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최종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 1. 직면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62816
2013
Korean
Health care professionals ; Job stress ; Coping ; 의료인 ; 직무스트레스 ; 대처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1-139(9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최종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 1. 직면해 ...
본 연구는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최종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 1. 직면해 있는 과중한 환경, 범주 2. 변할 것 같지 않은 현실, 범주 3. 자타에 의한 부담감, 범주 4. 극복을 위한 노력, 범주 5. 보다 나은 업무 환경을 위한 바람이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은 의료인을 위한 직무스트레스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이다. 또한 기존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한 현상학적 연구로써 차후 질적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urpose to understand job stress experienced by nurses and doctors and explain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ir job stress-coping. In-depth interviews of 14 participant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
This study purpose to understand job stress experienced by nurses and doctors and explain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ir job stress-coping. In-depth interviews of 14 participant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Colaizzi (1978) method. The job stress experienced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1) Confronting Burdensome Atmonsphere, 2) Being Likely to Remain Unchanged Reality, 3) Pressure from Both Oneself and Others 4) Efforts for Overcome 5) Wish for Better Work Environmen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for laying the foundation required to develop a job stress intervention model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by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structure of job stress-coping experienced by nurses and doctor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ir job stress-coping experience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순, "전공의와 간호사의료기사간의 인간관계 갈등과 의사소통에 관한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16-31, 2006
2 이원희,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및 분노간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36 (36): 925-932, 2006
3 한금선,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스트레스학회 20 (20): 209-220, 2012
4 고유경, "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역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대한스트레스학회 17 (17): 227-236, 2009
5 박광옥, "병원 최고간호관리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42 (42): 9-18, 2012
6 김창희, "간호사의 이직의도 구조모형" 간호행정학회 15 (15): 550-562, 2009
7 강미정,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한스트레스학회 18 (18): 1-10, 2010
8 Willmot M, "The new ward manager: an evaluation of the changing role of the charge nurse" 28 : 419-427, 1998
9 Kim MJ,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14 : 28-37, 1984
10 Edell-Gustafasson UM,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16 : 179-187, 2002
1 김용순, "전공의와 간호사의료기사간의 인간관계 갈등과 의사소통에 관한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16-31, 2006
2 이원희,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및 분노간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36 (36): 925-932, 2006
3 한금선, "의료인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스트레스학회 20 (20): 209-220, 2012
4 고유경, "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역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대한스트레스학회 17 (17): 227-236, 2009
5 박광옥, "병원 최고간호관리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42 (42): 9-18, 2012
6 김창희, "간호사의 이직의도 구조모형" 간호행정학회 15 (15): 550-562, 2009
7 강미정,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한스트레스학회 18 (18): 1-10, 2010
8 Willmot M, "The new ward manager: an evaluation of the changing role of the charge nurse" 28 : 419-427, 1998
9 Kim MJ,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14 : 28-37, 1984
10 Edell-Gustafasson UM,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16 : 179-187, 2002
11 Seward JP, "Occupational Stress" Simon & Schuster Co 1997
12 Hendel T, "Leadership style and choice of strategy in conflict management among Israel nurse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13 : 137-146, 2005
13 Harrisson M, "Hardiness, work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nursing assistants and registered nurses in Quebec" 38 : 584-591, 2002
14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Guideline for Measuring Job Stressors" 2006
15 Bae JY,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nurses" 19 : 259-271, 1989
16 Park YS,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of nurs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8
17 Kim YO,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burnout in hospital nurses" 14 : 591-604, 2002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긍정 심리치료가 발달 장애 아동 어머니의 우울, 부모 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분노 조절 프로그램이 사회복귀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분노, 대인관계기술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3-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 stress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6-06-3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 |
2006-06-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6 | 1.76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1 | 1.44 | 2.211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