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VR 콘텐츠의 암묵적 프레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3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선의 자유는 VR 콘텐츠의 형식적 측면에서 프레임의 부재라는 사태로 나타난다. 기존 스크린 기반 영상매체에서 프레임은 영화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경계를 이루는 동시에 미장센 구성...

      시선의 자유는 VR 콘텐츠의 형식적 측면에서 프레임의 부재라는 사태로 나타난다. 기존 스크린 기반 영상매체에서 프레임은 영화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경계를 이루는 동시에 미장센 구성의 토대를 이룬다. 그러나 VR 콘텐츠에 이르러 이용자는 360°로 펼쳐진 공간을 매개된 지각을 통해 대면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의 경계가 해체된다. 본 연구는 VR 콘텐츠에서 프레임의 부재로 인해 스토리텔링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양상을 고찰한 후,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묵적 프레임이 설정되는 유형과 그 효과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VR 콘텐츠에서는 프레임의 부재로 인해 프레임 기반의 미장센 개념이 축소되고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의 긴장구도가 사라진다. 이에 따라, 편집의 기능은 시간적 확장에 한정되며 서사 정보의 은닉과 노출을 조율하는 것 또한 어려워진다. 한편, 제한된 시야각과 VR 콘텐츠의 기술적 조건이 결합하여 이용자가 360° 공간을 비균질적으로 경험한 결과, 프레임의 부재가 부분적으로 부정되는 암묵적 프레임 효과가 발생한다. 암묵적 프레임은 형식적 층위에서 자연적․인공적 지형지물을 활용한 조형적 구도, 내용적 층위에서 스토리텔링과 연동한 공간의 상징화, 기술적 층위에서 이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상호작용 영역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reedom of gaze in VR contents is experienced through the absence of frames in the formal aspect of VR. In existing screenbased visual media, frames form the boundary between cinematic space and physical space and also serve as the basis of the mi...

      The freedom of gaze in VR contents is experienced through the absence of frames in the formal aspect of VR. In existing screenbased visual media, frames form the boundary between cinematic space and physical space and also serve as the basis of the mise-en-scene composition.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VR as a new media for contents, it became possible for the user to face the 360° field through mediated perception, resulting in the dismantling of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screen space and the outer screen space. This paper first investigates the paradigm shift in VR storytelling due to the absence of frames, and then discusses the types and effects of tentative frames through exemplary works.
      In VR contents, the concept of a frame-based mise-en-scene is reduced by the absence of frames. Also, the tension between the inner screen space and the outer screen space disappears. As a result, the editing function becomes limited to temporal expansion and controlling the exposure or concealment of narrative information become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of the limited viewing angle and the technological conditions of the VR contents causes the user to experience the 360° space in a non-homogeneous way. In turn, this brings about a tentative frame effect which partially negates the absence of the frame. Tentative frames can be set up in the following ways: firstly, form-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the visual composition using natural and artificial features; secondly, content-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the symbolization of space in conjunction with the context of storytelling; and finally, technology-wise, it can be set up through interaction areas activated by a us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프레임의 부재와 암묵적 프레임
      • 3. 암묵적 프레임의 유형과 효과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들어가며
      • 2. 프레임의 부재와 암묵적 프레임
      • 3. 암묵적 프레임의 유형과 효과
      • 4.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K-books 2008

      2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나무 2004

      3 김창배, "가상현실을 말하다" 클라우드북스 2016

      4 "https://www.youtube.com/watch?v=a_3gPa0Ovxk"

      5 "https://www.youtube.com/watch?v=XiDRZfeL_hc&t=6s"

      6 "https://www.youtube.com/watch?v=WqCH4DNQBUA"

      7 "https://www.youtube.com/watch?v=QXF7uGfopnY"

      8 "https://www.youtube.com/watch?v=JqXC46b1uUg&t=204s"

      9 "https://www.youtube.com/watch?v=G-XZhKqQAHU&feature=youtu.be"

      10 "https://www.youtube.com/watch?v=Aa1LcTiA_2Q&t=2s"

      1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K-books 2008

      2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나무 2004

      3 김창배, "가상현실을 말하다" 클라우드북스 2016

      4 "https://www.youtube.com/watch?v=a_3gPa0Ovxk"

      5 "https://www.youtube.com/watch?v=XiDRZfeL_hc&t=6s"

      6 "https://www.youtube.com/watch?v=WqCH4DNQBUA"

      7 "https://www.youtube.com/watch?v=QXF7uGfopnY"

      8 "https://www.youtube.com/watch?v=JqXC46b1uUg&t=204s"

      9 "https://www.youtube.com/watch?v=G-XZhKqQAHU&feature=youtu.be"

      10 "https://www.youtube.com/watch?v=Aa1LcTiA_2Q&t=2s"

      11 "https://www.theverge.com/2015/12/22/10636638/google-atap-aardman-animations-spotlight-stories-special-delivery"

      12 Friedberg, Anne, "Window shopping : Cinema and the postmoder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13 Steven, M, "Virtual Reality" University of Illinois 2015

      14 장욱상, "VR영상 연출 분석 - 롱 테이크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1 (11): 294-309, 2015

      15 김태은, "VR 영화에 있어 암묵적 프레임 효과" 137-139, 2016

      16 Robertson, Adi, "Rear Window at Christmas: behind Google's new interactive animated short" 2015

      17 Steuer, Jonathan, "Defining Virtual Reality :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42 (42):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3 0.65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