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후기 순조대 궁중연향 복식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45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왕조는 창업 초기에 채택한 抑佛崇儒라는 국가 이념에서 보듯이 유교를 治國의 根本으로 표방하였다. 儒敎理念에 입각한 禮治主義는 나라의 정치·사회·문화 등 모든 방면에서 수호해야 하는 절대적 표준이었다. 禮와 樂은 왕권을 강화하고 조종의 권위를 앞세우는데 합당한 지배논리로 수용되어 조선 문화 전반을 지배하는 중요한 문화담론으로 이어졌다. 조선조 왕궁문화의 주류였던 정재 역시 왕실의 권위와 규범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정재를 수반한 궁중연향은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예악사상 표방의 대표적인 근거로 인식되었다.
      또한 궁중연향은 나라를 지배하는 통치 집단인 君臣간, 또는 왕실 내부의 친목과 연대감 조성을 위한 목적에서 치루어 지는 것으로 조선 전기부터 매우 중요한 왕실의 행사였다. 궁중연향을 원활히 치루기 위하여 행정을 도맡아 처리하는 進宴都監을 비롯한 進宴廳을 설치하여 행사와 관련된 모든 사항을 관장하고 연향이 끝나면 곧 해체되었다. 조선후기에는 궁중연향의 준비부터 진행과 종료 후 정리를 비롯하여 행사 전반의 내용을 기록하는 의궤의 편찬까지 도맡아하는 ‘儀軌廳’이 따로 설치되었다. 儀軌는 차후 거행되는 궁중 연향 준비에 유용한 안내서가 되었고, 또 행사와 관련하여 예기치 않은 논란이 제기될 경우 판단 기준이 되는 지침서 역할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춤과 관련하여 궁중연향에 공연된 정재의 종목과 女妓의 이름, 춤의 진행 순서 및 舞圖와 服飾, 儀物, 舞具 등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정재 사료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복식사 연구에 있어서 儀軌의 고찰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조선왕조 정재 역사 상 가장 많은 정재가 창작되고 이를 바탕으로 궁중정재의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는 純祖대의 연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정재 역사상 가장 많은 춤을 창작한 효명세자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춤의 창작 배경과 창작복식의 형태를 분석하여 현재 공연되고 있는 궁중 정재무복식에 있어서 좀더 고증에 충실한 복식을 제시하였다.
      궁중정재에 대한 선행 연구는 劉頌玉의 ‘조선시대 의궤도의 복식 연구’에서 正祖 乙卯년의 整理儀軌를 중심으로 進宴시 복식을 연구하였으며,金京實은 ‘조선왕조 궁중진연의궤’에 나타난 복식의 조형미에서 현존하는 進宴儀軌를 바탕으로 조선의 전반적인 進宴시 복식을 고찰하고 考證 · 製作하였다. 또한, 이 밖에도 궁중정재의 역사와 禮樂사상에 관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왕조 정재 역사상 가장 섬세하고 많은 정재가 창작되고 궁중정재의 기틀을 확고하게 한 효명세자의 창작 정재복식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보고 현재 공연되고 있는 정재의 복식사적 고증을 통하여 정확하고 다양한 복식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조선왕조는 창업 초기에 채택한 抑佛崇儒라는 국가 이념에서 보듯이 유교를 治國의 根本으로 표방하였다. 儒敎理念에 입각한 禮治主義는 나라의 정치·사회·문화 등 모든 방면에서 수호�...

      조선왕조는 창업 초기에 채택한 抑佛崇儒라는 국가 이념에서 보듯이 유교를 治國의 根本으로 표방하였다. 儒敎理念에 입각한 禮治主義는 나라의 정치·사회·문화 등 모든 방면에서 수호해야 하는 절대적 표준이었다. 禮와 樂은 왕권을 강화하고 조종의 권위를 앞세우는데 합당한 지배논리로 수용되어 조선 문화 전반을 지배하는 중요한 문화담론으로 이어졌다. 조선조 왕궁문화의 주류였던 정재 역시 왕실의 권위와 규범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정재를 수반한 궁중연향은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예악사상 표방의 대표적인 근거로 인식되었다.
      또한 궁중연향은 나라를 지배하는 통치 집단인 君臣간, 또는 왕실 내부의 친목과 연대감 조성을 위한 목적에서 치루어 지는 것으로 조선 전기부터 매우 중요한 왕실의 행사였다. 궁중연향을 원활히 치루기 위하여 행정을 도맡아 처리하는 進宴都監을 비롯한 進宴廳을 설치하여 행사와 관련된 모든 사항을 관장하고 연향이 끝나면 곧 해체되었다. 조선후기에는 궁중연향의 준비부터 진행과 종료 후 정리를 비롯하여 행사 전반의 내용을 기록하는 의궤의 편찬까지 도맡아하는 ‘儀軌廳’이 따로 설치되었다. 儀軌는 차후 거행되는 궁중 연향 준비에 유용한 안내서가 되었고, 또 행사와 관련하여 예기치 않은 논란이 제기될 경우 판단 기준이 되는 지침서 역할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춤과 관련하여 궁중연향에 공연된 정재의 종목과 女妓의 이름, 춤의 진행 순서 및 舞圖와 服飾, 儀物, 舞具 등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정재 사료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복식사 연구에 있어서 儀軌의 고찰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조선왕조 정재 역사 상 가장 많은 정재가 창작되고 이를 바탕으로 궁중정재의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는 純祖대의 연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정재 역사상 가장 많은 춤을 창작한 효명세자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춤의 창작 배경과 창작복식의 형태를 분석하여 현재 공연되고 있는 궁중 정재무복식에 있어서 좀더 고증에 충실한 복식을 제시하였다.
      궁중정재에 대한 선행 연구는 劉頌玉의 ‘조선시대 의궤도의 복식 연구’에서 正祖 乙卯년의 整理儀軌를 중심으로 進宴시 복식을 연구하였으며,金京實은 ‘조선왕조 궁중진연의궤’에 나타난 복식의 조형미에서 현존하는 進宴儀軌를 바탕으로 조선의 전반적인 進宴시 복식을 고찰하고 考證 · 製作하였다. 또한, 이 밖에도 궁중정재의 역사와 禮樂사상에 관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왕조 정재 역사상 가장 섬세하고 많은 정재가 창작되고 궁중정재의 기틀을 확고하게 한 효명세자의 창작 정재복식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보고 현재 공연되고 있는 정재의 복식사적 고증을 통하여 정확하고 다양한 복식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 論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Ⅰ. 序 論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Ⅱ. 조선후기 純祖代의 사회적 배경과 효명세자 4
      • 1. 조선후기 純祖代의 사회적 배경 4
      • 2. 효명세자와 창작정재 6
      • Ⅲ.純祖代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의 진연과 복식 11
      • 1. 의주에 따른 의식절차 11
      • (1) 『丁亥進爵整禮儀軌』에 나타난 의식절차 11
      • (2) 『戊子進爵儀軌』에 나타난 의식절차 12
      • (3) 『己丑進饌儀軌』에 나타난 의식절차 18
      • 2. 參席者服飾 26
      • (1) 王, 王世子 服飾 26
      • (2) 王妃, 王世子嬪 服飾 29
      • 3. 樂人服飾 31
      • (1) 『丁亥進爵整禮儀軌』에 나타난 樂人服飾 31
      • (2) 『戊子進爵儀軌』에 나타난 樂人服飾 32
      • (3) 『己丑進饌儀軌』에 나타난 樂人服飾 33
      • 4. 舞人服飾 35
      • (1) 『戊子進爵儀軌』에 나타난 舞人服飾 35
      • (2) 『己丑進饌儀軌』에 나타난 舞人服飾 67
      • Ⅳ. 純祖대 효명세자 대리청정 기간 동안의 呈才服飾 비교 88
      • Ⅴ. 궁중정재복식의 제작-공막무 무동 복식 97
      • Ⅵ. 結 論 104
      • 參考 文獻 106
      • Abstract 1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