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난과 중국의 근대 전환 ― 과분의 위기부터 코로나19 대응까지 ― = Disaster and China’s Modern Trans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13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재난이 중국의 근대 전환과 관계 맺는 양상을 살펴본다. 중국의 재난은 근대 전환 초기인 19세기 말부터 2020년 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 국면까지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이 시기 ...

      이 글에서는 재난이 중국의 근대 전환과 관계 맺는 양상을 살펴본다. 중국의 재난은 근대 전환 초기인 19세기 말부터 2020년 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 국면까지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이 시기 재난은 자연적 현상을 넘어서 국가의 존립, 사회체제의 근본적 전환, 세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요청하는 계기로 작동했다. 우선 19세기 말 전통국가의 붕괴와 근대 전환에서는 국가의 존망 위기라는 재난이 큰 비중을 갖는 변수로 작용했다. 재난에 직면한 중국의 상황을 두고 유럽에서는 상반된 은유가 형성되었다. 한편에서는 중국을 서구 열강의 세력 확장의 피해자로 묘사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과거 유럽에 위협을 준 역사적 기억이 중국을 재난으로 묘사하며 유럽의 강한 대중국 전략을 요청한다. 둘째, 전통 시대에 거의 상시적으로 발생한 재난은 근대에도 빈번하고 강도 높게 발생했다. 이 시기 서구 선교사들은 수재, 가뭄의 소식을 해외에 알리고 구제 활동을 하는 동시에 전통 중국의 미신과 주술을 비판했다. 민국 시기 지식인은 재난 담론을 통해 문명화되지 못한 중국의 현실을 비판하고 과학적 대응으로의 전환을 촉구했다. 이들의 바람과 달리 민국 시기에는 재난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대응체계는 형성되지 못했다. 도리어 전쟁의 상황에서 정부는 민중을 극도의 고난에 빠뜨리는 인재를 일으키기도 했다. 셋째,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은 전국가에 걸쳐 발생한 재난에 대응하는 체제의 특성을 드러냈다. 아울러 중국과 서구의 상반된 재난 대응 과정은 새로운 거버넌스 논의를 촉발했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응 과정에서 중국 정부는 과거처럼 무감각하거나 무기력하지 않았다. 오히려 중국의 ‘성공’과 서구의 ‘혼란’이 대조되었다. 오늘날 중국에서 비롯한 전 세계적 재난은 중국에도 재난이었지만 중국 자체를 재난으로 보는 오래된 입장을 소환했다. 더 나아가 전 세계의 공통된 현상 속에서 보여준 다른 행태와 결과는 서구 절대주의적 인식에 균열을 가하고 체제의 장단점에 대한 판단을 근거로 한 체제 경쟁의 국면을 조성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s and China’s transition to modernity. Disasters in China are analyzed betwee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the early stage of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and the ongoing COVID-19 ...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s and China’s transition to modernity. Disasters in China are analyzed betwee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the early stage of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and the ongoing COVID-19 global pandemic. During this period, disasters have prompted a struggle for nationhood, a fundamental change in the social system, and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wider world and China’s place in it; effects which extend well beyond natural phenomena. With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stat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re was a crisis of national survival which many Chinese experienced as a formidable disaster. A variety of contrasting metaphors were been formed in Europe to describe China's catastrophic situation: China was portrayed as a victim of colonialist expansion by Western powers, but there was also a historical memory of past threats to Europe, which portrayed China in similar terms and called for a strong European strategy to constrain China. Although great disasters had occurred repeatedly throughout the traditional era, they continued to recur at high intensity even in modern times. During this period, Western missionaries reported the news of floods and droughts abroad and conducted relief activities, while criticizing the traditional Chinese understanding of the world as backward and superstitious. Chinese intellectuals also used a discourse on disasters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to criticize the inadequacy of Chinese so-called civilization, calling for a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ponse to disasters. The government failed to heed their wishes, however, and indeed in the context of war, the extent and severity of suffering and hardship actually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And most recently, the COVID- 19 pandemic shed some light on the current Chinese system for responding to disasters occurring across the whole country. This drew attention to the different approaches for dealing with disasters between China and the West, prompting renewed discussions about comparative governance. In its response to the pandemic, the Chinese government has demonstrated greater competence, and arguably also greater sensitivity, than to the disasters of the past, and some have contrasted China’s ‘success’ with the ‘chaos’ in the West. Today’s global disasters are also disasters in China, but the old view of China itself as a disaster is no longer applicable. Moreover, the distinct policies and outcomes during this global disaster, between the West and China, have provided some leverage for Chinese commentators to compare the two systems of governance, based on judgments of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llowing them to present the Chinese system in a more favorable light than was previously possi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영서,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 대안적 문명과 거버넌스" 책과함께 2021

      2 김진공, "중국의 코로나19 사태와 사회 체제의 신뢰 위기" 중국어문학회 (72) : 209-237, 2020

      3 조영남, "중국은 왜 코로나19의 초기 대응에 실패했는가?" 극동문제연구소 36 (36): 105-135, 2020

      4 조영남, "중국은 어떻게 코로나19의 통제에 성공했나?: 후베이성과 우한시의 활동을 중심으로" 국제학연구소 29 (29): 107-138, 2020

      5 백지운, "재난서사에 대항하기― 쓰촨대지진 이후 중국영화의 재난서사"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69) : 217-247, 2014

      6 노재식, "선교사들의 近代中國 災難에 대한 認識과 救濟事業 -《萬國公報》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중국문화학회 (39) : 111-134, 2013

      7 임대근, "사회주의 중국이 재난을 다루는 방식" 88 : 42-43, 2014

      8 두행숙, "독일황제 빌헬름 2세의 동아시아 정책과 황화론의 실체" 한국독일어문학회 29 (29): 47-72, 2021

      9 박정현, "近代 以後 中國 災難 認識의 變化" 중국사학회 (128) : 131-161, 2020

      10 胡鞍鋼, "中國減災. 1月上" 16-19, 2017

      1 백영서,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 대안적 문명과 거버넌스" 책과함께 2021

      2 김진공, "중국의 코로나19 사태와 사회 체제의 신뢰 위기" 중국어문학회 (72) : 209-237, 2020

      3 조영남, "중국은 왜 코로나19의 초기 대응에 실패했는가?" 극동문제연구소 36 (36): 105-135, 2020

      4 조영남, "중국은 어떻게 코로나19의 통제에 성공했나?: 후베이성과 우한시의 활동을 중심으로" 국제학연구소 29 (29): 107-138, 2020

      5 백지운, "재난서사에 대항하기― 쓰촨대지진 이후 중국영화의 재난서사"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69) : 217-247, 2014

      6 노재식, "선교사들의 近代中國 災難에 대한 認識과 救濟事業 -《萬國公報》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중국문화학회 (39) : 111-134, 2013

      7 임대근, "사회주의 중국이 재난을 다루는 방식" 88 : 42-43, 2014

      8 두행숙, "독일황제 빌헬름 2세의 동아시아 정책과 황화론의 실체" 한국독일어문학회 29 (29): 47-72, 2021

      9 박정현, "近代 以後 中國 災難 認識의 變化" 중국사학회 (128) : 131-161, 2020

      10 胡鞍鋼, "中國減災. 1月上" 16-19, 2017

      11 鄧雲特, "中國救荒史" 上海書店 1984

      12 권성순, "'러일전쟁'에 작용한 '황화론' 연구 : 독일, 영국, 일본 외교정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 1.42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