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도식물의 기원- 독도, 울릉도 및 일본 오키섬 식물상 비교를 통하여 = Origin of Dokdo Plants- Comparison of Flora of Dokdo, Ulleungdo and Oki Island of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5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vascular plant flora of Dokdo, Ulleungdo, and Oki Island of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lant origins of Do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umulate basic data to study the unique biological evolution and speciation process of Dokdo, an oceanic island. The vascular plant flora of Dokdo is identified as 29 families, 49 genera, 54 species, 1 subspecies, 2 variants, 57 taxa, and 9 taxa (15.8%)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in Korea and Oki Island in Japan, and 9 plants native to Dokdo. Taxa (15.8%), 37 taxa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64.9%), and 2 taxa (3.5%)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Oki Island in Japan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endemic specie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which are nationally protected species, were compared and studied. Three taxa were identified for plant endemic specie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15 taxa for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8 taxa for naturalized plants. Therefore, as a result of the studies reported so far, the flora of Dokdo shows a similar trend to that of Ulleungdo, but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review the flora of more expanded areas (Korea and Japan).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reveal the origin of Dokdo plants.
      번역하기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vascular plant flora of Dokdo, Ulleungdo, and Oki Island of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lant origins of Do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umulate basic data to study the unique biological evolution a...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vascular plant flora of Dokdo, Ulleungdo, and Oki Island of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lant origins of Do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umulate basic data to study the unique biological evolution and speciation process of Dokdo, an oceanic island. The vascular plant flora of Dokdo is identified as 29 families, 49 genera, 54 species, 1 subspecies, 2 variants, 57 taxa, and 9 taxa (15.8%)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in Korea and Oki Island in Japan, and 9 plants native to Dokdo. Taxa (15.8%), 37 taxa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64.9%), and 2 taxa (3.5%)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Oki Island in Japan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endemic specie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which are nationally protected species, were compared and studied. Three taxa were identified for plant endemic specie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15 taxa for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8 taxa for naturalized plants. Therefore, as a result of the studies reported so far, the flora of Dokdo shows a similar trend to that of Ulleungdo, but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review the flora of more expanded areas (Korea and Japan).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reveal the origin of Dokdo pla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독도와 울릉도 그리고 일본 오키섬과의 관속식물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양섬인 독도의 독특한 생물학적 진화양상과 종분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독도의 관속식물상은 29과 49속 54종 1아종 2변종 57분류군으로 확인되며, 한국의 독도와 울릉도와 그리고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으로 자생하는 식물이 9분류군(15.8%), 독도에서만 자생하는 식물 9분류군(15.8%), 독도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식물 37분류군(64.9%), 독도와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적으로 자생하는 식물 2분류군(3.5%)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가 보호종인 고유종,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 귀화식물 등을 상호 비교·연구하였다. 독도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식물 고유종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은 15분류군, 귀화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독도와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으로 자생하는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 결과, 독도의 식물상은 울릉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지만, 좀 더 확대된 지역(한국, 일본)의 식물상을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독도식물의 기원을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독도와 울릉도 그리고 일본 오키섬과의 관속식물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양섬인 독도의 독특한 생물학적 진화양상과 종분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하는 것을 ...

      본 논문은 독도와 울릉도 그리고 일본 오키섬과의 관속식물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양섬인 독도의 독특한 생물학적 진화양상과 종분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독도의 관속식물상은 29과 49속 54종 1아종 2변종 57분류군으로 확인되며, 한국의 독도와 울릉도와 그리고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으로 자생하는 식물이 9분류군(15.8%), 독도에서만 자생하는 식물 9분류군(15.8%), 독도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식물 37분류군(64.9%), 독도와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적으로 자생하는 식물 2분류군(3.5%)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가 보호종인 고유종,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 귀화식물 등을 상호 비교·연구하였다. 독도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식물 고유종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은 15분류군, 귀화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독도와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으로 자생하는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 결과, 독도의 식물상은 울릉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지만, 좀 더 확대된 지역(한국, 일본)의 식물상을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독도식물의 기원을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2 김철환, "자연환경 평가-Ⅰ" 163-198, 2000

      3 환경부,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자료집" 환경부 47-138, 2009

      4 환경부, "멸종위기종목록"

      5 전영권, "독도의 지형지(地形誌)"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19-28, 2005

      6 박선주,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264-278, 2010

      7 현진오, "독도의 관속식물상, In 독도 생태계 정밀조사 보고서" 환경부 47-60,

      8 이영노, "독도식물 조사기" 2 : 26-31,

      9 박선주, "독도 생태계 정밀조사 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51-78, 2010

      10 박선주,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25-53, 2011

      1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2 김철환, "자연환경 평가-Ⅰ" 163-198, 2000

      3 환경부,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자료집" 환경부 47-138, 2009

      4 환경부, "멸종위기종목록"

      5 전영권, "독도의 지형지(地形誌)"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19-28, 2005

      6 박선주,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264-278, 2010

      7 현진오, "독도의 관속식물상, In 독도 생태계 정밀조사 보고서" 환경부 47-60,

      8 이영노, "독도식물 조사기" 2 : 26-31,

      9 박선주, "독도 생태계 정밀조사 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51-78, 2010

      10 박선주,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25-53, 2011

      11 박선주, "깊은 나무" 판교 1-264, 2017

      12 枚村善貝, "隠岐諸島の植生と植物相" (Ⅱ) : 1-23, 1995

      13 Melchior, "Gebruder Borntraeger" 1-666, 1964

      14 김영표, "GIS를 활용한 울릉도와 독도의 지리 및 지형연구" 국토연구원 1-98, 2009

      15 Oh, B.U,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1-205, 2005

      16 박선주, "2019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 영남대학교 17-48, 2019

      17 박선주, "2018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3-37, 2018

      18 박선주, "2017년 특정도서 독도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79-99, 2017

      19 박선주, "2016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 영남대학교 9-26, 2016

      20 박선주, "2014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27-46, 2014

      21 박선주, "2013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특정도서 제1호" 대구지방환경청 27-49, 2013

      22 박선주, "2012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 대구지방환경청 3-29, 2012

      23 박선주, "2009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특정도서 제1호" 대구지방환경청 41-6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10-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도 · 평화연구소 -> 독도연구소
      영문명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 Dokdo Research Institute
      2007-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도연구소 -> 독도 · 평화연구소
      영문명 : Dokdo Research Institute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