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칸트 철학에서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 - 보편과 특수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nd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in Kant’s Philosophy - In Viewpoint of Relation between Universal and Particular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7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might say that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the world is composed of experience. We can also say that experience is judging a judgment whether the judging is mad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refore, considering Kant’s the power of judgment is associated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ich deals with the manner how human being is related to the world.
      This paper which has above background will consider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concretely. The judgment of cognition which is thematize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s the main province of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to which the universal is already given. By contrast, In the case of judgment of taste, there is no universal to subsume the particular, so we nee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to find the universal.
      At first glance,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which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which ascends to the universal from the particular act independently; the former in the field of cognition, but the latter in the field of beautiful(art, sublime). I think that traditional interpretations did not dig into the relation between two powers of judgment because they generally had premised that two powers of judgment are irrelevant to each other and limited to different field.
      Once again, this paper throws the following question. Is the intention of Kant’s distinction between the determ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really means that two different powers of judgment act separately in different field? Through revealing that the activity of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is necessary when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ctually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the auther attempts to read out Kant’s discernment about the power of judgment.
      번역하기

      We might say that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the world is composed of experience. We can also say that experience is judging a judgment whether the judging is mad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refore, considering Kant’s the power of ju...

      We might say that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the world is composed of experience. We can also say that experience is judging a judgment whether the judging is mad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refore, considering Kant’s the power of judgment is associated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ich deals with the manner how human being is related to the world.
      This paper which has above background will consider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concretely. The judgment of cognition which is thematize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s the main province of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to which the universal is already given. By contrast, In the case of judgment of taste, there is no universal to subsume the particular, so we nee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to find the universal.
      At first glance,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which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which ascends to the universal from the particular act independently; the former in the field of cognition, but the latter in the field of beautiful(art, sublime). I think that traditional interpretations did not dig into the relation between two powers of judgment because they generally had premised that two powers of judgment are irrelevant to each other and limited to different field.
      Once again, this paper throws the following question. Is the intention of Kant’s distinction between the determ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really means that two different powers of judgment act separately in different field? Through revealing that the activity of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is necessary when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ctually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the auther attempts to read out Kant’s discernment about the power of judg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인간과 세계의 관계는 경험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험이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혹은 현재적이든 잠재적이든 어떠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따라서 칸트의 “판단력”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은, 판단을 통해 과연 우리 인간은 세계와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하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과도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배경을 갖는 본고는, 구체적으로는 칸트 철학에서의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는 규정적 판단력의 본령을 이루고 있는 곳은 인식판단이다. 하지만, 취미판단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러한 인식판단에서처럼 특수한 것을 포섭하기 위한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보편적인 것을 찾아내기 위한 반성적 판단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얼핏 보기에,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하강하는 규정적 판단력은 인식의 영역에서, 그리고 특수로부터 보편으로 상승하는 반성적 판단력은 미(예술, 숭고)의 영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해석은, 위의 두 판단력을 각자 다른 영역에 한정된 무관한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전제한 뒤,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더 이상 파고들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본고는, 칸트가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구분하는 진의가, 양자는 각각 다른 영역에서 무관하게 활동하는 판단력이라는 점을 드러내려고 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물음을 던져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규정적 판단력이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실제로 하강할 경우에는, 반성적 판단력의 활동이 불가피함을 드러냄으로써, 판단력에 대한 칸트의 통찰을 읽어내고자 한다.
      번역하기

      우리 인간과 세계의 관계는 경험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험이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혹은 현재적이든 잠재적이든 어떠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

      우리 인간과 세계의 관계는 경험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험이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혹은 현재적이든 잠재적이든 어떠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따라서 칸트의 “판단력”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은, 판단을 통해 과연 우리 인간은 세계와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하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과도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배경을 갖는 본고는, 구체적으로는 칸트 철학에서의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는 규정적 판단력의 본령을 이루고 있는 곳은 인식판단이다. 하지만, 취미판단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러한 인식판단에서처럼 특수한 것을 포섭하기 위한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보편적인 것을 찾아내기 위한 반성적 판단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얼핏 보기에,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하강하는 규정적 판단력은 인식의 영역에서, 그리고 특수로부터 보편으로 상승하는 반성적 판단력은 미(예술, 숭고)의 영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해석은, 위의 두 판단력을 각자 다른 영역에 한정된 무관한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전제한 뒤,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더 이상 파고들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본고는, 칸트가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구분하는 진의가, 양자는 각각 다른 영역에서 무관하게 활동하는 판단력이라는 점을 드러내려고 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물음을 던져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규정적 판단력이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실제로 하강할 경우에는, 반성적 판단력의 활동이 불가피함을 드러냄으로써, 판단력에 대한 칸트의 통찰을 읽어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자경, "칸트 철학 체계에서 판단력의 위치" 새한철학회 (8) : 1992

      2 하선규, "의미있는 형식(구조)의 상호주관적 지평 -반성적 판단력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시론(試論) Ⅰ" 한국칸트학회 (14) : 169-204, 2004

      3 Detel, W., "Zur Funktion des Schematismuskapitels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69 : 1978

      4 Gadamer, H. G., "Wahrheit und Methode" J. C. B. Mohr 1975

      5 Dahlstrom, D. O., "Thinking, Knowing, and Schematism" 1982

      6 Aoki, S., "The Collapse and Formation of Individual Theory" Sobunsha 1983

      7 Bayne, S. M., "Recht und Frieden in der Philosophie Kants 2" De Gruyter 2008

      8 Onof, C., "Recht und Frieden in der Philosophie Kants 2" De Gruyter 2008

      9 Arendt, H., "Lectures on Kant’s political Philosoph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10 Deleuze, G., "La philosophie critique de Kant" PUF 1963

      1 한자경, "칸트 철학 체계에서 판단력의 위치" 새한철학회 (8) : 1992

      2 하선규, "의미있는 형식(구조)의 상호주관적 지평 -반성적 판단력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시론(試論) Ⅰ" 한국칸트학회 (14) : 169-204, 2004

      3 Detel, W., "Zur Funktion des Schematismuskapitels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69 : 1978

      4 Gadamer, H. G., "Wahrheit und Methode" J. C. B. Mohr 1975

      5 Dahlstrom, D. O., "Thinking, Knowing, and Schematism" 1982

      6 Aoki, S., "The Collapse and Formation of Individual Theory" Sobunsha 1983

      7 Bayne, S. M., "Recht und Frieden in der Philosophie Kants 2" De Gruyter 2008

      8 Onof, C., "Recht und Frieden in der Philosophie Kants 2" De Gruyter 2008

      9 Arendt, H., "Lectures on Kant’s political Philosoph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10 Deleuze, G., "La philosophie critique de Kant" PUF 1963

      11 Allison, H. E.,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Yale University Press 2004

      12 Paton, H. J., "Kant’s Metaphysic of Experience 2" George Allen and Unwin 1936

      13 Bennett, J., "Kant’s Analyt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6

      14 Kant, I., "Kants gesammelte Schriften ⅰ-ⅹⅹⅸ" herausgegeben von der Königlich Preuß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00

      15 Rohbeck, J., "Kants Schemata als wissenschaftliche Erkenntnismittel" 1982

      16 Butts, R. E., "Kant Studies Today" Open Court 1969

      17 Warnock, G. J., "Concepts and Schematism" 8 : 1949

      18 Smith, N. K., "A Commentary to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Macmillan 19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