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e of Ondal" from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is based on the life of Ondal 1,400 years ago. Ondal lived the time of continuous warfares during the reigns of King Pyeongweon (25th, 平原王?~590(r. 559~590) and King Yeongyang (26...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le of Ondal" from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is based on the life of Ondal 1,400 years ago. Ondal lived the time of continuous warfares during the reigns of King Pyeongweon (25th, 平原王?~590(r. 559~590) and King Yeongyang (26...
"Tale of Ondal" from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is based on the life of Ondal 1,400 years ago. Ondal lived the time of continuous warfares during the reigns of King Pyeongweon (25th, 平原王?~590(r. 559~590) and King Yeongyang (26th, 嬰陽王?~618(r. 590~618). A literary scholar compiled this tale to promote the patriotism with warrior spirits at the time of wars against China in the North and against Baikje and Shilla from the South. Although this tale contains the mythical contents, it is significant since it aimed to promote unified spirit of the people of Goguryeo. In addition, because of the mythical nature that is familiar with Korean people, it is still with us even after the 1,400 long years.
"Tale of Ondal" influenced to the study of Chinese as well as to the contemporary literature. Many novels and plays are published based on the story of Ondal. It is not difficult to see the plays or dramas of the Tale of Ondal these days. Many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on this subject and it is safe to say that the Tale of Ondal became a national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tale's comtemporary values. Achieving this aim, it attempts to study on the psychoanalysis of the human nature of in the tale focuses on Ondal couple's creativity, self-achievement and so on.
국문 초록 (Abstract)
『삼국사기』 「온달전」은 1400년 전에 온달을 소재로 지은 설화이다. 당시 온달이 생존해 있었던 역사적배경은 제25대 평원왕(平原王?~590 (559~590재위)과 제26대 영양왕(嬰陽王?~618(590~618 재위...
『삼국사기』 「온달전」은 1400년 전에 온달을 소재로 지은 설화이다. 당시 온달이 생존해 있었던 역사적배경은 제25대 평원왕(平原王?~590 (559~590재위)과 제26대 영양왕(嬰陽王?~618(590~618 재위) 때이라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당시 고구려는 북으로 중국 남으로는 백제와 신라와의 전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어떤 문사(文士)가 당시 온달을 소재로 상무(尙武)의 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해 지은 것이 온달전이다. 다분히 온달전은 설화적인 내용이 함유되어 있지만 고구려 국민을 이치 단결케 하기 의도에서 지어진 만큼 그 의의는 자못 크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설화적인 내용이라 우리에게 친숙한 이야기로 1400년이란 오랜 세월을 거쳐 오는 동안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구에 회자(膾炙)되어 왔다.
「온달전」은 한문학(漢文學)과 현대문학에도 영향을 받아 소설 희곡이 양산되고 있다. 요즘에는 연극이나 방송 드라마에서 온달설화를 심심찮게 극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른 논문도 발표돼 온달전은 국민문학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해도 지난 친 말이 아닐 것이다.
본고는 이에 따라 온달전을 현대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그 일한으로 이들 부부의 창조성, 자아실현 등을 통해 인간상(人間像)을 심리학적을 분석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차하순, "역사의 의미, 10" 홍성사 1981
2 박라연,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문학과지성사 1991
3 林熒澤, "삼국사기⋅열전」의 文學性" 韓國漢文學硏究會 12 : 1989
4 "문학동아 특집 199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품"
5 朴熙秉, "韓國文學에 있어 <傳>과 <小說>의 관계양상" 韓國漢文學會 12 : 1989
6 尹敬洙, "石北詩硏究" 正法文化社 1984
7 "石北文集"
8 尹敬殊, "溫達傳의 現代性 意味分析과 後世文學에의 受容樣相" 12 : 1994
9 "海東樂府"
10 金榮淑, "樂府의 溫達列傳 受容樣相" 嶺南語文學會 14 : 1987
1 차하순, "역사의 의미, 10" 홍성사 1981
2 박라연,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문학과지성사 1991
3 林熒澤, "삼국사기⋅열전」의 文學性" 韓國漢文學硏究會 12 : 1989
4 "문학동아 특집 199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품"
5 朴熙秉, "韓國文學에 있어 <傳>과 <小說>의 관계양상" 韓國漢文學會 12 : 1989
6 尹敬洙, "石北詩硏究" 正法文化社 1984
7 "石北文集"
8 尹敬殊, "溫達傳의 現代性 意味分析과 後世文學에의 受容樣相" 12 : 1994
9 "海東樂府"
10 金榮淑, "樂府의 溫達列傳 受容樣相" 嶺南語文學會 14 : 1987
11 "松岳集"
12 "崇文聯芳集"
13 성기옥, "傳의 장르론적 검토" 울산공과대학국어국문학회 1 : 1984
14 "傳의 장르론적 검토" 울산공과대학국어국문학회 1 : 1984
15 張德順, "三國說話와 現代韓國小說" 亞韓學會 1968
16 "三國史記"
17 H.White, "The Literature of Fac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6
18 R.C.Challman, "THe Adjustment of the Individual" Educational Psychology 1948
19 G.T.Mouly, "Psychology, for Effective Teaching" Holt Rinehart Winston 1967
20 Abraham.H.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and Row 1970
21 Abraham.H.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and Row 1970
22 R. Scholes, "Elements of Fi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23 A.T Jersild, "Child Psychol0gy" New York Prentice-Hail 1954
우리나라의 도덕윤리 교육의 원초적인 歷史와 현대 도덕교육의 혁신론 三聖朝시대 한국(桓國)의 仁孝의 원리와 인성교육의 원론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8 | 0.811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