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루르지역의 문학경관, 문화경관 그리고 산업문화 경관 연구 = Literatur-, Kultur- und Industrielandschaft im Ruhrgebi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37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iel dieser Studie ist es, die literarische Landschaft, Kulturlandschaft und Industriekulturlandschaft des Ruhrgebiets zu untersuchen, die die größte Rolle bei der Wiederbelebung der deutschen Industrie und der deutschen Wirtschaft spielte. Diese Re...

      Ziel dieser Studie ist es, die literarische Landschaft, Kulturlandschaft und Industriekulturlandschaft des Ruhrgebiets zu untersuchen, die die größte Rolle bei der Wiederbelebung der deutschen Industrie und der deutschen Wirtschaft spielte.
      Diese Region wurde aufgrund des Strukturwandels durch die Deindustrialisierung einst als Problemregion bezeichnet.
      Die bisherigen Forschungen zum Ruhrgebiet wurden vor allem in den Bereichen Soziologie und Stadtforschung im Zusammenhang mit der Industriekultur behandelt. Die meisten Studien konzentrierten sich auf die Erforschung sozialer und technischer Aspekte der Industriekultur in Bezug auf Fragen der Stadterneuerung, als würde nur die Industriekultur die Identität des Ruhrgebiets bestimmen.
      Zunächst kann die Bedeutung des Ruhrgebiets anhand von zwei Punkten erläutert werden. Diese Region ist die erste multikulturelle Region Deutschlands.
      Darüber hinaus stammt die „Europäische Gemeinschaft für Kohle und Stahl“, der Vorgänger der „Europäischen Union“, aus dem Ruhrgebiet.
      In über 150 Jahren fanden Industrialisierung und Postindustrialisierung, sowie der Prozess der Wiederbelebung der Industrieregion zur Kulturmetropole statt. Im Hintergrund gab es eine große spirituellen, literarische, kulturelle, soziale und politische Bewegung, die ein Meilenstein für die Entwicklung der Region sein könnte.
      Ziel dieser Studie ist es, die einzigartige Kultur der Region, des sogenannten „Ruhrpotts“ und die Literatur des Ruhrgebiets anhand des Textes von Frank Goosen zu verstehen. Und es ist zugleich ein Versuch zu verstehen, woran sich die Region als „Erinnerungsraum“ durch die Industriekultur erinnern möchte, die als Ruine hätte bleiben könn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독일 산업과 경제의 부흥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지만 탈산업화의 구조변화로 한때독일의 골칫덩어리로 전락했던 루르지역의 문학경관, 문화경관 및 산업문화경관을 고찰한다. 루...

      본고는 독일 산업과 경제의 부흥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지만 탈산업화의 구조변화로 한때독일의 골칫덩어리로 전락했던 루르지역의 문학경관, 문화경관 및 산업문화경관을 고찰한다. 루르지역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그동안 무엇보다 산업문화와 관련한 것으로서 사회학 및 주로도시재생 문제와 관련하여 산업문화의 사회적, 기술적인 부분의 연구에서 다루어졌다. 마치 산업문화가 곧 루르지역의 정체성인 것처럼 단일화되어 온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근본적인 질문 즉, 산업화 이전 이 지역에 대한 모습이 어떠했는지부터 출발한다.
      이 지역의 150여 년에 걸친 산업화 그리고 탈산업화 이후의 문제 및 산업이 문화로 거듭나는과정에는 이 지역의 사회, 문화 발전에 디딤돌이 될 수 있는 커다란 정신적, 문학적,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인 배경이 있었다. 역사 속으로 영원히 사라져 버렸을 수도 있었던 루르지역의 산업문화가 새롭게 태어나게 된 계기는 루르지역의 문학-, 문화-, 산업문화 경관의 특성에 대한이해 없이는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루르지역, 레비어 Revier(루르지역의 다른이름)에 대한 문학-, 문화- 산업문화 경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지역의 정신적인 토대가 될 수 있었던문화적, 문학적, 정치적, 사회적인 요소 나아가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이 지역 발전에 크고 적게 기여했던 지역 정체성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상세하게 고찰한다. 프랑크 고젠의 텍스트를 통하여 ‘루르폿 Ruhrpott’ 으로 대변되는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 및 언어 그리고 루르의 문학에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 지역 인간성의 특징도 살펴본다. 아울러 한낱 고철덩어리로 남을 수도있었던 루르지역의 산업문화를 통해 ‘기억의 공간’으로서 과연 이 지역이 무엇을 기억하고자 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바버, 벤자민, "지구를 살리고 사람이 행복한 도시 혁명" 21세기 북스 2014

      2 신명훈, "역사문화유산과 도시재생 -독일 루르지역 엠셔공원의 사례-" 열상고전연구회 (48) : 97-129, 2015

      3 이영남, "석탄과 제철이 남긴 문화유산: 루르지역의 산업문화 - ‘산업문화 탐방로’를 중심으로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53) : 207-227, 2019

      4 송원섭, "경관지리학에서 경치지리학(景致地理學)으로: 영미권 문화역사지리학 경관연구 패러다임의 전환" 대한지리학회 50 (50): 305-323, 2015

      5 "https://www.deutschlandfunk.de/60-jahre-immissionsschutzgesetz-100.html"

      6 "http://www.ruhrgebiet-regionalkunde.de/html/glossar/svr.php.html"

      7 Assmann, Aleida, "Von der individuellen Erfahrung zur öffentlichen Inszenierung" C.H.Beck Verlag 2014

      8 Kühne, Olaf, "Stadt - Landschaft – Hybridität" Springer VS 2012

      9 Krummacher, Michael, "Soziale Stadt-Sozialraumentwicklung-Quartiersmnagement. Herausforderung für Politik, Raumplanung und soziale Arbeit" Leske Budrich 2003

      10 "Ruhrgebiet_IMAGO_Klaus_Rose"

      1 바버, 벤자민, "지구를 살리고 사람이 행복한 도시 혁명" 21세기 북스 2014

      2 신명훈, "역사문화유산과 도시재생 -독일 루르지역 엠셔공원의 사례-" 열상고전연구회 (48) : 97-129, 2015

      3 이영남, "석탄과 제철이 남긴 문화유산: 루르지역의 산업문화 - ‘산업문화 탐방로’를 중심으로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53) : 207-227, 2019

      4 송원섭, "경관지리학에서 경치지리학(景致地理學)으로: 영미권 문화역사지리학 경관연구 패러다임의 전환" 대한지리학회 50 (50): 305-323, 2015

      5 "https://www.deutschlandfunk.de/60-jahre-immissionsschutzgesetz-100.html"

      6 "http://www.ruhrgebiet-regionalkunde.de/html/glossar/svr.php.html"

      7 Assmann, Aleida, "Von der individuellen Erfahrung zur öffentlichen Inszenierung" C.H.Beck Verlag 2014

      8 Kühne, Olaf, "Stadt - Landschaft – Hybridität" Springer VS 2012

      9 Krummacher, Michael, "Soziale Stadt-Sozialraumentwicklung-Quartiersmnagement. Herausforderung für Politik, Raumplanung und soziale Arbeit" Leske Budrich 2003

      10 "Ruhrgebiet_IMAGO_Klaus_Rose"

      11 Goosen, Frank, "Radio Heimat – Geschichten von zuhause" Heyne Verlag 2012

      12 Barber, Benjamin, "Philosophie und Politik: Soziale Gerechtigkeit, Neue Antworten in der globalisierten Ökonomie?" Klartext-Verlag 2004

      13 Bender, Hennes, "Komma lecker bei mich bei: Kleines Ruhrpott-Lexikon" Ullstein 2009

      14 Stummer, Bernd, "Industriekultur oder industrielle Kulturlandschaft? - Das Beispiel Ruhrgebiet" Grin Verlag 2007

      15 Buddensieg, Tilmann, "Industriekultur" Berlin 1979

      16 Spyri, Joanna, "Heidi: Heidis Lehr- und Wanderjahre" Franckh Kosmos Verlag 2000

      17 Bösch, Delia, "Grubengold. Mythos Ruhrgebiet" Klartext Verlag 2010

      18 Berger, Stefan, "Geschichte des deutschen Bergbaus. Rohstoffgewinnung im Strukturwandel: der deutsche Bergbau im 20" Aschendorf 2013

      19 Cosgrove, Denis Edmund, "Geography and Vision Seeing, Imagining and Representing the World" I.B.Tauris 2008

      20 Büttner, Peter Otto, "Das Ur-Heide. Eine Enthüllungsgeschichte. Mit der Erzählung: Adelaide,das Mädchen Adam von Kamp und mit Abbildungen" Insel Velag 2011

      21 Von Kamp, Hermann Adam, "Das Schloss Und Die Herrschaft Broich, Part 1 (1852)" Kessinger Publishing 2010

      22 Denevan, William Maxfield, "Carl Sauer on Culture and Landscape: Readings and Commentaries"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09

      23 정용숙, "1950년대 루르 공업 지역의 주택과 주거 문화: 노동자의 탈프롤레타리아화" 한국독일사학회 (21) : 133-169,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1 0.48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