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의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426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rosociality and self-esteem.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built.
      Hypothesis Ⅰ :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prosociality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Ⅱ :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Ⅱ-1.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general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Ⅱ-2.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social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Ⅱ-3.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family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Ⅱ-4.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academic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To test above hypotheses of this study, I firstly selected children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and parental consent with teachers' recommendation among 330 six-grade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fter I explained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For the study object, I selected 16 children who had similar test results after their pretest, and each 8 students were arrang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upposed to hav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2 times a week, and each time was fixed for 50 minutes totally making up 10 times per 5 weeks, while control group had no conditions.
      The test design of this study adopted the pretest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pposed to hav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including the prosociality pretest and posttest or self-esteem test to def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his stud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was based on ‘school counseling program for the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 written by Jin-ryung Kang(2004), and each session was suitably reorganized in terms of regional peculiarity of the school 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referring to ‘school life adjustment program’ written by Sung-woo Kim(2001) and ‘school counselling for school adjustment’ published by elementary counselor research association.
      This study used the 'prosociality measurement scale' made by Seung-hee Huh(2006) as the prosociality questionnaire, and as the self-esteem questionnaire I used the 'children self-esteem inventory' made by Coopersmith(1967), which was later adapted by Chan-gu Hwang(1988) and revised by Kyung-hye Yu(2002) to tes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I compared the pre-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t-test,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hich compares the total figure of post-inspe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tting pre-inspection as its covariant.
      After this program was finished, I attached the opinions of children, guider and their teacher to the appendix to make up for the statistical result.
      The result under this study com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progressiv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on the six-grade students' prosocialit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seemed to have a progressive effect on the six-grade students' prosociality, because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sociality(F=81.54, p<.001) after comparing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with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Second, this study showed progressiv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on the six-grade students' self-esteem.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seemed to have a progressive effect on the six-grade students' self-esteem, because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self-esteem(F=16.41, p<.01), social self-esteem(F=12.61, p<.01), and academic self-esteem(F=5.99, p<.05) after comparing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with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s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sociality or self-esteem.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have a constant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the group counselling for children's prosociality or self-este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rosociality and self-esteem.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built. Hypothesis Ⅰ : I assumed that it would 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rosociality and self-esteem.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built.
      Hypothesis Ⅰ :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prosociality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Ⅱ :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Ⅱ-1.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general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Ⅱ-2.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social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Ⅱ-3.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family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Ⅱ-4. I assumed that it would show stronger academic self-esteem in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rather than i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To test above hypotheses of this study, I firstly selected children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and parental consent with teachers' recommendation among 330 six-grade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fter I explained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For the study object, I selected 16 children who had similar test results after their pretest, and each 8 students were arrang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upposed to hav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2 times a week, and each time was fixed for 50 minutes totally making up 10 times per 5 weeks, while control group had no conditions.
      The test design of this study adopted the pretest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pposed to hav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including the prosociality pretest and posttest or self-esteem test to def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his stud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was based on ‘school counseling program for the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 written by Jin-ryung Kang(2004), and each session was suitably reorganized in terms of regional peculiarity of the school 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referring to ‘school life adjustment program’ written by Sung-woo Kim(2001) and ‘school counselling for school adjustment’ published by elementary counselor research association.
      This study used the 'prosociality measurement scale' made by Seung-hee Huh(2006) as the prosociality questionnaire, and as the self-esteem questionnaire I used the 'children self-esteem inventory' made by Coopersmith(1967), which was later adapted by Chan-gu Hwang(1988) and revised by Kyung-hye Yu(2002) to tes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I compared the pre-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t-test,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hich compares the total figure of post-inspe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tting pre-inspection as its covariant.
      After this program was finished, I attached the opinions of children, guider and their teacher to the appendix to make up for the statistical result.
      The result under this study com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progressiv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on the six-grade students' prosocialit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seemed to have a progressive effect on the six-grade students' prosociality, because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sociality(F=81.54, p<.001) after comparing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with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Second, this study showed progressiv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on the six-grade students' self-esteem.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seemed to have a progressive effect on the six-grade students' self-esteem, because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self-esteem(F=16.41, p<.01), social self-esteem(F=12.61, p<.01), and academic self-esteem(F=5.99, p<.05) after comparing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with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s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sociality or self-esteem.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have a constant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the group counselling for children's prosociality or self-este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친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아동의 친사회성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가설 Ⅱ :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Ⅱ-1.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동의 일반적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Ⅱ-2.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Ⅱ-3.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Ⅱ-4.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D초등학교 6학년 아동 330명 중에서 각 담임 교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성격을 설명한 후 담임 교사의 추천을 받은 아동 중 개인 면담과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1차 선발하였다. 이들에게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 결과가 비슷한 아동 1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10회기에 걸쳐 1주일에 2회기씩 매회 50분간 실시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총 5주가 소요되었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로, 실험집단에는 친사회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 친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친사회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강진령(2004)의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학교 상담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하고 김성우(2001)의 ‘학교 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초등학교 상담연구회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학교 상담’을 참고하여 연구자 학교 지역 특성과 아동 특성을 고려하여 현장에 맞게 회기별로 재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친사회성 검사지로는 허승희(2006)가 제작한 친사회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 검사지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지(Children Self-esteem Inventory)를 황찬구(1988)가 번안, 유경혜(2002)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점수를 t-검증으로 비교 하였으며 사전검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전수를 비교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통계적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종료 후 아동의 소감문, 지도자와 담임 교사의 의견을 부록에 첨부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친사회성 향상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공변량분석 결과 친사회성(F=81.54, p<.001)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친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친사회성 향상 집단 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공변량분석 결과 일반적 자아존중감(F=16.41, p<.01), 사회적 자아존중감(F=12.61, p<.01), 학업적 자아존중감(F=5.99,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친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친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중요성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친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

      본 연구는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친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아동의 친사회성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가설 Ⅱ :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Ⅱ-1.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동의 일반적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Ⅱ-2.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Ⅱ-3.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Ⅱ-4.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의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향상될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D초등학교 6학년 아동 330명 중에서 각 담임 교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성격을 설명한 후 담임 교사의 추천을 받은 아동 중 개인 면담과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1차 선발하였다. 이들에게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 결과가 비슷한 아동 1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10회기에 걸쳐 1주일에 2회기씩 매회 50분간 실시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총 5주가 소요되었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로, 실험집단에는 친사회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 친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친사회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강진령(2004)의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학교 상담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하고 김성우(2001)의 ‘학교 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초등학교 상담연구회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학교 상담’을 참고하여 연구자 학교 지역 특성과 아동 특성을 고려하여 현장에 맞게 회기별로 재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친사회성 검사지로는 허승희(2006)가 제작한 친사회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 검사지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지(Children Self-esteem Inventory)를 황찬구(1988)가 번안, 유경혜(2002)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점수를 t-검증으로 비교 하였으며 사전검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전수를 비교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통계적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종료 후 아동의 소감문, 지도자와 담임 교사의 의견을 부록에 첨부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친사회성 향상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공변량분석 결과 친사회성(F=81.54, p<.001)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친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친사회성 향상 집단 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공변량분석 결과 일반적 자아존중감(F=16.41, p<.01), 사회적 자아존중감(F=12.61, p<.01), 학업적 자아존중감(F=5.99,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친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친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중요성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가설 = 5
      • 3. 용어의 정의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가설 = 5
      • 3. 용어의 정의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1. 친사회성 = 7
      • 2. 자아존중감 = 13
      • 3. 친사회성과 자아존중감 = 18
      • 4. 선행 연구의 고찰 = 19
      • Ⅲ. 연구 방법 = 23
      • 1. 연구 대상 = 23
      • 2. 실험 설계 = 25
      • 3. 측정 도구 = 25
      • 4.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 27
      • 5. 실험절차 = 33
      • 6. 자료처리 = 33
      • Ⅳ. 결과 해석 및 논의 = 35
      • 1. 통계적 분석 결과 = 35
      • 2. 논의 = 43
      • Ⅴ. 결론 및 제언 = 46
      • 1. 요약 = 46
      • 2. 결론 및 제언 = 48
      • 참고문헌 = 50
      • Abstract = 55
      • 부록 =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