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화에 나타난 호랑이의 다중적 상징과 민중의 권력 인식 = Multiple Symbol of Tiger in Folk Tale and Power Cognizance of the Peo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4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호랑이 설화를 권력담론으로 주목하고 권력의 행사 방식과 함께 부당한 권력에 저항하는 민중의식을 검토한다. 설화 속에 이야기되는 호랑이는 한갓 짐승으로서 포획의 대상이 되는가 하면 최종포식자로서 절대군주로 군림하고, 무고한 생명을 해치는 폭력적 맹수인가 하면 위기에 처한 불쌍한 인명을 구원하는 초월적 존재로서 신성시되기도 한다. 이러한 다중적 상징을 근거로 호랑이로 은유되는 권력의 실체와 권력에 맞서는 민중의 권력 인식을 이해하고 권력의 바람직한 쓰임새를 발견하기 위해 두 갈래 논의를 한다.
      하나는 호랑이의 힘을 통해서 인간사회에서 작동되는 권력의 다중적 기능을 포착하는 길이고, 둘은 호랑이에 맞서는 인간의 다양한 대응방식을 포착하는 길이다. 앞의 길은 권력의 정체를 제대로 밝혀서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뒤의 길은 민중 위에서 군림하는 지배 권력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슬기를 찾는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권력이 공동선을 위해 바람직하게 쓰이는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호랑이로 상징되는 권력이 욕망에 몰입하면 자기 힘에 속는 어리석은 존재로 웃음거리가 된다. 그러나 권력이 사회적 공동선을 위해 이바지하면 신령스러운 존재로 숭배의 대상이 된다. 이기적 권력은 폭력이지만 이타적 권력은 신성한 힘으로 인식되는 까닭이다. 강자를 위한 권력은 사회악이지만 약자를 위한 권력은 공동선이다. 호랑이의 초월적 힘도 자기 배를 불리려고 할 때에는 끔찍한 폭력이 되지만, 사회적 약자들을 도와줄 때에는 공동선을 실현하는 신령한 은총으로 인식된다.
      토끼 또한 부당한 권력을 휘두르는 호랑이의 폭력을 공격하고 해체하는 주체로서 영웅성을 발휘하며, 억울한 사람을 살려내는 구세주 노릇을 한다. 권력의 크기나 높이가 아니라 질과 쓰임새가 권력의 가치를 결정하는 까닭이다. 따라서 권력이 크고 대단하다고 으스댈 일도 아니며 권력이 작아서 쓸모없다고 좌절하거나 포기할 일도 아니다. 대단한 권력자일수록 권력의 크기보다 권력 행사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이타적 공동선을 위해 전적으로 봉사하는 권력이라면 그 권력자가 누구이든 신성한 존재로 섬겨질 것이다.
      민중도 권력에 대한 불평만 할 것이 아니라, 자기는 타자에 대한 권력 행사를 부당하게 하지 않았는가 끊임없이 자문해 봐야 한다. 왜냐하면 어떤 약자들도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자들에게 권력을 휘두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본권만 가진 사람들도 성찰하고 기본권이나마 잘못 행사해서 부당한 권력이 활개 치도록 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 호랑이를 다시 함정에 가두는 토끼의 슬기를 주목하면 기본권만 가지고도 얼마든지 권력을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다. 권력 키우기에 관심을 쏟을 것이 아니라 작은 권력이나마 사회적 약자와 공동선을 위해 이타적으로 베푸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호랑이 설화는 권력의 ‘위상’과 ‘크기’가 문제가 아니라 권력의 ‘쓰임새’와 ‘방향’이 문제라는 것을 다각적으로 일깨워주는 구실을 하고 있다.
      번역하기

      호랑이 설화를 권력담론으로 주목하고 권력의 행사 방식과 함께 부당한 권력에 저항하는 민중의식을 검토한다. 설화 속에 이야기되는 호랑이는 한갓 짐승으로서 포획의 대상이 되는가 하면...

      호랑이 설화를 권력담론으로 주목하고 권력의 행사 방식과 함께 부당한 권력에 저항하는 민중의식을 검토한다. 설화 속에 이야기되는 호랑이는 한갓 짐승으로서 포획의 대상이 되는가 하면 최종포식자로서 절대군주로 군림하고, 무고한 생명을 해치는 폭력적 맹수인가 하면 위기에 처한 불쌍한 인명을 구원하는 초월적 존재로서 신성시되기도 한다. 이러한 다중적 상징을 근거로 호랑이로 은유되는 권력의 실체와 권력에 맞서는 민중의 권력 인식을 이해하고 권력의 바람직한 쓰임새를 발견하기 위해 두 갈래 논의를 한다.
      하나는 호랑이의 힘을 통해서 인간사회에서 작동되는 권력의 다중적 기능을 포착하는 길이고, 둘은 호랑이에 맞서는 인간의 다양한 대응방식을 포착하는 길이다. 앞의 길은 권력의 정체를 제대로 밝혀서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뒤의 길은 민중 위에서 군림하는 지배 권력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슬기를 찾는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권력이 공동선을 위해 바람직하게 쓰이는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호랑이로 상징되는 권력이 욕망에 몰입하면 자기 힘에 속는 어리석은 존재로 웃음거리가 된다. 그러나 권력이 사회적 공동선을 위해 이바지하면 신령스러운 존재로 숭배의 대상이 된다. 이기적 권력은 폭력이지만 이타적 권력은 신성한 힘으로 인식되는 까닭이다. 강자를 위한 권력은 사회악이지만 약자를 위한 권력은 공동선이다. 호랑이의 초월적 힘도 자기 배를 불리려고 할 때에는 끔찍한 폭력이 되지만, 사회적 약자들을 도와줄 때에는 공동선을 실현하는 신령한 은총으로 인식된다.
      토끼 또한 부당한 권력을 휘두르는 호랑이의 폭력을 공격하고 해체하는 주체로서 영웅성을 발휘하며, 억울한 사람을 살려내는 구세주 노릇을 한다. 권력의 크기나 높이가 아니라 질과 쓰임새가 권력의 가치를 결정하는 까닭이다. 따라서 권력이 크고 대단하다고 으스댈 일도 아니며 권력이 작아서 쓸모없다고 좌절하거나 포기할 일도 아니다. 대단한 권력자일수록 권력의 크기보다 권력 행사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이타적 공동선을 위해 전적으로 봉사하는 권력이라면 그 권력자가 누구이든 신성한 존재로 섬겨질 것이다.
      민중도 권력에 대한 불평만 할 것이 아니라, 자기는 타자에 대한 권력 행사를 부당하게 하지 않았는가 끊임없이 자문해 봐야 한다. 왜냐하면 어떤 약자들도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자들에게 권력을 휘두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본권만 가진 사람들도 성찰하고 기본권이나마 잘못 행사해서 부당한 권력이 활개 치도록 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 호랑이를 다시 함정에 가두는 토끼의 슬기를 주목하면 기본권만 가지고도 얼마든지 권력을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다. 권력 키우기에 관심을 쏟을 것이 아니라 작은 권력이나마 사회적 약자와 공동선을 위해 이타적으로 베푸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호랑이 설화는 권력의 ‘위상’과 ‘크기’가 문제가 아니라 권력의 ‘쓰임새’와 ‘방향’이 문제라는 것을 다각적으로 일깨워주는 구실을 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iger is the king of beasts and is often expressed as imperial power metaphorically. Observing from thi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 folk tale of a tiger as power discourse and reviews popular consciousness of resisting unjust authority along with a method of executing power. A tiger in folk tales is sometimes a target of capture as mere beast, a final predator that reigns as absolute monarch, and a violent savage that harms innocent life, or it is sacred as a transcendental being that saves poor life in danger. This study has two different discussions to understand truth of power that is metaphorically expressed as a tiger and power cognizance of the people standing against power based on multiple symbol, and to find desirable use of power.
      One is catching multiple functions of power that operates in a human society through power of a tiger, and other way is capturing various corresponding methods of human that stand against a tiger. The former way is revealing truth identity of power and perceiving it critically, and the latter way is finding wisdom of effectively overcoming authoritative power that resigns over the people. More important thing is to suggest a way to use power desirably for common good.
      If power symbolized as a tiger is immersed in desire then it becomes a laughing stock of foolish being that is deceived by oneself. However, if power contributes to common good of society then it becomes a target of worship as a holy being. It is because selfish power is violence but altruistic power is cognized as sacred power. Power for the strong is social evil but power for the weak is common good. Transcendental power of a tiger become horrible violence when it uses it to satisfy one’s appetite but it is cognizes as holy grace of realizing common good when helping social minorities.
      A rabbit also demonstrates heroism as a main agent of attacking and dissolving violence of a tiger that exercises unjust power, and plays a role of a savior of rescuing people in unfair situations. It is because quality and use decide the value of power rather than size or height of power. Therefore, it is not something to brag about because power is big and great or it is something to be discouraged or give up because power is small and useless. Great man of power must focus on righteous direction of exercising power than size of power. Power of serving for altruistic common good will be considered as sacred existence whomever the man of power is.
      The people must constantly ask oneself if one did not execute power on other person unjustly, stepping away from complaining about authority. Because any weak person can wield power on a relatively weaker person. Therefore, people with just fundamental rights must introspect and refrain from wrongly exercising fundamental rights and prevent power to be active unreservedly. Authority can be controlled freely only with fundamental rights by understanding wisdom of a rabbit that puts a tiger back into the trap. It is important to selflessly execute even the smallest power for social minorities and common good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expand power. Therefore, tiger folk tales play a role of multilaterally reminding the problem is ‘use’ and ‘direction’ of power, not ‘status’ and ‘size’ of power.
      번역하기

      A tiger is the king of beasts and is often expressed as imperial power metaphorically. Observing from thi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 folk tale of a tiger as power discourse and reviews popular consciousness of resisting unjust authority along wi...

      A tiger is the king of beasts and is often expressed as imperial power metaphorically. Observing from thi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 folk tale of a tiger as power discourse and reviews popular consciousness of resisting unjust authority along with a method of executing power. A tiger in folk tales is sometimes a target of capture as mere beast, a final predator that reigns as absolute monarch, and a violent savage that harms innocent life, or it is sacred as a transcendental being that saves poor life in danger. This study has two different discussions to understand truth of power that is metaphorically expressed as a tiger and power cognizance of the people standing against power based on multiple symbol, and to find desirable use of power.
      One is catching multiple functions of power that operates in a human society through power of a tiger, and other way is capturing various corresponding methods of human that stand against a tiger. The former way is revealing truth identity of power and perceiving it critically, and the latter way is finding wisdom of effectively overcoming authoritative power that resigns over the people. More important thing is to suggest a way to use power desirably for common good.
      If power symbolized as a tiger is immersed in desire then it becomes a laughing stock of foolish being that is deceived by oneself. However, if power contributes to common good of society then it becomes a target of worship as a holy being. It is because selfish power is violence but altruistic power is cognized as sacred power. Power for the strong is social evil but power for the weak is common good. Transcendental power of a tiger become horrible violence when it uses it to satisfy one’s appetite but it is cognizes as holy grace of realizing common good when helping social minorities.
      A rabbit also demonstrates heroism as a main agent of attacking and dissolving violence of a tiger that exercises unjust power, and plays a role of a savior of rescuing people in unfair situations. It is because quality and use decide the value of power rather than size or height of power. Therefore, it is not something to brag about because power is big and great or it is something to be discouraged or give up because power is small and useless. Great man of power must focus on righteous direction of exercising power than size of power. Power of serving for altruistic common good will be considered as sacred existence whomever the man of power is.
      The people must constantly ask oneself if one did not execute power on other person unjustly, stepping away from complaining about authority. Because any weak person can wield power on a relatively weaker person. Therefore, people with just fundamental rights must introspect and refrain from wrongly exercising fundamental rights and prevent power to be active unreservedly. Authority can be controlled freely only with fundamental rights by understanding wisdom of a rabbit that puts a tiger back into the trap. It is important to selflessly execute even the smallest power for social minorities and common good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expand power. Therefore, tiger folk tales play a role of multilaterally reminding the problem is ‘use’ and ‘direction’ of power, not ‘status’ and ‘size’ of pow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호랑이의 설화적 인식과 문제 제기
      • 2. 호랑이 설화의 다중성과 권력화 담론 양상
      • 3. 호랑이 사냥에서 드러난 정치권력의 인식
      • 4. 도덕적 존재로서 호랑이와 인간의 권력 관계
      • [국문요약]
      • 1. 호랑이의 설화적 인식과 문제 제기
      • 2. 호랑이 설화의 다중성과 권력화 담론 양상
      • 3. 호랑이 사냥에서 드러난 정치권력의 인식
      • 4. 도덕적 존재로서 호랑이와 인간의 권력 관계
      • 5. 호랑이의 폭력과 민중의 비판적 인식
      • 6. 공동선을 위한 호랑이의 도움과 신성성
      • 7. 권리의 성찰적 행사와 권력의 비판적 선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옥, "효자호랑이 설화에 나타나는 효 관념"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 : 1991

      2 오창영, "호랑이의 생태와 종류, In 호랑이의 생태와 관련 민속" 1997

      3 李符永, "호랑이와 세 아이" 문학사상사 1973

      4 김수연, "호랑이담에 나타난 여성의 욕망"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3) : 197-227, 2009

      5 이동철, "호랑이가 등장하는 효행설화의 교육적 효과" 한민족문화학회 (21) : 249-281, 2007

      6 윤광봉, "호랑이 說話와 演戱" 비교민속학회 14 : 1997

      7 최래옥, "한국효행 설화의 성격 연구-효자 호랑이 설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10 : 1977

      8 국립민속박물관, "한국호랑이민예" 대원사 1988

      9 김호근, "한국의 호랑이" 열화당 1995

      10 김기호, "한국 호랑이 설화의 주제별 유형-발달론적(發達論的)관점(觀點)을 중심(中心)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 2004

      1 강진옥, "효자호랑이 설화에 나타나는 효 관념"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 : 1991

      2 오창영, "호랑이의 생태와 종류, In 호랑이의 생태와 관련 민속" 1997

      3 李符永, "호랑이와 세 아이" 문학사상사 1973

      4 김수연, "호랑이담에 나타난 여성의 욕망"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3) : 197-227, 2009

      5 이동철, "호랑이가 등장하는 효행설화의 교육적 효과" 한민족문화학회 (21) : 249-281, 2007

      6 윤광봉, "호랑이 說話와 演戱" 비교민속학회 14 : 1997

      7 최래옥, "한국효행 설화의 성격 연구-효자 호랑이 설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10 : 1977

      8 국립민속박물관, "한국호랑이민예" 대원사 1988

      9 김호근, "한국의 호랑이" 열화당 1995

      10 김기호, "한국 호랑이 설화의 주제별 유형-발달론적(發達論的)관점(觀點)을 중심(中心)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 2004

      11 윤내현, "한국 민족신화의 재점검; 국조신화 : 단군 신화의 역사성과 환웅 곰 호랑이의 정체"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 1998

      12 이호주, "한․중 호랑이 설화 비교연구-보은설화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4 : 1996

      13 박태선, "하늘이 낸 효자 도시복(都始復) 생가" 2008

      14 이가원, "조선 호랑이 이야기" 학민사 1993

      15 김기호, "웃음 서사의 한 원형으로서 호랑이 설화" 한국사상문화학회 (34) : 75-104, 2006

      16 崔仁鶴, "설화 속의 호랑이, In 한국민속문화의 탐구" 국립민속박물관 1996

      17 김명희, "설화 속에 나타난 호랑이와 여성" 강남대학 국문학과 9 : 1996

      18 金鎬然, "민화에 보이는 호랑이, In 한국민속문화의 탐구" 국립민속박물관 1996

      19 이정재, "동북아 설화의 곰과 호랑이 연구" 한국민속학회 7 : 1996

      20 임재해, "고조선문화의 지속성과 성립과정의 상생적 다문화주의" 고조선단군학회. 24 :

      21 黃浿江, "韓國民族說話와 ‘호랑이’" 국어국문학회 55 : 1972

      22 "韓國口碑文學大系 82책"

      23 崔正如, "韓國口碑文學大系 8-6"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24 鄭尙圤, "韓國口碑文學大系 8-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

      25 鄭尙圤, "韓國口碑文學大系 8-1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26 林在海, "韓國口碑文學大系 7-9"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27 趙東一, "韓國口碑文學大系 7-7"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28 林在海, "韓國口碑文學大系 7-6"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29 林在海, "韓國口碑文學大系 7-18"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8

      30 崔正如, "韓國口碑文學大系 7-13"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5

      31 崔正如, "韓國口碑文學大系 7-1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32 崔來沃, "韓國口碑文學大系 6-9"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33 池春相, "韓國口碑文學大系 6-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34 崔來沃, "韓國口碑文學大系 6-1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35 崔來沃, "韓國口碑文學大系 6-10"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36 朴順浩, "韓國口碑文學大系 5-7"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37 朴順浩, "韓國口碑文學大系 5-5"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38 朴順浩, "韓國口碑文學大系 5-4"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39 印權煥, "韓國口碑文學大系 4-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

      40 金榮振, "韓國口碑文學大系 3-3"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2

      41 金善豊, "韓國口碑文學大系 2-8"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42 徐大錫, "韓國口碑文學大系 2-6"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43 成耆說, "韓國口碑文學大系 1-7"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2

      44 徐大錫, "韓國口碑文學大系 1-1" 1980

      45 張德順, "虎傳說, In 韓國說話文學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70

      46 吳出世, "民譚에 나타난 호랑이 考察-골계담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31 : 1996

      47 "後漢書 卷85"

      48 "三國志 卷30"

      49 김영희, "<효자호랑이>의 연행과 젠더 주체의 형성" 한국고전연구학회 (20) : 283-334, 2009

      50 金基鎬, "<호랑이 報恩> 說話에 나타난 對極과 統合의 原理" 동아인문학회 13 (13): 65-96, 2008

      51 이한길, "<해님 달님> 연구-트릭스터로서의 호랑이" 한국고전연구학회 3 :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Practice Folkloristic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7 1.3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