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능력 본위 교육 이론에 근거한 간호학부 교과과정 개발 연구 : -중국 동인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nursing undergraduate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ory for Tongren University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352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변화하는 중국 사회의 요구에 맞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CBE(Competency Based Education) 이론에 기초하여 동인대학교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2021년 1월까지 CBE에 근거하여 국ㆍ내외 간호학부 핵심 역량, 간호학부 교과과정 등을 문헌 분석한 후 설문지 조사법(델파이법), 면담법 등의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문헌, 설문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분석과 면담 분석을 위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SPSS 22.0를 사용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얻어진 간호 핵심역량 중요도를 가중평균법(weighted average method)으로, 회수한 설문지를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만점율, 변이계수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을 요약 정리한 후 최종 요약 정리를 주제별 약호화(Coding)하고 분류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면담 자료는 중화간호지 더펠의 간호연구 활용방법(Dai, Jiang, & Sun, 2012)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개발된 간호학부 교과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 과목의 수업 학기는 1학기에 편성하며, 이론 과목의 총 수업 시간은 280∼520 시간이다. 이론 과목은 필수과목 16과목과 선택과목 12과목으로 총 28과목이다.
      필수 과목 16과목은 간호학 기초, 생리학, 병리학, 인체 해부학, 내과 간호학, 외과 간호학, 산부인과 간호학, 아동 간호학, 재활 간호학, 사상도덕수양과 법률기초, 중국 근현대사, 마오쩌둥 사상과 중국특색 사회주의 이론체계 개론,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 컴퓨터 이론과 응용, 대학생 영어,컴퓨터 이론과 응용,대학 영어,증빙의학.
      선택 과목 12과목은 의료 윤리학, 응급 간호학, 정신 간호학, 지역사회 간호학, 간호 관리학, 간호 예절, 의료 통계, 간호 교육학, 대학생 진로 계획, 대인 의사소통, 대학생 심리 건강, 공통 영어 등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인문 소양 능력을 포함하여 임상 간호 종합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변화하는 중국 사회의 요구에 맞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CBE(Competency Based Education) 이론에 기초하여 동인대학교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0...

      본 연구는 변화하는 중국 사회의 요구에 맞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CBE(Competency Based Education) 이론에 기초하여 동인대학교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2021년 1월까지 CBE에 근거하여 국ㆍ내외 간호학부 핵심 역량, 간호학부 교과과정 등을 문헌 분석한 후 설문지 조사법(델파이법), 면담법 등의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문헌, 설문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분석과 면담 분석을 위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SPSS 22.0를 사용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얻어진 간호 핵심역량 중요도를 가중평균법(weighted average method)으로, 회수한 설문지를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만점율, 변이계수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을 요약 정리한 후 최종 요약 정리를 주제별 약호화(Coding)하고 분류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면담 자료는 중화간호지 더펠의 간호연구 활용방법(Dai, Jiang, & Sun, 2012)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개발된 간호학부 교과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 과목의 수업 학기는 1학기에 편성하며, 이론 과목의 총 수업 시간은 280∼520 시간이다. 이론 과목은 필수과목 16과목과 선택과목 12과목으로 총 28과목이다.
      필수 과목 16과목은 간호학 기초, 생리학, 병리학, 인체 해부학, 내과 간호학, 외과 간호학, 산부인과 간호학, 아동 간호학, 재활 간호학, 사상도덕수양과 법률기초, 중국 근현대사, 마오쩌둥 사상과 중국특색 사회주의 이론체계 개론,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 컴퓨터 이론과 응용, 대학생 영어,컴퓨터 이론과 응용,대학 영어,증빙의학.
      선택 과목 12과목은 의료 윤리학, 응급 간호학, 정신 간호학, 지역사회 간호학, 간호 관리학, 간호 예절, 의료 통계, 간호 교육학, 대학생 진로 계획, 대인 의사소통, 대학생 심리 건강, 공통 영어 등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인문 소양 능력을 포함하여 임상 간호 종합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간호학부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Ⅱ. 문헌고찰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Ⅱ. 문헌고찰 5
      • 1. 간호학과 학부 교육과정 5
      • 2. 간호학과 학부 수업의 구성 원리 10
      • 3. 교과과정 개발 이론 (능력 본위 교육이론) 11
      • 4. 간호학부 교과과정 개발 12
      • Ⅲ. 연구방법 15
      • 1. 연구설계 15
      • 2. 연구문제 15
      • 3. 용어의 정의 15
      • 4. 연구대상 19
      • 5. 연구도구 20
      • 6. 연구절차 23
      • 7. 자료 분석 방법 26
      • Ⅳ. 연구결과 27
      • 1. 연구결과 27
      • 1) 1차 설문지 조사 결과 27
      • 2). 2차 설문지 조사 결과 32
      • 3) 1차 면담 (개인 면담)결과 39
      • 4) 2차 면담 (포커스 그룹)결과 41
      • 5) 간호학부 교과과정 개발 42
      • V. 논의 45
      • Ⅵ. 결론 및 제언 48
      • 참고문헌 50
      • 부록.............................................................................................57
      • Abstract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