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 = Developing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95991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인천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인천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0 판사항(6)

      • DDC

        37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인천

      • 형태사항

        x, 221 p.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임정훈
        권말부록: 현장전문가 심층면담 인터뷰 자료 ; 전문가 타당도 평가표 ; 사용성 평가표
        참고문헌: p. 163-19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인천대학교 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the reasons why educators have been traditionally interested in self-regulated learning is that i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side from inborn intelligence. The self-regulated education is drawing interests in the field of education due to increased interests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is because the more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becomes, the more it is presupposed that learners should have the ability to plan and regulate the learning by themselves.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not only in existing face-to-face learning but also in online learning, blended learning,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recently, even in flipped learning and mook learning environments. In fact, the relev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to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proven through several studies. In particular, smart learning has been growing steadily due to the spread of smart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and to increases in the necessity of timely learning,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its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or design strategy. In addition, a strateg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at meets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on verification of its validity. The research questions specifically cov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2. Are the design principles valid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Development studies with empirical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have been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literature studies which may exclu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research topic in addition to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s in developing design principles. For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they have been verified three times for its validity by five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s and two teaching design experts. Lastly, the final design principle has been derived through only one usability evaluation by three smart learning teaching designers.
      Based on those procedures, first of all,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on and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in the research problem 1. Sub-factors of cognition and meta-cognition were classified as demonstration, elaboration, systematization, planning, inspection, and control, those of motivation were classified as mastery-oriented goa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and lastly those of behavior were classified as behavior management, time management, and asking for help. The early design principles have been developed by mapping design principle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s, 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o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Finally, a total of 36 design principles and 62 design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20 design principles and 35 design guidelines in the cognition and meta-cognition, 8 design principles and 13 design guidelines in the motivation, and 8 design principles and 14 design guidelines in the behavior through the verification of valid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carried out by experts in the research problem 2.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cognition and meta-cognition is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pare learning objectives and current achievement for checking target progress’,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information with visualized data (dashboard, chart, calendar) to track progress and see if goals are achieved’ and ‘Evaluation data to enable comparisons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e.g., learning, evaluation)’.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motivation is ‘Support for the mastery-oriented goal by using performance criteria’,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advance information(expectancy effects, previewing the learning content, etc.)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to set a specific goal’, ‘Guidance for setting up close and mid-level(challengeable) goals’, and ‘Guidance for aiming a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and ’inducement to make plans for rewarding oneself when goals are met’.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behavior is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ned time and the time spent in actual performance’,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a visualized tool(mobile planner, learning timer, etc.) capable of recognizing the planned learning time and the time spent in actual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have been considered comprehensively. Second, field-orien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ird, the specificity of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consider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re have been discussion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sign principles,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has been suggested based on limitations in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derived study results will be a useful resource for teaching design experts to conduct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design activities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and that it will facilitate the learning and performance of learners further.
      번역하기

      One of the reasons why educators have been traditionally interested in self-regulated learning is that i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side from inborn intelligence. The self-regulated education is drawing interests in the field of...

      One of the reasons why educators have been traditionally interested in self-regulated learning is that i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side from inborn intelligence. The self-regulated education is drawing interests in the field of education due to increased interests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is because the more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becomes, the more it is presupposed that learners should have the ability to plan and regulate the learning by themselves.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not only in existing face-to-face learning but also in online learning, blended learning,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recently, even in flipped learning and mook learning environments. In fact, the relev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to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proven through several studies. In particular, smart learning has been growing steadily due to the spread of smart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and to increases in the necessity of timely learning,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its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or design strategy. In addition, a strateg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at meets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on verification of its validity. The research questions specifically cov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2. Are the design principles valid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Development studies with empirical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have been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literature studies which may exclu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research topic in addition to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s in developing design principles. For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they have been verified three times for its validity by five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s and two teaching design experts. Lastly, the final design principle has been derived through only one usability evaluation by three smart learning teaching designers.
      Based on those procedures, first of all,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on and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in the research problem 1. Sub-factors of cognition and meta-cognition were classified as demonstration, elaboration, systematization, planning, inspection, and control, those of motivation were classified as mastery-oriented goa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and lastly those of behavior were classified as behavior management, time management, and asking for help. The early design principles have been developed by mapping design principle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s, 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o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Finally, a total of 36 design principles and 62 design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20 design principles and 35 design guidelines in the cognition and meta-cognition, 8 design principles and 13 design guidelines in the motivation, and 8 design principles and 14 design guidelines in the behavior through the verification of valid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carried out by experts in the research problem 2.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cognition and meta-cognition is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pare learning objectives and current achievement for checking target progress’,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information with visualized data (dashboard, chart, calendar) to track progress and see if goals are achieved’ and ‘Evaluation data to enable comparisons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e.g., learning, evaluation)’.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motivation is ‘Support for the mastery-oriented goal by using performance criteria’,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advance information(expectancy effects, previewing the learning content, etc.)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to set a specific goal’, ‘Guidance for setting up close and mid-level(challengeable) goals’, and ‘Guidance for aiming a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and ’inducement to make plans for rewarding oneself when goals are met’.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behavior is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ned time and the time spent in actual performance’,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a visualized tool(mobile planner, learning timer, etc.) capable of recognizing the planned learning time and the time spent in actual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have been considered comprehensively. Second, field-orien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ird, the specificity of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consider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re have been discussion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sign principles,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has been suggested based on limitations in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derived study results will be a useful resource for teaching design experts to conduct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design activities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and that it will facilitate the learning and performance of learners fur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으로 교육학자들이 자기조절학습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자기조절학습이 선천적인 지능과는 별개로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근래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와 교육기술의 발전으로 다시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학습자 중심의 개방형 학습 환경일수록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조절해 나가야 하는 능력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기조절학습의 중요성은 기존 면대면 학습뿐만 아니라 온라인 학습환경, 블렌디드 학습환경, 스마트러닝, 그리고 최근에는 플립러닝과 무크 학습환경에서도 강조되고 있으며, 여러 연구를 통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이 입증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테크놀로지와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적시적 학습 필요성의 증대에 따라 스마트러닝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 이에 적절한 교수전략이나 설계전략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과 함께, 개발된 원리에 대한 전문가 및 교수설계자의 타당도 검증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구성요소 및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2.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는 타당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적이며 실용적인 특성을 지닌 개발연구를 활용하였다.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데 있어 선행문헌 검토뿐만 아니라 연구의 주제에 대한 실제적 정보가 배제될 수 있는 문헌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례분석 및 현장전문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설계원리는 총 3회에 걸쳐 교육공학 전문가 5인과 교수설계 전문가 2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된 설계원리는 1회에 걸쳐 교수설계자 3인에게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한 최종적인 설계원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절차를 토대로 연구문제 1에서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를 인지 및 메타인지, 동기, 행동으로 범주화하였다.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의 하위 요인은 시연, 정교화, 조직화, 계획, 점검, 조절로 분류하였고, 동기 영역의 하위 요인은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로, 행동영역의 하위 요인은 행동관리, 시간관리, 도움구하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선행문헌검토, 사례분석 및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설계원리를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소에 대응(mapping)하여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전문가 타당도 검증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에서 20개의 설계원리와 35개의 설계지침, 동기 영역에서 8개의 설계원리와 13개의 설계지침, 행동 영역에서 8개의 설계원리와 14개의 설계지침으로 총36개 설계원리와 62개 설계지침이 개발되었다.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목표달성 정도 점검을 위해 학습목표와 현재 달성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지침에는 ‘진행상황을 추적하고 목표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각화된 데이터(예: 대시보드, 차트, 캘린더)로 정보를 제공하라’와 ‘개인 내 및 개인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평가자료(예: 학습진도, 학습참여 정도, 평가결과 등)를 계량화하여 제시하라’가 있다.
      동기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수행준거를 활용하여 숙달목표를 지향하도록 지원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 지침에는 ‘구체적인 목표설정을 위해 학습내용과 관련된 사전정보(예: 기대효과, 학습내용 미리보기 등)를 제공하라’, ‘근접하고 중간수준(도전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라’, ‘목표 달성 시 스스로의 보상에 대해 계획하도록 유도하라’가 있다.
      행동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계획한 시간과 실제수행 시간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지침에는 ‘계획한 학습시간과 실제 수행한 시간을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된 도구(예: 모바일 플래너, 학습타이머 등)를 제공하라’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계원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둘째, 현장지향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셋째, 스마트러닝 학습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설계원리의 개발 및 적용 측면에서의 논의를 하였고, 연구 진행과정 및 결과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교수설계 전문가들이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효과적·효율적인교수설계 활동을 수행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학습자의 학습 및 수행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전통적으로 교육학자들이 자기조절학습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자기조절학습이 선천적인 지능과는 별개로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근래 교육 분야에서 ...

      전통적으로 교육학자들이 자기조절학습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자기조절학습이 선천적인 지능과는 별개로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근래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와 교육기술의 발전으로 다시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학습자 중심의 개방형 학습 환경일수록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조절해 나가야 하는 능력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기조절학습의 중요성은 기존 면대면 학습뿐만 아니라 온라인 학습환경, 블렌디드 학습환경, 스마트러닝, 그리고 최근에는 플립러닝과 무크 학습환경에서도 강조되고 있으며, 여러 연구를 통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이 입증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테크놀로지와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적시적 학습 필요성의 증대에 따라 스마트러닝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 이에 적절한 교수전략이나 설계전략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과 함께, 개발된 원리에 대한 전문가 및 교수설계자의 타당도 검증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구성요소 및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2.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는 타당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적이며 실용적인 특성을 지닌 개발연구를 활용하였다.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데 있어 선행문헌 검토뿐만 아니라 연구의 주제에 대한 실제적 정보가 배제될 수 있는 문헌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례분석 및 현장전문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설계원리는 총 3회에 걸쳐 교육공학 전문가 5인과 교수설계 전문가 2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된 설계원리는 1회에 걸쳐 교수설계자 3인에게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한 최종적인 설계원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절차를 토대로 연구문제 1에서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를 인지 및 메타인지, 동기, 행동으로 범주화하였다.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의 하위 요인은 시연, 정교화, 조직화, 계획, 점검, 조절로 분류하였고, 동기 영역의 하위 요인은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로, 행동영역의 하위 요인은 행동관리, 시간관리, 도움구하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선행문헌검토, 사례분석 및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설계원리를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소에 대응(mapping)하여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전문가 타당도 검증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에서 20개의 설계원리와 35개의 설계지침, 동기 영역에서 8개의 설계원리와 13개의 설계지침, 행동 영역에서 8개의 설계원리와 14개의 설계지침으로 총36개 설계원리와 62개 설계지침이 개발되었다.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목표달성 정도 점검을 위해 학습목표와 현재 달성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지침에는 ‘진행상황을 추적하고 목표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각화된 데이터(예: 대시보드, 차트, 캘린더)로 정보를 제공하라’와 ‘개인 내 및 개인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평가자료(예: 학습진도, 학습참여 정도, 평가결과 등)를 계량화하여 제시하라’가 있다.
      동기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수행준거를 활용하여 숙달목표를 지향하도록 지원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 지침에는 ‘구체적인 목표설정을 위해 학습내용과 관련된 사전정보(예: 기대효과, 학습내용 미리보기 등)를 제공하라’, ‘근접하고 중간수준(도전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라’, ‘목표 달성 시 스스로의 보상에 대해 계획하도록 유도하라’가 있다.
      행동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계획한 시간과 실제수행 시간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지침에는 ‘계획한 학습시간과 실제 수행한 시간을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된 도구(예: 모바일 플래너, 학습타이머 등)를 제공하라’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계원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둘째, 현장지향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셋째, 스마트러닝 학습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설계원리의 개발 및 적용 측면에서의 논의를 하였고, 연구 진행과정 및 결과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교수설계 전문가들이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효과적·효율적인교수설계 활동을 수행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학습자의 학습 및 수행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8
      • 1.3. 용어의 정의 9
      • 2. 이론적 배경 12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8
      • 1.3. 용어의 정의 9
      • 2. 이론적 배경 12
      • 2.1.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12
      • 2.1.1.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 12
      • 2.1.2.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교수-학습방법 17
      • 2.2. 스마트러닝의 이해 20
      • 2.2.1. 스마트러닝 개요 20
      • 2.2.2. 스마트러닝 효과성을 위해 요구되는 전략 28
      • 2.3. 자기조절학습의 이해 33
      • 2.3.1. 자기조절학습 이론적 기저 33
      • 2.3.2. 자기조절학습 개념 38
      • 2.3.3.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소 43
      • 2.3.4. 자기조절학습의 교육적 유용성 54
      • 2.4. 스마트러닝을 위한 자기조절학습 설계원리 및 전략 58
      • 2.4.1. 이러닝 자기조절학습 설계원리 및 전략 58
      • 2.4.2. 스마트러닝 기반 자기조절학습 설계원리 68
      • 3. 연구 방법 73
      • 3.1. 개발연구 방법론 및 연구절차 73
      • 3.1.1. 개발연구 방법론 73
      • 3.1.2. 연구절차 77
      • 3.2. 설계원리 개발 80
      • 3.2.1. 선행문헌 검토를 통한 초기 설계원리 개발 80
      • 3.1.2. 사례분석을 통한 초기 설계원리 개발 81
      • 3.1.3.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한 초기 설계원리 개발 81
      • 3.3. 설계원리 타당성 검증 84
      • 3.3.1. 전문가 검토 84
      • 3.3.2. 사용성 평가 87
      • 4. 연구 결과 90
      • 4.1.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 90
      • 4.2.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타당성 검증 113
      • 5. 논의 154
      • 6. 결론 및 제언 157
      • 6.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57
      • 6.2.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161
      • ※ 참고문헌 163
      • ※ ABSTRACT 198
      • ※ 부록 20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지연, 한기순, 임정훈, "교육심리학", 파주: 양서원, 2009

      2 양용칠, "수업의 조건", 파주: 교육과학사, 2014

      3 이지연, 한기순, 임정훈, "교육심리학(2판)", 파주: 양서원, 2014

      4 권성호, "교육공학의 탐구", 파주: 양서원, 2011

      5 계보경, 허희옥, 이현영, 박연정, 두민영, 김현진, 김영희, 김영수, "교수 메시 지 설계", 파주: 교육과학사, 2016

      6 송기상, 이인숙, 이영민, "모바일학습의 탐구", 서울: 문음사, 2006

      7 임철일,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2판)", 파주: 교육과학사, 2012

      8 곽덕훈, "스마트교육의 의미와 전망", 스마트교육 코리아 세미나 발표자료, 2010

      9 김아영, "학업동기:이론, 연구과 적용", 서울: 학지사, 2010

      10 김미정, "자기성장평가의 이해와 적용",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6(11), 179-188, 2015

      1 이지연, 한기순, 임정훈, "교육심리학", 파주: 양서원, 2009

      2 양용칠, "수업의 조건", 파주: 교육과학사, 2014

      3 이지연, 한기순, 임정훈, "교육심리학(2판)", 파주: 양서원, 2014

      4 권성호, "교육공학의 탐구", 파주: 양서원, 2011

      5 계보경, 허희옥, 이현영, 박연정, 두민영, 김현진, 김영희, 김영수, "교수 메시 지 설계", 파주: 교육과학사, 2016

      6 송기상, 이인숙, 이영민, "모바일학습의 탐구", 서울: 문음사, 2006

      7 임철일,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2판)", 파주: 교육과학사, 2012

      8 곽덕훈, "스마트교육의 의미와 전망", 스마트교육 코리아 세미나 발표자료, 2010

      9 김아영, "학업동기:이론, 연구과 적용", 서울: 학지사, 2010

      10 김미정, "자기성장평가의 이해와 적용",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6(11), 179-188, 2015

      11 이명진, "자기조절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제연구, 39, 161-193, 2011

      12 이수희, "스마트러닝,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이러닝산업협회 2010 제2차 스마트러닝 리더스 세미나 발표자료집, 2010

      13 김창수, "이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교육학논총, 26(1), 177-192, 2005

      14 조형제, "현대자동차의 기민한 생산방식", 동향과 전망, 93, 52-85, 2015

      15 정미경,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검사 개발", 교육학연구, 41(4), 157-182, 2003

      16 박정은, 이지현, "뇌과학 기반 교수설계 전략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30(3), 335-359, 2014

      17 이영석, 조정원, "빅데이터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지, 17(12), 716-722, 2016

      18 박승호, 신명희, 서은희, "자기조절학습과 지연행동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3(4), 277-292, 2005

      19 임걸,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2), 33-45, 2011

      20 양명희, 정윤선, "자기조절학습 척도 개발 및 구조 검증", 청소년학연구, 20(12), 239-266, 2013

      21 이인숙, "e-러닝: 사이버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문음사, 2002

      22 정미경,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18(3), 155-181, 2005

      23 현정숙,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특성에 관한 연구", 학생연구, 27, 231-253, 1999

      24 권낙원, "학습자 중심 교육의 교육의 성격과 이론",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1), 29-40, 2001

      25 정미경,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분석적 고찰", 사회 교육과학연구, 4(1), 85-108, 2000

      26 강명희, 권성연,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의 규명", 교육학연구, 41(3), 239-273, 2003

      27 양애경, 조호제,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포럼, 8(3), 61-82, 2009

      28 신혜은, 최경숙, "아동의 메타인지조절의 미시 발생적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15(2), 33-53, 2002

      29 김현진, "교육공학과 테크놀로지: 의미와 연구 동향",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 회발표자료집, 2015(1), 90-90, 2015

      30 한순미,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파주: 양서원, 2004

      31 양명희, 황정규, "LISREL을 이용한 자기조절학습의 개념화 연구", 교육심리연 구, 16(2), 259-290, 2002

      32 성은모, 임정훈, 임병노,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개발 연구", 교육정 보미디어연구, 20(3), 327-353, 2014

      33 성은모, 채유정, 이성혜,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특성 탐색", 영재교 육연구, 27(3), 299-329, 2017

      34 박기용, "교수설계 모형과 실천 간의 차이와 원인분석", 교육공학연구, 23(4), 1-30, 2007

      35 박인우, 이효진, 윤가영,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 교육학연구, 23(1), 183-204, 2017

      36 이인숙, "스마트러닝 학습효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4(1), 347-357, 2013

      37 김소현, 박종민, 김희봉,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토론 활성화 방안 도출", 학습 과학연구, 5(1), 83-117, 2011

      38 진영은, 이진욱,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한국교육교육 연구, 24(1), 221-249, 2007

      39 임 걸,, 김미화, "SWOT 분석에 기반한 한국형 MOOCs 설계요소 연구", 디지 털융복합연구, 12(6), 615-624, 2014

      40 배영권, "스마트폰 기반의 교육 콘텐츠 설계 방향 탐색", 한국지식정보기술학 회 논문지, 5(5), 43-53, 2010

      41 신민희, "자기조절학습이론: 의미, 구성요소, 설계원리", 교육공학연구, 14(1), 143-162, 1998

      42 이순덕,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연구", 남부대학교 논문집, 10, 57-72, 2010

      43 양용칠,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사고개발, 11(3), 55-79, 2015

      44 박종현, 양용칠, "모바일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지원도구의 설계", 사고개발 연구, 9(1), 197-217, 2013

      45 이지연, 이현주, "성인 대상 자기조절 연구의 국내최근 동향 분석", Andragogy Today, 12(4), 83-114, 2009

      46 김희배, 염상훈,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의 효과성 연구", 교육방법 연구, 28(4), 815-835, 2016

      47 방선욱,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 연구의 교육적 함의", 교육사상연구, 23(2), 103-123, 2009

      48 박기현, 이재신, "자기조절학습에서 메타인지의 기능에 관한 고찰", 교육연구 논총, 28(3), 53-69, 2007

      49 박승호, "자기조절학습의 발달을 위한 동기적 요인의 역할", 교육심리연구, 17(1), 55-70, 2003

      50 김미경, 박성익,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고찰", 아시아 교육연구, 5(2), 137-158, 2004

      51 박성윤, 송인섭,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교육심 리연구, 14(2), 29-64, 2000

      52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인터넷 정보학회논문지, 13(5), 77-92, 2012

      53 방선희,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자기주도 학습 전략 연구", 평생학습사회 연구, 8(1), 93-112, 2012

      54 이영준, 한건우,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에서 학습자 만족도 요인 연구", 한국컴 퓨터교육학회 논문지, 9(1), 1-8, 2006

      55 방선욱, "자기조절학습의 연구현황 분석 및 교육적 함의 탐색", 청대학술논집, 28, 57-80, 2017

      56 노국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시도", 교육과정평가 연구, 2(1), 27-38, 1999

      57 박승호, "초인지, 초동기, 의지통제와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9(2), 57-90, 1995

      58 조성연, "성인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증진 프로그램 개발", 평생학습사회, 4(1), 23-50, 2008

      59 강성주, 정순원, 윤소희, 김현진, 김인희, 권순형, 계보경, "스마트교육 구현을 위한 학교 관리자 역량 요구 분석", 교원교육, 29(2), 67-94, 2013

      60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9(2), 79-88, 2011

      61 류완영, 장혜정, "탐구기반학습에서 성찰적 탐구 지원도구의 설계연구", 교육공 학연구, 22(2), 27-67, 2006

      62 김미량, "학습자 중심 웹 기반 교수-학습체제의 화면설계 전략", 교육공학연 구, 16(4), 51-76, 2000

      63 정미경,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조절학습 검사의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 구, 16(4), 303-324, 2002

      64 신민희, "자기조절 학습환경이 학습 성취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 구, 14(3), 177-197, 1998

      65 서응교, 정효정, 전은화, "대학에서의 모바일러닝을 위한 전자교재 개발 사례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4(4), 237-256, 2015

      66 김선아, "미술과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와 원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형교육, 57, 1-22, 2016

      67 성은모, 임정훈, 임병노,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9(3), 459-489, 2013

      68 박승호, "자기조절학습과 동기: 초동기와 의지통제의 교육적 함의", 교육방법 연구, 16(1), 94-114, 2004

      69 조한익,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아동교육, 23(2), 233-251, 2014

      70 김현진, "교육공학에서의 테크놀로지: 의미 탐색과 연구 동향 분석", 교육공 학연구, 31(2), 287-310, 2015

      71 정재삼, "결정지향적인 교육공학 연구방법론: 개발연구를 중심으로", 교육공학 연구, 13(2), 339-359, 1997

      72 장경원, "대학교육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 육공학연구, 27(3), 475-505, 2011

      73 김동일, 김형수,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에서 자기 평가 체계의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0(1), 199-226, 2009

      74 설문규, 손창익, "초등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인식 조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3), 309-318, 2012

      75 양명희, 정윤선, "완벽주의와 낙관주의가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8(3), 45-72, 2010

      76 김윤영, 정현미,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교수자 스캐폴딩 가이드라인 개발", 교육과학연구, 43(1), 1-31, 2012

      77 이광희, 임연욱,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중도이탈 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 구”", 한국교육, 30(3), 321-348, 2003

      78 한순미,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시 아교육연구, 7(3), 1-30, 2006

      79 임철일, "웹 기반 자기 조절 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전략의 특성과 효과", 교육공학연구, 17(3), 53-83, 2001

      80 임정훈, "「상호작용 관점에서 조망해 본 웹 기반 교육의 이론적 기저」", 교육공학 연구, 15(3), 29-54, 1999

      81 김정화, 최형신, 양명옥, 김지심, "IPTV기반 학습 시나리오 개발 연구: 자기조 절학습전략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4), 571-588, 2010

      82 권회철, 이충헌, 이주경, 우영희, 양우졍, 박환덕, 박소 영, , 김희천, 김용, 김성기, 김상홍, 김상엽,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스마트러닝 기반 KNOU 미래지식 포털 설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2017

      83 홍기칠,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석과 학습모형 개 발", 교 육심리연구, 18(1), 75-98, 2004

      84 봉미미, "자기효능감과 자기규제적 학습: 교육공학 관련 연구에의 시사점", 교 육공학연구, 14(1), 97-118, 1998

      85 임희석, 조재춘,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 모델",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4), 41-49, 2012

      86 김수미, 주영주, 심우진, "기업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대한 결 정 요인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4), 5-25, 2008

      87 강명희, 김세은, "온라인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하는 자기규제학습 촉진전략의 효과", 교육공학연구, 18(1), 3-22, 2002

      88 박미순, 장은정, "학습전략 중 노트필기 전략 훈련의 효과에 관한 대학생 사례 연구", 학습과학연구, 8(3), 60-86, 2014

      89 김창수, "e-러닝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도구의 프로토타입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2), 237-266, 2008

      90 임정훈, "모바일 기반 스마트러닝: 개념 탐색과 대학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1(1), 1-13, 2011

      91 임정훈, "모바일 학습 (Mobile Learning) 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교육실천연구, 8(1), 101-124, 2009

      92 박승호, "초등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에 관여하는 인지 및 동기의 개인차 연 구", 교육심리연구, 13(4), 425-454, 1999

      93 임정훈, "평생학습사회에서의 m-러닝: 개념적 논의와 미래교육에 주는 시사 점", 평생학습사회, 3(2), 1-26, 2007

      94 엄우용, "학습자 통제형 학습환경으로서의 하이퍼미디어와 자기조절학습전략", 산업교육연구, 5, 123-145, 1999

      95 김은영, "대학생을 위한 행동조절 중심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교육종합연구, 11(1), 21-44, 2013

      96 임정훈, "하이퍼미디어 연구에서 메타인지이론이 갖는 의의와 활용 방안 탐 색", 한국초등교육, 9(1), 313-348, 1997

      97 김영애, 신호균, "스마트러닝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학습시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6(5), 93-105, 2011

      98 손진곤,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 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4), 135-143, 2011

      99 허열, 이수경, 이다배,, 박연정, "수행지원도구로서 모바일 기술의 적용: 해외 기업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6(1), 187-215, 2014

      100 박정은, 임철일, 박태정,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감성조절 지원 이러닝 인터페 이스 설계전략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3), 389-421, 2015

      101 남경득, 손은정, "자기조절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지연행동의 매 개효과 검증", 청소년시설환경, 11(4), 41-50, 2013

      102 채아름, , 시지현, 박대건,, 김동식, "사이버대학 강의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토 론학습 인터페이스 설계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5), 81-96, 2011

      103 정희정, "영어 학습에서 모바일 러닝 (Mobile-Learning)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어영문학21, 22(2), 235-255, 2009

      104 천희영,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성별 자기조절학습의 유형화 및 유형의 특성 분석", 인지발달중재학회지, 9(1), 49-69, 2018

      105 김동일, 김형수, "학교상담: 메타분석에 기초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적 구성 탐색", 상담학연구, 8(2), 719-736, 2007

      106 하영자, "적시학습 지원을 위한 모바일러닝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역량에 미치 는 효과", 평생학습사회, 7(1), 17-41, 2011

      107 박지혜, 이영선,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 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3), 215-227, 2018

      108 송주연, 정윤경, 이선영, 우연경,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수방식과 동기, 수 업태도 및 학업성취와의 차별적 관계", 교육방법연구, 29(1), 211-235, 2017

      109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스마트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 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4(2), 282-303, 2012

      110 이인숙, "시간관리전략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교수설계기반의 e-Learning 교 수모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1(4), 101-121, 2005

      111 김성종, 김현진, "국내 학교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자 중심 학습환 경 연구의 동향분석", 교육공학연구, 32(3), 611-641, 2016

      112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서울, 2000

      113 신인수, 장봉석,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달과 학업성취에 주는 효 과의 메타분석", 교육과정연구, 29(4), 187-211, 2011

      114 김주혜, "이러닝 구성요소에 근거한 영어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 연구 - 불안감 을 중심으로", 영어교육연구, 19(2), 183-213, 2007

      115 성은모, 진성희, 유미나,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지원 을 위한 학습 데이터 탐색 연구", 교육공학연구, 32(3), 487-533, 2016

      116 김세리, 장선주, "상황학습 환경에서의 모바일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시나리 오 및 교육콘텐츠 개발", 교육공학연구, 25(1), 95-135, 2009

      117 임철일,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기업의 이러닝 학습관리체제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1(4), 77-100, 2005

      118 하영자, "온라인 학습자의 과제가치와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0(3), 577-598, 2010

      119 김선미, 정기수, 이종욱, 박병기, "자기조절학습의 복합적 측정도구 개발과 타 당화: 동기조절척도의 통합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2), 455-476, 2005

      120 서유진, 우홍욱, "학습장애 학생의 m-러닝을 위한 수학교육 애플리케이션 특 징분석 및 개발방향 모색", 특수교육, 9(2), 123-164, 2010

      121 김상홍,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수업모형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인천, 2015

      122 도재우, 양용칠, "행동조절 촉진전략을 반영한 학습플래너가 자기조절학습기능 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학사고개발학회, 7(2), 1-17, 2011

      123 강인애, 주현재,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 현직교사들의 이 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9(2), 1-34, 2009

      124 박용석, 장은지, 임걸, "학습자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만족요인 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8), 471-483, 2012

      125 권성연,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 요인 규명.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3

      126 이수정, "모바일 인터페이스 사용성 개선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3

      127 김윤정, 김주혜, "사이버대학의 스마트러닝 실태 조사 및 활성화 전략연구: K 사이버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2(3), 55-83, 2014

      128 박현정, 양명희,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탐색적 프로파일 분석-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변인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0(4), 121-137, 2007

      129 양용칠,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기능 습득을 지 원하는 교수설계전략의 효과", 교육공학연구, 20(4), 3-23, 2004

      130 편정민, "모바일 폰 GUI 디자인 사용성 평가방법의 최적화.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5

      131 연은경, "사례기반학습을 위한 사례 설계 원리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3

      132 김세리, "이러닝 학습환경에서의 텍스트 축약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6

      133 이영태,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환경 설계원리 및 모형개발.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3

      134 김성욱, "모바일 탐구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6

      135 이재인, "이러닝 패러다임의 변화와 스마트러닝-이론적 토대 구축과 독일어 학습모델 개발을 위한 시도", 독일언어문학, 58, 45-71, 2012

      136 김선희,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포럼교육 수업설계 모형개발. 미간행 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4

      137 박태정, "이러닝 환경에서의 감성적 어포던스 설계원리 개발. 미간행 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5

      138 김민정,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가 성취정서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3

      139 류관열, 최성열, 엄우용,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24(3), 661-685, 2010

      140 김지연, 최혜리, 주영주,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5(4), 101-124, 2009

      141 박홍균, "컴퓨터 기반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습방법이 학습과정 과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4), 1-16, 2001

      142 김혜숙, "학교생활만족 및 학업성취 설명 모형의 탐색-물리적, 작용적 학교 환경, 소진경험과 자기조절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2(4), 105-121, 2005

      143 박주희, "상황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학습 컨텐츠 설계 및 구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2005

      144 주현재, "고등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이론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1

      145 김연경, "대학수업을 위한 활동이론 기반 플립드 러닝 수업모형 개발.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6

      146 김영주, 이정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몰입, 만 족도,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종합연구, 13(2), 127-150, 2015

      147 홍현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플립러닝 수업설계원리 개발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7

      148 정미경,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9

      149 정윤선, "자기조절학습의 유형 탐색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 연구.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5

      150 유미나, "학습분석학 기반의 온라인 토론활동 시각화 원리 개발 연구.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6

      151 최정숙, 최정임,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43(4), 221-244, 2012

      152 홍영일, "태도의 형성 및 변화를 위한 교수 원리 탐색 및 전략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4

      153 김현진, 김현진, "김현진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정서 및 인지적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 간의 경로 탐색 연구", 교육심리연구, 25(3), 693-716, 2011

      154 김민정, 이숙향,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독립적 과제 성취 및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6(3), 139-163, 2014

      155 오지현,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시간 관리에 미치는 효과.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제주, 2010

      156 송승훈, "웹기반 학습에서 교육적 에이전트의 설계원리 연구: 자기조절학 습 지원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57 봉미미, 추미화, 우연경, "초등 사회교과에서의 목차 훑어보기 훈련이 학습동 기,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22(1), 147-165, 2010

      158 이은주, "메타인지를 활용한 직접적 탐구 기능 수업 전략에 대한연구. 미발 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0

      159 허은영, "방과후학교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중등교육연구, 57(2), 209-234, 2009

      160 임철일, "웹 기반 자기조절 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및 운영 전략이 자기 조절 학습 수준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18(4), 3-23, 2002

      161 배애현,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지원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 2015

      162 성은모,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텍스트 구조의 시각 표상 설계원리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9

      163 이의길, "온라인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협동학습의 관계 및 이들이 인지적 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교육공학연구, 21(3), 53-78, 2005

      164 강민석,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모형 및 측정도구 개 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9

      165 김현진, 이동국,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e-포트폴리오 문제의 구조화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3), 523-545, 2013

      166 이의길,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모바일러닝 활용실태 분석 및 학업성취도 에 대한 모바일러닝 관련 인식의 영향 탐색",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3), 65-74, 2014

      167 정미선, , 장세나,, 문두호,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전략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 불안 및 생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48(3), 1-14, 2009

      168 진성희, "구조이해 및 내용이해 증진을 위한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9

      169 이소영, 홍유나, 주영주, "사이버대학에서 지각된 수단성, 숙달접근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 지, 15(4), 645-660, 2011

      170 신종순, "자기조절학습에서 정의적 변인의 역할: 자아와 동기전략을 중심 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7

      171 정애경,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 개발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8

      172 김태기,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러닝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4

      173 심현정, "웹 기반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이 과제수행과 동기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1

      174 정재삼, "「교수설계(ID)와 교수체제개발(ISD)의 최근 경향과 논쟁: 21세기를 대 비하는 교수공학의 지식기반 구축을 위하여」", 교육공학연구, 12(1), 41-74, 1996

      175 강정진, 홍유나, 정애경,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 성, 상사 및 동료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인터넷방송통 신학회 논문지, 16(4), 189-196, 2016

      176 조현국, 주영주, 김나영,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자기조 절 학습능력 및 온라인 과제 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간의 관계 분 석", 교육정보미디어연 구, 14(3), 115-135, 2008

      177 양은희, 이수진, 이수정, "청소년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자율성, 인지적, 행동 적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관계: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37(1), 79-106, 2016

      178 김현주, "스마트러닝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설계 기반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인천, 2014

      179 임연욱, 하정희, "e-Learning 학습자의 학업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성향 요인들: 완벽주의, 반추사고, 자기결정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교육학연구, 48(4), 21-49, 2010

      180 김태현,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행동 촉진을 위한 사운드 설 계전략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2

      181 김현진, 유지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자기조절학 습능력, 협력지향성이 초등학생의 인지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 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2015(1), 50-50, 2015

      182 임성문, 추상엽,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간의 관계: 수행회피 성취목표의 매개효과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의 조절효과", 청소년 학연구, 16(1), 467-490, 2009

      183 윤희숙, "e-Learning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3

      184 조현철,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 연구, 25(1), 33-60, 2011

      185 조아라, "학습동기 강화를 위한 학습지원 툴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정서적 뇌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5

      186 김동준,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종단 관계 연구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및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 원", 서울, 2012

      187 김영수, 두민영, "웹 기반 학습에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가 학습 자의 중도 탈락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L기업 사이버 아카데미의 인터 넷 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6(2), 73-90,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