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카쿠라 요시사부로 한국문학론(1893)의 근대 학술사적 함의 = 19세기 말 한국 시가집의 발견과 시조의 번역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odern scholastic position of “Korean Literature(朝鮮の文學)” written by Okakura Yoshisaburo, published in the eighth edition of Tetsugakuzassi (哲學雜誌), chapters 74-75, issued in 1983.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odern scholastic position of “Korean Literature(朝鮮の文學)” written by Okakura Yoshisaburo, published in the eighth edition of Tetsugakuzassi (哲學雜誌), chapters 74-75, issued in 1983. “Korean Literature(朝鮮の文學)” is a valuable reference on the outlook and written language of nineteenth-century Korean books, distribution of story books, and the book-lending culture in Korea. Okakura introduced Nam-Hun-Tae-Pyeong-Ga and studied the reading of Korean poetry. One of the key points of his work wa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The translated Korean poetry has a distinctive translated direction that first focused on phonetics of original pieces; second, pointed out relationships with Chinese culture and literature through categorizing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ird, through focusing on the unique text layout of each piece, revealing the context.
      Although there are traces of Japanese viewpoints of devaluation on Korean nationality and its characters, Okakura’s translation of Nam-Hun-Tae-Pyeong-Ga, the first translation of Korean poetry and the first poetry discourse published, has its own significance, considering its publication was made when printing of the Korean language itself was not eas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제1장 19세기 말 외국인한국학과 오카쿠라 한국문학론의 위상
      • 제2장 오카쿠라의 ‘한국문학부재론’과 19세기 말 한국의 출판ㆍ유통문화
      • 제3장 한국 시가집의 발견과 시조의 번역
      • 결론
      • 서론
      • 제1장 19세기 말 외국인한국학과 오카쿠라 한국문학론의 위상
      • 제2장 오카쿠라의 ‘한국문학부재론’과 19세기 말 한국의 출판ㆍ유통문화
      • 제3장 한국 시가집의 발견과 시조의 번역
      • 결론
      • 참고문헌
      • 논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와타나베 다카코, "훈민정음 연구사 :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연세대 2002

      2 김석회, "한시 현토형 시조와 시조의 7언절구형 한시화" 국문학회 4 : 2000

      3 C. C. Dallet, "한국천주교회사(上)" 분도출판사 1979

      4 김승우, "한국詩歌에 대한 구한말 서양인들의 고찰과 인식 -James Scarth Gale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4) : 5-41, 2011

      5 권도희, "한국 근대 음악 사회학" 민속원 2004

      6 이상현, "한국 고전번역가의 초상, 게일의 고전학 담론과 고소설 번역의 지평" 소명 2013

      7 大谷森繁, "조선후기 세책 재론 한국 고소설사의 시각" 국학자료원 1996

      8 모리스 쿠랑, "조선 및 일본연구에 대한 고찰 프랑스문헌학자 모리스 쿠랑이 본 한국의 역사와 문화" 살림 2009

      9 그리피스, "은자의 나라, 한국" 집문당 1999

      10 이상현, "알렌 <백학선전>영역본 연구 -모리스 쿠랑의 고소설 비평을 통해 본 알렌 고소설영역본의 의미-"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289-335, 2012

      1 와타나베 다카코, "훈민정음 연구사 :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연세대 2002

      2 김석회, "한시 현토형 시조와 시조의 7언절구형 한시화" 국문학회 4 : 2000

      3 C. C. Dallet, "한국천주교회사(上)" 분도출판사 1979

      4 김승우, "한국詩歌에 대한 구한말 서양인들의 고찰과 인식 -James Scarth Gale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4) : 5-41, 2011

      5 권도희, "한국 근대 음악 사회학" 민속원 2004

      6 이상현, "한국 고전번역가의 초상, 게일의 고전학 담론과 고소설 번역의 지평" 소명 2013

      7 大谷森繁, "조선후기 세책 재론 한국 고소설사의 시각" 국학자료원 1996

      8 모리스 쿠랑, "조선 및 일본연구에 대한 고찰 프랑스문헌학자 모리스 쿠랑이 본 한국의 역사와 문화" 살림 2009

      9 그리피스, "은자의 나라, 한국" 집문당 1999

      10 이상현, "알렌 <백학선전>영역본 연구 -모리스 쿠랑의 고소설 비평을 통해 본 알렌 고소설영역본의 의미-"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289-335, 2012

      11 윤수안, "식민지 시기전후의 언어문제" 소명출판 2012

      12 이윤석, "세책 고소설 연구" 혜안 2003

      13 사이토 마레이시, "번역과 훈독 -현지화된 문자로서-" 인문학연구소 72 : 7-28, 2012

      14 고영근,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 제이앤씨 2010

      15 오페르트, "금단의 나라 조선" 집문당 2000

      16 稻葉繼雄, "구한말 교육과 일본인" 온누리 2006

      17 이상현, "고전어와 근대어의 분기 그리고 불가능한 대화의 지점들 - 『조선문학사』(1922) 출현의 근대 학술사적 문맥, 다카하시·게일의 한국(어)문학론" 인문학연구소 73 : 56-113, 2013

      18 한용진, "갑오개혁기 일본인의 한국교육 개혁안 고찰 ― 근대화 교수용어 선택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3) : 77-98, 2009

      19 M. Courant, "韓國書誌-修訂飜譯版" 一潮閣 1994

      20 細井肇, "通俗朝鮮文庫5" 自由討究社 1921

      21 김주수, "漢詩 번역 時調 연구 -제 양상과 미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28 : 239-264, 2010

      22 安廓, "朝鮮語의 價値" 4 : 1915

      23 安廓, "朝鮮文學史" 韓一書店 1922

      24 細井肇, "朝鮮文化史論" 朝鮮硏究會 1911

      25 大谷森繁, "朝鮮後期小說讀者硏究"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85

      26 岡倉由三郞, "朝鮮の文學" 8 (8): 1893

      27 성무경, "普及用 歌集 남훈태평가의 印刊과 시조 향유에의 影響(1)" 한국시가학회 18 (18): 347-386, 2005

      28 佐藤義隆, "日本の外国語学習及び教育の歴史を振替えるー日本の英語学習及び教育目的論再考ー" (31) : 2002

      29 柾木貴之, "国語教育と英語教育の連携前史--明治期岡倉由三郎外國語教授新論を中心に" 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言語情報科学専攻 8 : 2010

      30 이상현, "『조선문학사』(1922) 출현의 안과 밖 ― 재조 일본인 고소설론의 근대 학술사적 함의 ―" 동아시아일본학회 (40) : 455-485, 2011

      31 이상현, "『삼국사기』에 새겨진 27년 전 서울의 추억 -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과 한국의 고전세계-" 국제어문학회 55 (55): 189-227, 2013

      32 W. G. Aston, "On Corean popular literature" XVIII : 1890

      33 H. N. Allen, "Korean tales" Londres 1889

      34 이민희, "20세기 초 외국인 기록물을 통해 본 고소설 이해 및 향유의 실제 - The Korea Review 수록 ‘Korean Fiction’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8) : 121-158, 2012

      35 박애경, "20세기 초 대중문화의 위상과 시가 - 시가의 지속과 변용양상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31 : 2006

      36 윤설희, "20세기 초 가집 『정선조선가곡』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37 강혜정, "20世紀 前半期 古時調 英譯의 展開樣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8 고미숙, "19세기 시조의 예술사적 의미" 태학사 1998

      39 이상현, "19세기 말 고소설 유통의 전환과 ‘민족지’로서의 고소설 - 모리스 쿠랑 『한국서지』 한국고소설 관련 기술의 근대 학술사적 의미" 한국비교문학회 (59) : 37-74, 2013

      40 이상현, "19세기 말 在外 외국인의 한국시가론과 그 의미"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6) : 309-345, 2014

      41 신경숙, "19세기 가집의 전개" 계명문화사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Japanology in East Asi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panese Cultural Syudies -> Japanese Cultur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6 0.486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