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청소년 문화활동이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Youth Cultural Activities correlated to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1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문화활동이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학교폭력 예방대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서는 2012년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3차 자료 중 총 2,092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피해학생의 성별과 스포츠활동 시간이었다. 그리고 남학생의 경우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의 가능성은 여학생 보다 높았다. 또한, 스포츠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학교폭력의 피해 확률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폭력 중복 피해경험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은 성별, 스포츠활동 시간, 종교여부, 교외 동아리활동이었다. 여기에서도 남학생은 중복 피해의 확률이 더 높았고, 스포츠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중복 피해의 확률은 낮게 나타났다. 그런데 피해를 받은 학생들 가운데에서 종교와 교외 동아리 활동의 경우 중복적으로 피해를 받을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문화활동이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학교폭력 예방대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서는 2012년 한국아동...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문화활동이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학교폭력 예방대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서는 2012년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3차 자료 중 총 2,092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피해학생의 성별과 스포츠활동 시간이었다. 그리고 남학생의 경우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의 가능성은 여학생 보다 높았다. 또한, 스포츠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학교폭력의 피해 확률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폭력 중복 피해경험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은 성별, 스포츠활동 시간, 종교여부, 교외 동아리활동이었다. 여기에서도 남학생은 중복 피해의 확률이 더 높았고, 스포츠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중복 피해의 확률은 낮게 나타났다. 그런데 피해를 받은 학생들 가운데에서 종교와 교외 동아리 활동의 경우 중복적으로 피해를 받을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influence and correlations between juvenile cultural activities and their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lso the study is to seek a new approach for the preventive measures of school violence.
      The outcome of analysis is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t factors are teenagers' gender and sports activities.
      Boys have more possibilities on experiencing youth violence than those of girls, and the more sports activities given for the students, the less probability of being victims of the violence.
      Additionally, the statistical significant factor on the poly-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is gender, time given for the sporting activities, and weather they have religious or club activities. For this analysis as well, boys have higher possibility of being repeat victims than girls, and when they have more sports activities, they have less possibility for being victims. However the poly-victimization with their religious and club activities has more possibility of becoming victims of school viol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influence and correlations between juvenile cultural activities and their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lso the study is to seek a new approach for the preventive measures of school violence. The outcom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influence and correlations between juvenile cultural activities and their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lso the study is to seek a new approach for the preventive measures of school violence.
      The outcome of analysis is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t factors are teenagers' gender and sports activities.
      Boys have more possibilities on experiencing youth violence than those of girls, and the more sports activities given for the students, the less probability of being victims of the violence.
      Additionally, the statistical significant factor on the poly-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is gender, time given for the sporting activities, and weather they have religious or club activities. For this analysis as well, boys have higher possibility of being repeat victims than girls, and when they have more sports activities, they have less possibility for being victims. However the poly-victimization with their religious and club activities has more possibility of becoming victims of school viol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청소년 문화활동과 학교폭력
      • Ⅲ. 연구방법 및 분석결과
      • Ⅳ. 결론 및 시사점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청소년 문화활동과 학교폭력
      • Ⅲ. 연구방법 및 분석결과
      • Ⅳ.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현장 중심 학교폭력 대책" 2013

      2 이광호, "한국사회에서의 청소년활동 의미와 제도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5 (5): 49-61, 2007

      3 강소영, "학교폭력에 대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접근: 폭력적 교실문화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5-28, 2012

      4 경찰청, "학교폭력 실태조사, In 내부자료" 2012

      5 연합뉴스, "학교폭력 가해학생 3년간 두배로…초등생 '급증'"

      6 김선미, "학교 스포츠클럽 운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이광호, "학교 밖 일상 체험활동의 청소년 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2 (12): 371-394, 2005

      8 권일남, "청소년활동지도론" 학지사 2008

      9 문성호, "청소년활동의 참여실태, 만족도 및 영역별 효과성"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95-122, 2010

      10 도종수, "청소년활동 경험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145-173, 2013

      1 교육부, "현장 중심 학교폭력 대책" 2013

      2 이광호, "한국사회에서의 청소년활동 의미와 제도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5 (5): 49-61, 2007

      3 강소영, "학교폭력에 대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접근: 폭력적 교실문화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5-28, 2012

      4 경찰청, "학교폭력 실태조사, In 내부자료" 2012

      5 연합뉴스, "학교폭력 가해학생 3년간 두배로…초등생 '급증'"

      6 김선미, "학교 스포츠클럽 운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이광호, "학교 밖 일상 체험활동의 청소년 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2 (12): 371-394, 2005

      8 권일남, "청소년활동지도론" 학지사 2008

      9 문성호, "청소년활동의 참여실태, 만족도 및 영역별 효과성"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95-122, 2010

      10 도종수, "청소년활동 경험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145-173, 2013

      11 김원희, "청소년의 활동체험이 생활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12 김미혜, "청소년의 참여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종교단체 참여를 중심으로"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2

      13 전재일,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14 (14): 163-187, 2008

      14 설민희, "청소년의 문화 활동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1) : 140-172, 2009

      15 최형임,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23-45, 2012

      16 김준호, "청소년비행론" 청목출판사 2009

      17 박선영, "청소년 주말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47-366, 2013

      18 윤은종, "청소년 수련활동의 효과분석 : 활동 만족도와 인식된 자기변화에 초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19 김예선, "청소년 동아리 활동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6

      20 김정주,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동아리활동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3

      21 한정규,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63-75, 2013

      22 김소희, "수련활동 체험이 청소년의 생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23 이충섭, "방과후 자율체육활동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38 (38): 260-271, 1999

      24 이영오, "방과 후 체육활동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9 (9): 93-105, 2011

      25 허철수, "동아리활동 참여 청소년과 미참여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비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25-46, 2010

      26 문윤수, "광고환경에 따른 청소년 소비행위 연구 - 광고노출정도에 따른 소비유형을 중심으로" 3-23, 2005

      27 이웅혁, "경찰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유형에 따른 인식조사"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219-246, 2013

      28 강소영, "가정폭력노출경험이 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방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5-30, 2012

      29 연합뉴스, "學暴 가해학생 부모, 특별교육 안 받으면 과태료"

      30 "www.nationalpal.org"

      31 강원일보 오피니언, "[법정에서 만난 세상] 학교 폭력의 주범 `스트레스'"

      32 Hansen, D. M., "What adolescents learn in organized youth activities: A survey of self-reported developmental experiences" 13 (13): 25-55, 2003

      33 Burns, S., "The power of peers: Why some students bully others to conform" 18 (18): 1704-1716, 2008

      34 Oser, C. B., "The criminal offending and self-esteem nexus: Which version of the self-esteem theory is supported?" 86 : 344-363, 2006

      35 Ford, Phyllis M., "Principles and Pracrices of Outdoor, Environmental Education" john Wiley & Sons. 1986

      36 Richard Gunder., "Kooperation zwischen Schule und Polizei bei Schulgewalt in Deutschland" 2013

      37 Lasa Broidy, "Gender and Crime: A general Strain Theory perspective" 34 : 275-306, 1997

      38 Larson, R., "Differing profiles of developmental experiences across types of organized youth activities" 42 (42): 849-863, 2006

      39 Gullone, E., "Coping styles and prison experience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male prisoners. Psychiatry" 7 : 170-181, 2000

      40 Rosenberg, M.,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1979

      41 Bansel, P., "Bullies, bullying and power in the contexts of schooling" 30 (30): 59-69, 2009

      42 Gottfredson, M, R., "A Gent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5 1.468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