함안 말이산고분군 목가구 설치분묘 재검토 -용어 및 분묘구조를 중심으로-" 부산고고학연구회 10 (10): 37-61, 2012

      5 국립김해박물관, "함안 말이산 34호분" 2007

      6 경상문화재연구원, "함안 도항리고분군" 2011

      7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함안 도항리 댁지개발사업지구내 文化遺蹟 發掘調査報告書" 2007

      8 南在祐, "안라국의 성장과 대외관계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8

      9 함안박물관, "안라국의 상징 불꽃무늬토기 : 火焰形透窓土器" 2005

      10 趙榮濟, "서부경남 가야 수혈식석곽묘의수용에 관한 연구" 영남고고학회 40 (40): 53-76, 2007

      1 홍보식, "嶺南地域 橫口式ㆍ橫穴式石室墓의 型式分類와 編年" 嶺南考古學會 12 : 1993

      2 조수현, "함안지역의 수혈식석곽묘, In 咸安博物館圖錄(특별논고)" 咸安博物館 2004

      3 경남문화재연구원, "함안 오곡리 유적ⅠㆍⅡ" 2007

      4 서영민, "함안 말이산고분군 목가구 설치분묘 재검토 -용어 및 분묘구조를 중심으로-" 부산고고학연구회 10 (10): 37-61, 2012

      5 국립김해박물관, "함안 말이산 34호분" 2007

      6 경상문화재연구원, "함안 도항리고분군" 2011

      7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함안 도항리 댁지개발사업지구내 文化遺蹟 發掘調査報告書" 2007

      8 南在祐, "안라국의 성장과 대외관계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8

      9 함안박물관, "안라국의 상징 불꽃무늬토기 : 火焰形透窓土器" 2005

      10 趙榮濟, "서부경남 가야 수혈식석곽묘의수용에 관한 연구" 영남고고학회 40 (40): 53-76, 2007

      11 박광춘, "새롭게 보는 가야고고학" 학연문화사 2006

      12 신용민, "삼한시대 목곽묘의 기원에 대한 초보적 연구 : 중국 목곽묘를 중심으로, In 弁ㆍ辰韓의 世界" 1998

      13 최경규, "금관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시원과 유형화" 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12) : 2012

      14 박승규, "가야토기 양식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15 박천수, "가야토기" 진인진 2010

      16 田中俊明, "가야제국의 왕권에 대하여, In 加耶諸國의 王權" 신서원 1996

      17 白承忠, "가야의 지역연맹사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5

      18 창원대학교박물관, "馬山 縣洞遺蹟" 1990

      19 김수환, "阿羅加耶의 殉葬 -大型 殉葬墓를 中心으로-" 영남고고학회 55 (55): 45-74, 2010

      20 김형곤, "阿羅伽耶의 形成過程 硏究 : 考古學的 資料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12 : 1995

      21 이주헌, "阿羅伽耶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In 가야각국사의 재구성" 가야사 학술심포지움 2000

      22 경남고고학연구소, "道項里ㆍ末山里遺蹟" 2000

      23 이희준, "解放前의 新羅ㆍ伽耶古墳 發掘方式에 대한 硏究 : 日帝下 調査報告書의 再檢討(2)" 韓國考古學會 24 : 1990

      24 이성주, "考古學을 통해 본 阿羅伽耶, In 考古學을 통해 본 加耶" 2000

      25 한국고고학회, "考古學을 통해 본 加耶" 2000

      26 이주헌, "考古學資料를 통해서 본 古代의 咸安, In 咸安博物館圖錄(특별논고)" 咸安博物館 2004

      27 신용민, "漢代 木槨墓 硏究" 學硏文化社 2000

      28 이주헌, "末伊山 34號墳의 再檢討, In 碩晤 尹容鎭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29 "日本書紀"

      30 경상대학교박물관, "宜寧 禮屯里古墳群" 1994

      31 조선총독부고적조사위원회, "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 1920

      32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馬甲塚" 2002

      33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道項里古墳群Ⅴ" 2004

      3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道項里古墳群Ⅳ" 2001

      35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道項里古墳群Ⅲ" 2000

      36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道項里古墳群Ⅱ" 1999

      37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道項里古墳群Ⅰ" 1997

      38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咸安道項里6號墳" 2008

      39 정주희, "咸安樣式古式陶質土器의 分布定型과 意味" 한국고고학회 73 (73): 4-51, 2009

      40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岩刻畵古墳" 1996

      41 박경원, "咸安地域의 照明用土器, In 又軒丁仲煥博士還曆紀念論文集" 1974

      42 조수현, "咸安地域의 古墳文化 : 木槨墓ㆍ竪穴式石槨墓를 中心으로" 伽倻文化硏究院 16 : 2003

      43 이주헌, "咸安地域 古墳文化의 調査와 成果" 경남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12 : 1995

      44 조수현, "咸安地域 古墳文化의 展開樣相" (創刊) : 2005

      45 金正完, "咸安圈域 陶質土器의 編年과 분포 변화"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4

      46 김정완, "咸安圈域 陶質土器의 編年과 分布變化"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3 : 2000

      47 함안박물관, "咸安博物館圖錄" 2004

      48 창원대학교박물관, "咸安 阿羅伽耶의 古墳群(Ⅰ)" 1992

      49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咸安 道項里 古墳群 -함안 도항리 6-1호분" 2008

      50 창원대학교박물관, "咸安 梧谷里遺蹟" 1995

      51 우리문화재연구원, "咸安 梧谷里 28番地 遺蹟" 2010

      52 김태식, "咸安 安羅國의 成長과 變遷" 韓國史硏究會 86 : 1994

      53 "南齊書"

      54 김태식, "加耶聯盟史" 一朝閣 1993

      55 曺秀鉉, "加耶墓制의 龕室 再檢討-咸安 道項·末山里古墳群을 中心으로-" 영남고고학회 35 (35): 2004

      56 백승옥, "加耶 各國史 硏究" 혜안 2003

      57 조영현, "伽耶의 墓制에 나타난 轉換期的 特徵과 樣相 : 출현기 高塚의 築造構造를 중심으로, In 가야와 그 전환기의 고분문화"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6

      58 신용민, "中國 古代 帝陵과 三國時代 大形古墳비교 검토" 석당학술원 (40) : 1-31, 2008

      59 "三國史記"

      60 우지남, "2. 咸安地域 出土 陶質土器, In 道項里ㆍ末山里遺蹟" 慶南考古學硏究所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영문명 : The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56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