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정책의 한계와 의미: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University-led Afterschool policy: Focusing on the case of University ‘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government-driven university-led afterschool policy was applied to the school field and what limitations it had, and to explore the practical meaning of policy promotion. For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resear...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government-driven university-led afterschool policy was applied to the school field and what limitations it had, and to explore the practical meaning of policy promotion. For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fficials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after-school lecturers, teachers, and after-school social enterpri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gic of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of competitive bidding at the lowest price was applied to university-led afterschool schools, and the original purpose and purpose of the policy were distorted.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university-led afterschool project,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financial support and support organizations for after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interest in education. Second, afterschool should go to cooperative governance with schools, universities, local communities, and offices of education, rather than a bidding method.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for the university and the school to coexist, rather than the method in which the university directly operates the afterschool. Last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afterschool system that activates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and to supplement the necessary legal systems. This study can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university-led afterschool project to start again and g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이명박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추진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업이 어떻게 현장에 적용되었고 어떠한 한계점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정책추진에 주는 실천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

      이 연구는 이명박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추진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업이 어떻게 현장에 적용되었고 어떠한 한계점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정책추진에 주는 실천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청 관계자와 강사, 방과후학교 담당 부장교사,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관계자를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은 대학이 보유한 인적 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질 개선과 대학과 학교의 상생발전의 기회 갖도록 하고자 추진되었지만 최저가 경쟁 입찰이라는 사교육 시장의 논리가 적용되면서 사업의 본래 취지와 목적이 왜곡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프로그램과 강사의 질이 낮아지고 방과후학교의 목적과 가치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보다는 학교와 업체라는 두 당사자 간의 거래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업이 재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교육의 공공성과 공익적 관점에서 방과후학교에 대한 재정지원 및 방과후학교 후원을 활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방과후학교가 위탁 입찰방식이 아닌 학교-대학-지역사회-교육청이 함께하는 협력거버넌스로 가야한다 셋쨰, 방과후학교에서의 대학의 참여는 방과후학교 운영 방식이 아닌 대학과 학교가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방과후학교의 발전을 위한 대학의 참여를 활성화 하는 방과후학교 체제를 마련하고 필요한 법적 제도적 보완을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정흔, "학교와 자치구가 협력하는 마을방과후학교 운영방안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17

      2 Decker, L. A., "학교와 사회" 교육과학사 2016

      3 주동범 ; 이현철 ; 이원석 ; 김광석, "초등학교 학부모의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분석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학부모학회 8 (8): 1-19, 2021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21

      5 김종서, "지역사회학교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60-61, 1990

      6 강신천, "지역사회와의 협력에 기반한 방과후학교 운영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7 장봉석, "중등 방과후학교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25-49, 2018

      8 교육인적자원부, "제7차 교육과정과 학교교육의 발전 전망" 2001

      9 김선영 ; 백지원, "방과후학교의 교육적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교육연구소 26 (26): 59-78, 2020

      10 전하람,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교육기회 확대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51 (51): 47-68, 2020

      1 주정흔, "학교와 자치구가 협력하는 마을방과후학교 운영방안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17

      2 Decker, L. A., "학교와 사회" 교육과학사 2016

      3 주동범 ; 이현철 ; 이원석 ; 김광석, "초등학교 학부모의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분석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학부모학회 8 (8): 1-19, 2021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21

      5 김종서, "지역사회학교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60-61, 1990

      6 강신천, "지역사회와의 협력에 기반한 방과후학교 운영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7 장봉석, "중등 방과후학교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25-49, 2018

      8 교육인적자원부, "제7차 교육과정과 학교교육의 발전 전망" 2001

      9 김선영 ; 백지원, "방과후학교의 교육적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교육연구소 26 (26): 59-78, 2020

      10 전하람,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교육기회 확대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51 (51): 47-68, 2020

      11 이희현, "방과후학교 참여율 변화 추이 및 원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21

      12 신기왕, "방과후학교 운영 모형 연구" 5 (5): 1-16, 2018

      13 임선일, "방과후학교 및 돌봄교실 운영 모델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14 김수동, "민간참여 방과후학교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1 (1): 85-106, 2014

      15 김수동, "민간참여 방과후학교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16 김태근,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연구" 3 (3): 1-20, 2014

      17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1· 2차 사업운영 기관·교육청·지자체 공동 워크숍 자료집"

      18 양애경 ; 정현용, "국외 선진 방과 후 활동의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연구" 한국방과후학교학회 8 (8): 1-36, 2021

      19 홍유정 ; 이신혜 ; 박현정, "고등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취수준별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1 (21): 463-488, 2020

      20 김민호, "‘지역사회 기반 「방과후 활동」운영 및 지원체제‘ 방과후학교 발전 방안 공개 토론회 자료집"

      21 Young, B., "Vision, leadership, and determination" National Institute on Out-of-School Time 2004

      22 Jeremiah Dyehouse and Krysten Manke, "The Philosopher as Parent : John Dewey’s Observations of His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His Thinking about Communication" 33 (33): 3-22, 2017

      23 Boyer, E., "MAKING THE DIFFERENCE: Research and Practice in Community Schools" Coalition for Community Schools. Institute for Educational Leadership 2019

      24 Blank, M., "Financing Community Schools: Leveraging Resources to Support Student Success"

      25 OECD, "Educational policy analysis 2001" OECD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2001

      26 Knupfer, A. M., "Dewey's Laboratory School(Book Review)" 30 (30): 60-64, 1997

      27 Grogan, P., "Comeback Cities: A Blueprint for Urban Neighborhood Revival" Westview Press 2000

      28 Friend, M., "Collaboration as a predictor for success in school reform" 1 : 69-86, 1990

      29 Sanders, M. G., "Building school-community partnerships: Collaboration for student success" Corwin Press 2006

      30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Inc 1998

      31 Noam, G., "Afterschool Time: Toward a Theory of Collaborations" After-School Time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10-11, 2001

      32 Halpern, R., "After-School programs for low-income children: Promise and challenges" 9 (9): 81-95, 1999

      33 Roussos, S. T., "A review of collaborative partnerships as a strategy for improving community health" 21 : 369-402,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