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예술철학과 회화정신에 관한 연구 안 용 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예술은 보편성을 토대로 한 아름다움의 실현이다. 예술의 보편성은 인간본성에 있다고 볼 때, 그 가치는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공자 예술철학과 회화정신에 관한 연구 안 용 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예술은 보편성을 토대로 한 아름다움의 실현이다. 예술의 보편성은 인간본성에 있다고 볼 때, 그 가치는 인...
공자 예술철학과 회화정신에 관한 연구
안 용 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예술은 보편성을 토대로 한 아름다움의 실현이다. 예술의 보편성은 인간본성에 있다고 볼 때, 그 가치는 인간본성의 실현에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보는 것은 본성과 천명을 같은 것으로 보는 공자의 세계관에 기초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의 예술은 경우에 따라 물질적, 혹은 상업적 가치 중심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이것은 서구의 예술의식과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비롯된 현상으로 현 시대는 작가의 예술품은 물론, 예술관까지도 상품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가치판단기준에 대해 무조건 부정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예술은 다양함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예술품의 가치는 예술가 자신의 판단기준에 따라 그 가치를 결정하는 것이지, 타의나 상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예술의 물질적 가치가 우선시되고, 인성의 가치가 권위를 상실해가는 시대적 상황들은 마치 극단(極端)으로 편협하게 치우친 ‘광견(狂狷)적 예술’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예술적 현실에 대해 공자의 예술철학으로 재고(再考)해 보고자 한다.
공자는 ‘사람이 인하지 않으면서 예악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하였다. 그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궁극의 도를 ‘인(仁)’으로 이해한 것이다. 그래서 인간의 삶 전반의 보편적 실천기준을 ‘인’으로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술전반을 이해하였다. 따라서 공자의 예술철학은 ‘인’의 예술철학이다. 그는 ‘인’이라는 보편성을 예술정신으로 삼고, 그 실천을 예악으로 형상화하였다. 공자의 예술 철학을 논하기에 앞서, 그의 예악 사상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와 악은 대대로 행해져온 것으로서 그 속에 유덕(遺德)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형식적으로 구분과 화합, 도덕과 예술, 이성과 감성개념 등의 상대적인 개념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내용상 유덕의 정신을, 형식상 상대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관계가 공자 예술철학의 기본적 틀이다. 둘째, 예악은 보편정신인 ‘인’을 문질빈빈적인 중용을 통해 실현하는 것으로, 시중(時中)의 타당성을 갖추고 있다. 셋째, 예악은 ‘진선진미(盡善盡美)’함으로써 인의 보편 가치를 추구한다. 진(盡)이란 무한한 수양의 의지와 실천을 말하는 것이다. 진선진미란 기술적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술의 절제와 정신의 여유로 인의 완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공자는 이러한 예악의 본질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을 시경으로 이해하면서, 그 본질을 ‘사무사(思無邪)’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공자의 예술철학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은 바로 시이다. 시는 ‘사무사’를 기본정신으로 삼고, 가상적으로 예악을 실현하는 표현예술이자, 체험예술이었다. 공자는 시에 대한 예술적 가치를 매우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여기서 표현되거나 체험되는 것은 바로 ‘인’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예·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예술철학은 다섯 가지 예술미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현의 덕을 계승하고 전하며, 그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유덕미(遺德美)이다. 둘째, 절제와 확충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여미(餘美)이다. 셋째, 중용과 화합으로 이루어지는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중화미(中和美)이다. 넷째, 모든 것이 본래 평등한 예술지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평미(平美)이다. 다섯째, 기술적 숙달을 통해 자유정신을 얻게 되는 통달미(通達美)이다. 이들은 모두 ‘인’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인관예(以仁貫藝)의 예술형태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그의 예술철학은 후대 예술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면서, 회화예술의 정신과 양식의 기초를 이루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정신적인 면에 있어서는 ‘인’의 정신을 바탕으로 인격을 수양하고 예술적 품격을 제고하며 회화예술의 철학적 영토를 획득하였고, 형식적인 면에 있어서는 필묵·여백(餘白)등의 예술요소들의 상대적이면서 일체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중용적 화면 경영 및 표현기법 등의 통달을 추구하였다. 역대의 화가들은 이러한 토대(土臺)위에서 총체적인 기운생동(氣韻生動)을 실현하며 유어예(游於藝)와 락지(樂之)하는 예술정신으로 진선진미(盡善盡美)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예술미를 회화예술에 적용해보면, 첫째 유덕적(遺德的) 회화, 둘째 여미적(餘美的) 회화, 셋째 화평(和平)의 회화, 넷째 통달(通達)의 회화, 다섯째 인 중심의 종합예술로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이인관예(以仁貫藝)의 방법을 통해 형식적으로는 시·서·화·악 일체(一體)의 종합예술형태를 가능하게 하고, 정신적으로는 자유예술정신의 확충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한 예술적 체험은 삶의 피로를 씻어주고, 특히 예술피로를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청량제가 된다. 그것은 바로 공자예술철학이 인에 기초한 인성회복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공자가 이루고자 했던 예술의 참모습이었을 것이다. 즉 회화예술은 진선진미의 체험을 통해 예술의 본질[仁]로 인도하는 매개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공자의 유토피아는 인에 있었다. 그에게 인은 모든 것을 대변할 수 있는 무한 보편의 예술경지였으며 안빈낙도(安貧樂道)를 가능케 하는 정신적인 멘토였다. 따라서 그가 추구한 예술철학은 유어예(游於藝)하며 인을 즐기는 인예(仁藝)의 철학이었다. 인예의 철학은 우리 시대의 물질중심의 예술현상들에 대해 ‘인간미’를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가장 인간적인 예술’이야말로 진선진미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철학적 기초위에서 우리는 무분별한 예술의 상업화와 물질 중심적 세계관에 대해 절제하는 것은 물론, 시대예술에 대한 자기 판단기준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모든 이들이 자기본성을 각성하고, 진정한 예술적 소통과 확장을 이룬 충서의 예술[忠恕之藝]의 기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자예술철학을 살펴 그 예술미를 고찰하고, 회화적인 실현가능성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또한 시대예술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이상적 예술실천을 실현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자의 예술철학은 이상적 예술실천의 방법이 되고, 회화예술은 공자예술철학의 실천방법이 된다. 이를 토대로 한다면 회화예술은 곧 인의 실현방법이다. 이것은 창작과 감상활동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자기에서 비롯하여 타인에게서 이루는 자타(自他)의 일체적 완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결국 회화예술이 지향하는 것은 ‘인의 완성’인 것이다.
【주제어】 공자, 예술철학, 仁, 仁藝, 遺美, 회화예술, 경지의 예술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on Painting Spirit in Confucius' Art Philosophy Yong-Seon Ann Department of Philosoph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rt is realization of beauty based on universality. When considering universality of art is in ...
Study on Painting Spirit in Confucius' Art Philosophy
Yong-Seon Ann
Department of Philosoph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rt is realization of beauty based on universality. When considering universality of art is in human nature, the value is in realization of human nature. To see this way is based on Confucius' world view which views the nature and natural life the same, However, modern art sometimes is evaluated based on material or commercial value. This is a phenomenon based on the influence of western art consciousness and capitalism, accordingly, current period requires commercialization of even art view as well as the artists' art works. Of course, such value determination criterion shouldn't have to be denied. Because art pursues diversity. Also, value of art works is determined by the artist's own determination criterion, not by others' will or situation. However, period situations where gradually prefer the material value of art and value of personality loses authority can be said to the excessively ideal(狂狷) art that too biased to extremity. The researcher intended to reconsider such reality of art with Confucius' art philosophy.
Confucious said, ‘how could a human perform lǐyuè(禮樂) without being benevolent’. He understood the eventual truth that a human should pursue as benevolence(仁). Accordingly, he defined the universal practice standard of overall human life as benevolence, and understood the overall art based on it. Therefore, Confucius' art philosophy is the art philosophy of benevolence. He adopted universality of benevolence and embodied the practice in lǐyuè. Before discussing Confucius' art philosophy, the researcher arranged his lǐyuè idea as follows.
First, lǐyuè had been conducted for generations, which succeed yídé(遺德). Also, they compose of relative concept structure of division and harmony, morality and art, and rationality and emotion concept. That is, they compose of the spirit of yídé(遺德) in content, and relative structure in form. Such relation is a basic frame of Confucius' art philosophy. Second, lǐyuè is to realize the universal spirit benevolence through wénzhìbīnbīn(文質彬彬) moderation, based on timely(時中) validity. Third, lǐyuè pursued universal value of benevolence through jìnshànjìnměi(盡善盡美). jìn(盡) means the will of infinite cultivation and practice. jìnshànjìnměi is not to pursue technical perfection, rather, pursued completion of benevolence based on moderation of technique and composure of spirit.
Confucius comprehended the experience of such essence of lǐyuè through Shījīng(詩經), understanding the essence as sīwúxié(思無邪). Accordingly, poem well expresses Confucius' art philosophy. Poem is an expressional art as well as experience art that virtually practice lǐyuè based on the spirit of sīwúxié. Confucius highly evaluated artistic value of poem. Because the point that was expressed and experienced here was benevole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uch Shī·lǐ·Yuè(詩·禮·樂), his art philosophy formed five types of artistic beauty as follows.
First, yídéměi(遺德美) that succeeds and transmits virtue of the ancestors, and practices the beauty, second, yúměi(餘美) that realizes beauty of moderation and expansion. Third, zhōnghéměi(中和美) that implies beauty composed of moderation and harmony. Fourth, píngměi(平美) that implies that everything has originally equal artistic position. Fifth, tōngdáměi(通達美) that attains spirit of freedom through technical skillfulness. They all aim for benevolence, enabling art form of yǐrénguànyì(以仁貫藝). This way, his art philosophy greatly influenced establishment of the basis of the spirit of painting art and form, influencing future generation art a lot. Personality was trained, artistic dignity was enhanced, and philosophical area of painting art was acquired based on the spirit of benevolence in respect of spiritual aspect, while mastery of moderate screen management and expression technique, etc. were pursued based on relative and integrated relation among art factors such as brush and ink(筆墨)·blank(餘白), etc. Painters of many generations intended to perform jìnshànjìn měi based on the art spirit to yóuyúyì(游於藝) and lèzhī(樂之) by realizing the overall qìyùnshēngdòng(氣韻生動) on the basis of such foundation.
When applying such artistic beauty to painting art, first, benevolent(遺德的) painting, second blank beauty(餘美的) painting, third, harmonious(和平) painting, fourth, mastery(通達) painting, and fifth, benevolence centered synthetic art could be realized. This enables synthetic art form of overall Shī·Shū·Huà·Yuè(詩·書·畫·樂) formally through the method of yǐrénguànyì method, mentally enabling expansion of free art spirit. Artistic experience through this clears fatigue of life, particularly, becomes a cooler to recover art fatigue by itself. Because Confucius' art philosophy pursues recovery of personality based on benevolence. This might be the true value of art that Confucius intended to achieve. That is, painting art performs a mediation role that leads to the essence of art through the experience of jìnshànjìnměi.
Confucius' utopia exists in benevolence. For him, benevolence was the limitless and universal art stage that could represent everything, also, a mental mentor that enabled ānpínlèdào(安貧樂道). Accordingly, his art philosophy was a philosophy of benevolent art(仁藝) that enjoys benevolence conducting yóuyúyì. Philosophy of benevolent art requires the material oriented art phenomena of this era to prepare humanity. Most humane art is the method to conduct jìnshànjìnměi. Based on such philosophical basis, we should establish self determination criterion of period art, as well as moderating thoughtless commercialization of art and material oriented world view. This could be the foundation of zhōngshùzhīyì(忠恕之藝) where everybody realizes their true self and true artistic communication and expansion.
This research aimed at considering the artistic beauty and realization possibility in respect of painting by investigating Confucius' art philosophy. Also, this research intended to solve side effects of period art and realize ideal art practice. Then, Confucius' art philosophy becomes a method for ideal art practice, and painting art becomes a practical method of Confucius' art philosophy. In conclusion, painting art is indeed a realization method of benevolence. This can be realized through creation and appreciation activity, pursuing unified completion of self and others created from the self to others. Accordingly, painting art pursues completion of benevolence.
【Key words】 Confucius, art philosophy, benevolence(仁), benevolent art(仁藝), yíměi(遺美), painting art, mastery art
목차 (Table of Contents)
1 부남철, "논어정독", 푸른역사, 서울: 푸른 역사, 2010
2 이근우, "문인화론", 서예문인화, 서울: 월간서예문인화, 이화문화출판사, 2008
3 이석명, "백서노자", 청계, 서울: 청계출판사, 2003
4 김근, "여씨춘추", 三民書局, 서울: 민음사, 1995
5 鄭英昊, "여씨춘추", 자유문고, 서울: 자유문고, 1992
6 성백효, "論語集註",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9
7 이민수, "역해, 예기", 서울: 혜원출판사, 1992
8 권오돈, "역해, 예기", 서울: 홍신문화사, 1992
9 안병주, 전호근, "共譯, 莊子2",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11
10 오세창, "근역서화징", 서울: 시공사, 1998
1 부남철, "논어정독", 푸른역사, 서울: 푸른 역사, 2010
2 이근우, "문인화론", 서예문인화, 서울: 월간서예문인화, 이화문화출판사, 2008
3 이석명, "백서노자", 청계, 서울: 청계출판사, 2003
4 김근, "여씨춘추", 三民書局, 서울: 민음사, 1995
5 鄭英昊, "여씨춘추", 자유문고, 서울: 자유문고, 1992
6 성백효, "論語集註",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9
7 이민수, "역해, 예기", 서울: 혜원출판사, 1992
8 권오돈, "역해, 예기", 서울: 홍신문화사, 1992
9 안병주, 전호근, "共譯, 莊子2",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11
10 오세창, "근역서화징", 서울: 시공사, 1998
11 남상호, "공자의 시학", 강원대학교출판부, 춘천: 강원대학교 출판부, 2011
12 이민수, "역해, 禮記中", 서울: 修文書館, 1998
13 조요한, "『예술철학』", 서울: 미술문화, 2003
14 신성수, "『주역통해』", 서울: 대학서림, 2005
15 여기현, "中國古代樂論", 파주: 태학사, 1995
16 김종태, "동양회화사상", 서울: 일지사, 1999
17 김병종, "중국회화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8 김용옥, "논어한글역주2", 서울: 통나무, 2008
19 신완역, 장기근, 이가원, "四書五經9 禮記", 서울: 평범사, 1989
20 문선규, "譯, 춘추좌씨전", 서울: 명문당, 1993
21 김학주, "역해, 신역열자", 서울: 명문당, 1991
22 김미영, "옮김, 대학중용", 서울: (주)홍익출판사, 2012
23 남상호, "중국철학방법사", 강원대학교출판부, 춘천: 강원대학교출판부, 1997
24 김충열, "『중국 철학사』", 자작아카데미, 서울: 예문서원, 1994
25 윤재근, "東洋의 本來美學", 나들목, 2006
26 배옥영, "서예이론과 실기", 다운샘, 서울: 다운샘, 2003
27 남상호, "「공자와 음악」", 중국철학회, 중국철학 Vol.9, 2002
28 곽철환, "著, 시공불교사전", 서울: 시공사, 2003
29 권덕주, 서복관, "譯, 중국예술정신", 서울: 동문선, 2000
30 성백효, 현토신역, "附 按說 論語集註", 서울: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3
31 신완역, 장기근, 이가원, "사서오경 권4 시경", 서울: 평범사, 1989
32 성백효, "역주, 詩經集傳 上",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10
33 성백효, "역주, 시경집전 下",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9
34 이수태, "지음, 논어의 발견", 서울: (주)생각의 나무, 1999
35 이경무, "‘樂’과 공자인학", 동서철학연구 제41호, 한국동서철학회, 2006
36 유홍준, "조선시대 화론연구", 학고재, 서울: 학고재, 1998
37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서울: (주)두산동아, 1999
38 강관식, 왕백민, "옮김, 동양화 구도론", 서울: 미진사, 1997
39 남상호, "『육경과 공자인학』", 예문서원, 서울: 예문서원, 2003
40 백기수, "「공자의 예술사상」",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동양학 Vol.11, 1981
41 임종욱,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서울: 이회문화사, 2010
42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서울: (주)월간미술, 1999
43 박용숙, "한국고대미술문화사론", 서울: 일지사, 1992
44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역해",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45 오성수, "오PD의 논어오디세이1084", 어진소리, 고양: 어진소리, 2004
46 신영주, "옮김,, 곽희의 임천고치", 서울: 문자향, 2003
47 배규하, "「中國書法藝術史(上)」", 서울: 梨花文化出版社, 1996
48 김석진, "講解, 大山周易講解 上經", 서울: 대유학당, 2007
49 김석진, "講解, 大山周易講解 下經", 서울: 대유학당, 2007
50 金成基, "餘音의 形成에 對한 考察", 인문과학연구 제4집, 조선대학교, 1982
51 김백희, 장대년, "옮김, 중국철학대강 上下", 서울: 까치글방, 1998
52 김기주, 황지원, 이기훈, "역주, 공자세가․중니세가", 서울: 예문서원, 2003
53 이은순, "「소식의 미학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54 강세순, "「유교의 중용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55 이사라, "「 시경국풍 애정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56 양희석, "「중국 시와 회화의 융합」", 한국중국어문학회, 중국문학 제44집, 2006
57 지재회, "역해, 동양학 총서45, 예기中", 서울: 자유문고, 2000
58 남상호, "「공자와 예」, 공자학 제8호", 한국공자학회, 2001
59 안소정, "「주희의 리일분수설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0 남상호, "「주희의 이일분수의 방법」",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제44권, 2007
61 이태호, "『조선후기 그림의 기와 세』", 학고재, 서울: 학고재, 2005
62 안용선(Ann, Yong-Seon), "孔子의 遺美的 藝術哲學 硏究",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Vol.41, 2014
63 이상은, "공자의 예술정신에 관한 고찰", 상지대학교, 상지대논문집 제7집, 1986
64 이후덕, "「선진유가의 인 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65 지순임,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미학』", 미술문화, 서울: 미술문화, 2005
66 곽약허, "지음, 박은화 옮김, 도화견문지", 서울: (주)시공사 시공아트, 2005
67 남상호, "「공자와 춘추」, 공자학 제7호", 한국공자학회, 2000
68 심현섭, "「선진유가의 미학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69 사사키, "겡이치 著, 민주식 譯, 미학사전", 서울: 동문선, 2002
70 문재곤, "음양오행론의 전개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제14-15집, 고려대학교, 1989
71 동병종, "지음, 김연주 옮김, 서법과 회화", 서울: 미술문화, 2005
72 사마천, "지음, 최익순 옮김, 사기열전 上", 서울: 백산서당, 2014
73 여환조, "「공자의 인 사상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74 이난주, "「심미정서로서의 “흥”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75 김광명, "미완성(논 피니토)의 미학적 의미",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철학 사상 문화 제17호, 2014
76 김선옥, "「산수화에 관한 유가미학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7 임태승, "「이물비덕관의 내재원리 분석」",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제28집, 2002
78 선우미정, "선진유가의 예악사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9 유일환, "「공자학에서의 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80 이성미, "사군자의 상징성과 그 역사적 전개", (중앙일보, 한국의 미18 「화조사군자」, 1991
81 최미라, "「 시경 의 인간성 회복 논리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82 F.W.J, "Schelling 지음, 김혜숙 옮김, 예술철학",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83 강세순, "「공자 중용사상의 인간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84 조송식, "「동기창의 회화사관 및 예술사상」", 미학 제36집, 2003
85 김연주, "「동양회화의 사의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86 신정근, "「선진시대 초기문헌의 인의 의미」",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제31집, 2002
87 서수정, "「판교 정섭의 서화미학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88 이마미치, "도모노부 著, 조선미 譯, 동양의 미학", 서울: 다미디어, 2005
89 민주식, "요젭 간트너의 관점에서 본 동양미술",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제18호,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90 조민환, "「‘서여기인’의 유가철학적 고찰」",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Vol.30, 2002
91 진중권, "『진중권의 서양미술사-모더니즘 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1
92 유영모, "「선진유가 중화사상의 미학적 탐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93 김백균, "「 畵學心法問答 과 淸初의 회화사상」", 미학 제25집, 2003
94 이채문, "「先秦諸家의 詩經 引用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95 김인환, "「예술성의 기에 있어 매개작용」, 미학", 예술학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 1996
96 선승혜, "「유교미학과 예술학의 연구현황:-2006」", 유교문화연구 Vol.11, 2008, 2005
97 이상우, "「樂記」‘유음(遺音)’개념에 대한 연구", 미학 제50집, 한국미학회, 2007
98 최다은, "「유가 예악사상의 ‘소’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99 임정주, "「공자 사상의 미적 가치와 회화적 반영」",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0 남상호, "「공자의 예술철학과 21세기 예술의 모색」",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제34호, 2004
101 서수정, "문인화론에 나타난 인품의 유가철학적 고찰",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제42집, 동양철학연구회, 2005
102 유검화, "편저, 조남권, 김대원 역주, 중국역대화론Ⅰ", 서울: 도서출판 다운샘, 2004
103 이상우, "「공자의 시론과 악론」, 예술문화연구 Vol.8", 서울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998
104 채순홍, "「주자의 미학사상연구-중화미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05 이규복, "인물품조 풍조가 시 서 화론 형성에 미친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논문집 제35집, 원광대학교, 2005
106 조송식, "「 도화견문지 에 나타난 곽약허의 예술사상」", 한국미학회, 미학 제49집, 2007
107 김병환, "「공자이전의 인 개념 연구」, 동양철학 제20집", 한국동양철학회, 2003
108 문승용, "「공자의 詩禮樂論」, 세계문학비교연구 제22집",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08
109 김창환, "「공자의 학문관과 호학정신」, 중국문학 Vol. 42", 한국중국어문학회, 2004
110 동기창, "지음, 변영섭, 안영길, 박은화, 조송식 옮김, 畵眼", 서울: (주)시공사, 2003
111 송하경, "「공자생활의 예술화경:시 악을 중심으로 하여」", 전북대학교논문집 Vol.25, 1983
112 조송식, "「‘와유(臥遊)’사상의 형성과 그 예술적 실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13 이경무, "「공자인학과 “예술” “미” 그리고 “미학”」", 범한철학 Vol.42, 2006
114 이나나, "「문인화의 연원과 근대 영남문인화형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15 이원목, "「중용사상의 논리구조와 그 가치의 실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16 김인환, "「동양예술론에서의 기(氣)」,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Vol.7", 동아시아문화포럼, 2001
117 김병종, "「유교가 중국회화양식과 품평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18 박명원, "한국인의 색채의식 및 색채교육연구 : 전통색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19 편동원, "「공자의 인(仁) 사상에 관한 소고-인 개념의 역사와 함의」", 한신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120 심영옥, "공자의 문질빈빈 심미관과 조선시대 문인화론의 관계성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제25호,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121 조희경, "「樂의 繪畵的 變容에 對한 硏究-孔子의 樂思想을 中心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22 서정돈, "「공자의 교육사상으로 본 21세기 대학교육의 발전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23 김문주, "「동아시아 전통사상의 미학적 자질연구(1):논어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Vol.20, 2004
124 임태승, "「문인회화양식에 나타난 유가적 형식의 미학적 의미와 기능」", 한국철학회, 철학 Vol.92, 2007
125 유현주, "「시 예 악을 통한 참된 예술의 완성 : 공자예악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Vol.31, 2013
126 이성원, "「고대 중국의 악의 기원과 그 변화-사회통합성 이해를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Vol.94, 2006
127 강영순, "「유가의 이념적 즐거움 연구-안회의 즐거움을 중심으로-」, 미학 제78집", 한국미학회, 2014
128 이상우, "「철학 / 미학, 동양철학 / 동양미학 그 분류와 범주의 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미학회, 미학 제33집, 2002
129 윤여범, "「동양회화에 나타난 기 개념 고찰-서권기를 중심으로」, 동양예술 제25호",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130 이수정, "「회화상에 나타난 기운생동에 관한 연구 : 육조시대〜송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석사학위논문, 2004
131 Francois Jullien, "Eloge de la fadeur , 최애리 옮김, 무미예찬 , 서울: 산책자, 한흥섭 옮김, 예기․악기", 서울: 책세상, 2007, 2010
132 임태승, "象·格·比:象物·格物·感於物-認識作用과 審美作用 사이의 儒家적 象徵作用 分析-", 동양철학연구 Vol.17, 동양철학연구회, 1997
133 심현섭, "「공자예악사상의 미적 탐구:회사후소의 해석과 흥 관 군 원의 함의를 중심으로」",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5, 2006
134 손보미, "「미적 태도로서의 ‘유(游)’:중국 전통 화론에서 회화창작의 가치론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