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눌의 선사상에 끼친 영명 연수의 영향 = The Effect of Yǒngmíngyánshòu(永明延壽) on Jinul(知訥)’s Though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review of Yǒngmíngyánshòu(永明延壽)’s effect on Bojojinul(普照知訥)’s Seon thought. Jinul’s Seon thought had been formed by the effect of Cáoxīhuìnéng(曹溪慧能), Guīfēngzōngmì(圭峰宗密), Lǐtōngxuán(李通玄), Dàhuìzōnggǎo(大慧宗杲) and Yǒngmíngyánshòu. Some parts of Jinul’s thought, the consensus with Sŏn and Kyo(禪敎一致) and the consensus with Sŏn and Pure Land Buddhism(禪淨一致), was much effected by Yǒngmíngyánshòu. But there is not much researches on the parts. So there is a need to research on the field.
      I treated three problems considerably in this paper.
      First, I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Yǒngmíngyánshòu’s thought and his effect on the world of Koryeo Buddhism.
      Second, I examined concretely the quotation parts from the writings, 『Jonggyeongnok(宗鏡錄)』, 『Yusimgyeol(唯心訣)』 and 『Manseondongguijip(萬善同歸集)』, etc. by Yǒngmíngyánshòu.
      Third, I inquired into Yǒngmíngyánshòu’s effect on Bojojinul’s Seon thought from above two works.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that I contributed to deter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jo’s Seon from the review of Yǒngmíngyánshòu’s concrete effect on the forming process of Bojojinul’s Seon thought.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review of Yǒngmíngyánshòu(永明延壽)’s effect on Bojojinul(普照知訥)’s Seon thought. Jinul’s Seon thought had been formed by the effect of Cáoxīhuìnéng(曹溪慧能), Guīfēngzōngmì(圭峰宗密), Lǐtōngxuán(...

      This paper is a review of Yǒngmíngyánshòu(永明延壽)’s effect on Bojojinul(普照知訥)’s Seon thought. Jinul’s Seon thought had been formed by the effect of Cáoxīhuìnéng(曹溪慧能), Guīfēngzōngmì(圭峰宗密), Lǐtōngxuán(李通玄), Dàhuìzōnggǎo(大慧宗杲) and Yǒngmíngyánshòu. Some parts of Jinul’s thought, the consensus with Sŏn and Kyo(禪敎一致) and the consensus with Sŏn and Pure Land Buddhism(禪淨一致), was much effected by Yǒngmíngyánshòu. But there is not much researches on the parts. So there is a need to research on the field.
      I treated three problems considerably in this paper.
      First, I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Yǒngmíngyánshòu’s thought and his effect on the world of Koryeo Buddhism.
      Second, I examined concretely the quotation parts from the writings, 『Jonggyeongnok(宗鏡錄)』, 『Yusimgyeol(唯心訣)』 and 『Manseondongguijip(萬善同歸集)』, etc. by Yǒngmíngyánshòu.
      Third, I inquired into Yǒngmíngyánshòu’s effect on Bojojinul’s Seon thought from above two works.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that I contributed to deter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jo’s Seon from the review of Yǒngmíngyánshòu’s concrete effect on the forming process of Bojojinul’s Seon though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보조 지눌의 선사상에 끼친 영명 연수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지눌의 선사상은 조계 혜능(曹溪慧能)과 규봉 종밀(圭峰宗密) 그리고 이통현(李通玄)과 대혜 종고(大慧宗杲) 등과 더불어 영명 연수(永明延壽)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지눌의 선사상 속에 나타나는 선교일치(禪敎一致), 선정일치(禪淨一致)의 부분은 연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물은 그리 많지 않아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영명 연수의 사상적 특징과 고려불교계에 끼친 영향을 다루었다. 둘째, 『보조전서(普照全書)』에 나타난 영명 연수의 『종경록(宗鏡錄)』과 『유심결(唯心訣)』 및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 등에서 인용한 부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위의 두 작업을 통하여 지눌의 선사상에 끼친 영명 연수의 영향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본 연구는 지눌의 선사상 형성 과정에 미친 연수의 구체적인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보조선(普照禪)의 구조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일조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보조 지눌의 선사상에 끼친 영명 연수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지눌의 선사상은 조계 혜능(曹溪慧能)과 규봉 종밀(圭峰宗密) 그리고 이통현(李通玄)과 대혜 종고(大慧宗杲...

      본고는 보조 지눌의 선사상에 끼친 영명 연수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지눌의 선사상은 조계 혜능(曹溪慧能)과 규봉 종밀(圭峰宗密) 그리고 이통현(李通玄)과 대혜 종고(大慧宗杲) 등과 더불어 영명 연수(永明延壽)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지눌의 선사상 속에 나타나는 선교일치(禪敎一致), 선정일치(禪淨一致)의 부분은 연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물은 그리 많지 않아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영명 연수의 사상적 특징과 고려불교계에 끼친 영향을 다루었다. 둘째, 『보조전서(普照全書)』에 나타난 영명 연수의 『종경록(宗鏡錄)』과 『유심결(唯心訣)』 및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 등에서 인용한 부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위의 두 작업을 통하여 지눌의 선사상에 끼친 영명 연수의 영향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본 연구는 지눌의 선사상 형성 과정에 미친 연수의 구체적인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보조선(普照禪)의 구조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일조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시작하며
      • Ⅱ. 영명연수의 저서와 사상
      • Ⅲ. 『보조전서』에 나타난 영명연수의 인용 현황
      • Ⅳ. 지눌의 선사상에 끼친 영명연수의 영향
      • 국문초록
      • Ⅰ. 시작하며
      • Ⅱ. 영명연수의 저서와 사상
      • Ⅲ. 『보조전서』에 나타난 영명연수의 인용 현황
      • Ⅳ. 지눌의 선사상에 끼친 영명연수의 영향
      • Ⅴ. 마치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延壽, "종경록 1-4, 한글대장경" 동국역경원 1995

      2 정약용,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비 2014

      3 박인석, "영명연수(永明延壽) 사상에서 화엄(華嚴)과선(禪)의 위상 - 『종경록』 100권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76) : 139-160, 2016

      4 채상식, "수선사의 『宗鏡撮要』 간행과 사상적 의의"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0) : 69-98, 2014

      5 김종두, "법안종(法眼宗)의 영명연수(永明延壽)에 관한 고찰 ―천태, 법화사상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선학회 (40) : 103-133, 2015

      6 永明延壽, "만선동귀집" 불광출판사 1992

      7 김방룡, "고려시기 중국 절강지역과의 불교교류와 고려불교사상사에 미친 영향" 한국동서철학회 (78) : 355-374, 2015

      8 延壽, "萬善同歸集 卷上, 大正藏 卷48"

      9 知訥,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普照全書" 불일출판사 1989

      10 조영록, "法眼宗의 등장과 그 海洋佛敎的 전개 -10세기 중국 東南沿海의 한중 불교교류-" 이화사학연구소 (30) : 737-758, 2003

      1 延壽, "종경록 1-4, 한글대장경" 동국역경원 1995

      2 정약용,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비 2014

      3 박인석, "영명연수(永明延壽) 사상에서 화엄(華嚴)과선(禪)의 위상 - 『종경록』 100권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76) : 139-160, 2016

      4 채상식, "수선사의 『宗鏡撮要』 간행과 사상적 의의"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0) : 69-98, 2014

      5 김종두, "법안종(法眼宗)의 영명연수(永明延壽)에 관한 고찰 ―천태, 법화사상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선학회 (40) : 103-133, 2015

      6 永明延壽, "만선동귀집" 불광출판사 1992

      7 김방룡, "고려시기 중국 절강지역과의 불교교류와 고려불교사상사에 미친 영향" 한국동서철학회 (78) : 355-374, 2015

      8 延壽, "萬善同歸集 卷上, 大正藏 卷48"

      9 知訥,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普照全書" 불일출판사 1989

      10 조영록, "法眼宗의 등장과 그 海洋佛敎的 전개 -10세기 중국 東南沿海의 한중 불교교류-" 이화사학연구소 (30) : 737-758, 2003

      11 延壽, "永明智覺禪師唯心訣, 大正藏48"

      12 日置孝彦, "永明延寿の禅と念仏: 万善同帰集を中心として" 日本印度学仏教学会 23 (23): 1975

      13 福島光哉, "永明延寿の浄土思想" 大谷大学佛教学会 50 : 1989

      14 柳幹康, "永明延寿と禅浄一致: 蓮宗祖師としての延寿像の形成と変遷" 55 : 2013

      15 李奇模, "永明延壽의 禪淨兼修硏究" 원광대학교 1999

      16 박인석, "永明延壽의 無心論과 후대 영향" 한국선학회 (45) : 109-141, 2016

      17 柳幹康, "永明延壽的頓悟頓修:唐代禪宗修證論的繼承和轉化" 한국선학회 (45) : 43-82, 2016

      18 孫勁松, "永明延壽的佛性說" 한국선학회 (45) : 5-17, 2016

      19 宗曉, "樂邦文類 卷3, 大正藏 卷47"

      20 정영식, "普照知訥과 眞覺慧諶에 미친 중국선의 영향"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8) : 263-285, 2006

      21 魏道儒, "性徹与延壽禪學思想之异同" 한국선학회 (45) : 83-94, 2016

      22 延壽, "宗鏡錄 卷45, 大正藏 卷48"

      23 知訥, "勸修定慧結社文, 普照全書" 불일출판사 1989

      24 知訥, "修心訣, 普照全書" 불일출판사 1989

      25 志磐, "佛祖統紀, 大正藏 卷49"

      26 智昭, "人天眼目, 大正藏48"

      27 賴永海, "中國佛敎通史 卷7" 江蘇人民出版社 2010

      28 김동숙, "『종경록』집성의 시대적 배경과 그 사상적 가치" 철학사상연구소 (55) : 61-83,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OJOSASANG, Journal of Bojo Thought -> 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53 1.60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