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경기도 3기 신도시 정책 및 뉴스트렌드를 중심으로 - =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Creation of a Green New Deal Specialized Smart city - Focused on the Policy and News Trend of the 3rd Phase New Town in Gyeonggi-d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82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cussions on the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y" are being actively hel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In order to respond to this policy moveme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irections and policy proposals for reg...

      Discussions on the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y" are being actively hel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In order to respond to this policy moveme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irections and policy proposal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hird new city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keyword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eywords for the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y," it is characterized by the strong policy aspects promot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giving the meaning of the smart city and the green new deal itself in Korea. In addition, i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 of whether the operational definition derived through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Green New Deal and the smart city itself means the happiness of residents or the city they want to live in.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ies deriv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reviews, keyword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defined as social-oriented sustainable cities that respond to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COVID-19,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conceptual link between the two terms 'Green New Deal' and 'Smart City' is not clear and the basic concept of the third phase new town in Gyeonggi-do was selected. Howe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give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a specific basic plan for the "Green New Deal Specialized Smart City" in the future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그린뉴딜을 실제로 구현하는 핵심콘텐츠이자 새로운 도시관리방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도시에서 보다 고도화된 정의가 가능한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에 대한 대한 ...

      최근 그린뉴딜을 실제로 구현하는 핵심콘텐츠이자 새로운 도시관리방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도시에서 보다 고도화된 정의가 가능한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에 대한 대한 논의가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 차원에서 활발하게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개념화 및사례적용을 통한 방향성 제시를 위해 문헌검토, 키워드 분석과 포커스 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여, 3기 신도시의 원래 취지인 주택시장 안정에도 부합하고 지역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설정 및 정책제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에 대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스마트도시와 그린뉴딜 자체의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중앙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정책 측면이 강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경기도 내 3기신도시의 경우, 신도시 건설로 인해 발생 되는 부동산 문제에 대한 연관어가 도출되어 결국 3기 신도시가 본격적으로추진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부동산 가격 폭등 및 투기 등의 문제점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방향을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개념화를 통해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포커스 그룹인터뷰(FGI) 에서는 그린뉴딜과 스마트도시의 구성요소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도출된 조작적 정의가 개별 3기 신도시에 적용되면그 자체가 주민의 행복 또는 살고 싶은 도시로서의 의미인지에 대한 질문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기존 문헌검토, 키워드 분석 그리고 포커스 그룹인터뷰(FGI)를 토대로 도출한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는 기후변화와 코로나19, 4 차 산업혁명 등 다양한 도시문제에 대응하고 혁신기술과 연계한 소셜지향형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경기도 3기 신도시에 대한 개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린뉴딜’과 ‘스마트도시’ 두 용어의 개념적 연계가 명확하지 않고 경기도 내 3기 신도시의 기본구상이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가 있다. 다만 향후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구체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시사점을 줄 수 있고,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판뉴딜"

      2 관계부처 합동, "한국판 뉴딜 2.0: 미래를 만드는 나라 대한민국"

      3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판 그린 뉴딜 방향: 진단과제언" 2020

      4 유재호 ; 조연희 ; 전의찬, "토픽모델링 분석에 의한 글로벌 그린뉴딜 연구동향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 12 (12): 289-298, 2021

      5 최광묵 ; 차기춘 ; 유병준 ; 박지환 ; 임정현 ; 박세환 ; 박승희, "지방자치단체 스마트도시 조직체계 문제점 분석" 한국방재안전학회 11 (11): 15-22, 2018

      6 국토교통부, "제3차 스마트도시종합계획(2019 –2023)" 2019

      7 허학수 ; 류갑상, "스마트시티에 적합한 주민참여형 공공주택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사물인터넷학회 7 (7): 1-6, 2021

      8 이재용, "스마트시티 유형에 따른 전략적 대응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8

      9 환경부, "스마트 그린도시로 대한민국 탄소중립 이끈다” 비전 선포"

      10 오명택, "세종시 스마트시티 구축 사례와 추진 전략" 7 (7): 21-28, 2020

      1 "한국판뉴딜"

      2 관계부처 합동, "한국판 뉴딜 2.0: 미래를 만드는 나라 대한민국"

      3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판 그린 뉴딜 방향: 진단과제언" 2020

      4 유재호 ; 조연희 ; 전의찬, "토픽모델링 분석에 의한 글로벌 그린뉴딜 연구동향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 12 (12): 289-298, 2021

      5 최광묵 ; 차기춘 ; 유병준 ; 박지환 ; 임정현 ; 박세환 ; 박승희, "지방자치단체 스마트도시 조직체계 문제점 분석" 한국방재안전학회 11 (11): 15-22, 2018

      6 국토교통부, "제3차 스마트도시종합계획(2019 –2023)" 2019

      7 허학수 ; 류갑상, "스마트시티에 적합한 주민참여형 공공주택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사물인터넷학회 7 (7): 1-6, 2021

      8 이재용, "스마트시티 유형에 따른 전략적 대응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8

      9 환경부, "스마트 그린도시로 대한민국 탄소중립 이끈다” 비전 선포"

      10 오명택, "세종시 스마트시티 구축 사례와 추진 전략" 7 (7): 21-28, 2020

      11 강현철 ; 박진호,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 관점에서 본 그린뉴딜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2 (22): 105-138, 2020

      12 이은석, "그린뉴딜을 통한 도시 기후변화 정책 개선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20

      13 최종수, "그린뉴딜 따뜻한 아이스아메리카노인가?" (461) : 28-32, 2020

      14 국토교통부, "국제경험·비전으로 만드는 새로운 도시: 고양창릉·부천대장 신도시 국제공모작 선정"

      15 한국일보, "계절독감으로 가는 중간 단계".. 오미크론, 격리 없이 치료받는다"

      16 박은정, "KoNLPy: 쉽고 간결한 한국어정보처리 파이썬 패키지" 133-136, 2014

      17 Mohanty,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Smart Cities" 5 (5): 60-70, 2016

      18 "3기신도시"

      19 국토교통부, "3기 신도시 본격화,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수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9-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4 0.6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