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의 역량모델 구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716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competency for teachers of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s the competency role model, and then, helps them properly operate the education which they want.
      In Korea Society, since 90s, discussion on the 'multiculturalism' was increased.
      The Korea Society which had been lasted for a long time, made a rapid economic growth, and by this growth, immigrant women by marriage have been increased for solving single rural youth's marriage problem come from staffing shortage focussing on 3D type work, immigrant workers, counterurbanization, unbalance of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
      Most educations for them are organized with assimilationism aiming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now, because of policy excluding immigrant labor,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n't had diverse educations for adjust to Korea with self-esteem and cultural background. It's the starting point of recognition.
      Study Results
      First, the educations for multicultural learner are mainly organized with Korea culture and Korean education, but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from now, there will be a strong possibility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by multicultural learners.
      Seco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teachers for their education will be increased than before, and another competency which has not been seen in the general lifelong education teachers, will be needed.
      Third, multicultural idea that understands other cultures and has a recognition-every person should be equal- will be work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competency.
      For drawing a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study was progressed by 10 persons nominated by teachers having a teaching experience for multicultural people from March 2, 2010 to March 21, 2010.
      Method interviewing the main event was used, and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course after recording.
      Total 20 competency elements were extrac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5 competency type elements-learner centered thought, cultural flexibility, teaching professionalism, general professionalism, social connection promotion-.
      First, learner centered thought competency type as an ability of teacher on the basis of learners involves "learner comprehension", "directivity for learner", "respect for learner"
      Second, "cultural flexible competency type" similar to a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y means social ability needed in gender, other culture, generation, and religion. And this includes "openness", "generos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Third, "teaching professionalism competency type" as teaching method of teachers or collection of epistemic competencys, contains "teaching ability", "class progress capability", "professionalism", "foreign language ability/body language ability", "motivation", "comprehens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Fourth, "general professionalism competency type" as collection of teaching abilities, involves "volunteer activity", "relation development", "information competency", "sense of duty", "challenging sense", and "flexibility"
      Lastly, "social connection promotion competency type includes good relationships with sympathy and solidarity, also cooperates with others for solving and managing conflicts. And this type covers "learner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trouble control and solution" as some of various competences.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competency for teachers of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s the competency role model, and then, helps them properly operate the education which they want. In Korea Society, since 90s, discussion on ...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competency for teachers of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s the competency role model, and then, helps them properly operate the education which they want.
      In Korea Society, since 90s, discussion on the 'multiculturalism' was increased.
      The Korea Society which had been lasted for a long time, made a rapid economic growth, and by this growth, immigrant women by marriage have been increased for solving single rural youth's marriage problem come from staffing shortage focussing on 3D type work, immigrant workers, counterurbanization, unbalance of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
      Most educations for them are organized with assimilationism aiming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now, because of policy excluding immigrant labor,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n't had diverse educations for adjust to Korea with self-esteem and cultural background. It's the starting point of recognition.
      Study Results
      First, the educations for multicultural learner are mainly organized with Korea culture and Korean education, but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 from now, there will be a strong possibility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by multicultural learners.
      Seco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teachers for their education will be increased than before, and another competency which has not been seen in the general lifelong education teachers, will be needed.
      Third, multicultural idea that understands other cultures and has a recognition-every person should be equal- will be work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competency.
      For drawing a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study was progressed by 10 persons nominated by teachers having a teaching experience for multicultural people from March 2, 2010 to March 21, 2010.
      Method interviewing the main event was used, and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course after recording.
      Total 20 competency elements were extrac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5 competency type elements-learner centered thought, cultural flexibility, teaching professionalism, general professionalism, social connection promotion-.
      First, learner centered thought competency type as an ability of teacher on the basis of learners involves "learner comprehension", "directivity for learner", "respect for learner"
      Second, "cultural flexible competency type" similar to a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y means social ability needed in gender, other culture, generation, and religion. And this includes "openness", "generos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Third, "teaching professionalism competency type" as teaching method of teachers or collection of epistemic competencys, contains "teaching ability", "class progress capability", "professionalism", "foreign language ability/body language ability", "motivation", "comprehens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Fourth, "general professionalism competency type" as collection of teaching abilities, involves "volunteer activity", "relation development", "information competency", "sense of duty", "challenging sense", and "flexibility"
      Lastly, "social connection promotion competency type includes good relationships with sympathy and solidarity, also cooperates with others for solving and managing conflicts. And this type covers "learner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trouble control and solution" as some of various compete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대상자가 받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인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역량모델을 구축하여 향후 이들이 원하는 교육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에 대한 담론이 늘어난 것은 90년대 이후부터였다. 오랫동안 단일민족으로 살아온 한국사회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인력부족 현상으로 3D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이주노동자와 이촌향도 현상과 남녀성비 불균형으로 인한 농촌총각 결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혼이주여성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정책에 의한 교육이 대부분이며, 이주노동자의 경우 배제정책으로 인해 교육을 받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아 결혼이주여성이나 이주노동자 모두 그들의 자존감이나 문화적 배경을 존중받으며 한국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인식의 출발점이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한국문화와 한국어교육이 주를 이루지만 향후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다문화 출신 학습자가 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둘째, 이들의 교육을 담당하게 될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는 더욱 늘어날 것이며, 일반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와는 다른 역량을 필요로 할 것이다.
      셋째, 타문화를 이해하고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인식을 가져 다문화주의적 사고를 가지는 역량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론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3월 2일부터 3월 21일까지 다문화 교육대상자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추천을 받아 10명의 강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주요사건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은 녹음 후 전사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20개의 역량요소를 추출해내었는데, 학습자 중심사고, 문화적 유연성, 교수 전문성, 일반 전문성, 사회적 연계촉진 5개의 역량군으로 구분하여 분류되었다.
      1, ‘학습자 중심사고 역량군’은 강사가 학습자를 중심으로 사고할 수 있는 역량으로 ‘학습자 이해’, ‘학습자 지향성’, ‘학습자에 대한 존중’이 포함된다.
      2,‘문화적 유연성 역량군’은 문화적 역량과 유사한 개념으로 성별 ․ 타문화 ․ 세대 ․ 종교 속에서 필요한 사회적 역량을 뜻하며, ‘개방성’, ‘관용’, ‘다문화 역량’.
      3‘교수전문성 역량군’은 교수자의 교수 방법이나 지식 측면에서의 역량들의 집합으로 ‘교수능력’, ‘수업전개력’, ‘내용 전문성’, ‘외국어능력/신체언어능력’, ‘동기 부여’, ‘다문화 정책 이해’가 포함,
      4 ‘일반전문성 역량군’은 교수자의 자질 측면에서의 역량들의 집합으로 ‘봉사’, ‘관계형성’, ‘정보역량’, ‘사명감’, ‘도전의식’, ‘유연성’.
      마지막으로 ‘사회적 연계 촉진 역량군’은 다른 사람과 공감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 위해 관계를 원만하게 맺고, 협력해 일하면서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해나가는 역량군으로 ‘학습자 관계 확산’과 ‘갈등조절․해결’이 역량으로 포함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대상자가 받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인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역량모델을 구축하여 향후 이들이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대상자가 받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인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역량모델을 구축하여 향후 이들이 원하는 교육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에 대한 담론이 늘어난 것은 90년대 이후부터였다. 오랫동안 단일민족으로 살아온 한국사회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인력부족 현상으로 3D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이주노동자와 이촌향도 현상과 남녀성비 불균형으로 인한 농촌총각 결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혼이주여성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정책에 의한 교육이 대부분이며, 이주노동자의 경우 배제정책으로 인해 교육을 받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아 결혼이주여성이나 이주노동자 모두 그들의 자존감이나 문화적 배경을 존중받으며 한국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인식의 출발점이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한국문화와 한국어교육이 주를 이루지만 향후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다문화 출신 학습자가 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둘째, 이들의 교육을 담당하게 될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는 더욱 늘어날 것이며, 일반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와는 다른 역량을 필요로 할 것이다.
      셋째, 타문화를 이해하고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인식을 가져 다문화주의적 사고를 가지는 역량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론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3월 2일부터 3월 21일까지 다문화 교육대상자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추천을 받아 10명의 강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주요사건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은 녹음 후 전사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20개의 역량요소를 추출해내었는데, 학습자 중심사고, 문화적 유연성, 교수 전문성, 일반 전문성, 사회적 연계촉진 5개의 역량군으로 구분하여 분류되었다.
      1, ‘학습자 중심사고 역량군’은 강사가 학습자를 중심으로 사고할 수 있는 역량으로 ‘학습자 이해’, ‘학습자 지향성’, ‘학습자에 대한 존중’이 포함된다.
      2,‘문화적 유연성 역량군’은 문화적 역량과 유사한 개념으로 성별 ․ 타문화 ․ 세대 ․ 종교 속에서 필요한 사회적 역량을 뜻하며, ‘개방성’, ‘관용’, ‘다문화 역량’.
      3‘교수전문성 역량군’은 교수자의 교수 방법이나 지식 측면에서의 역량들의 집합으로 ‘교수능력’, ‘수업전개력’, ‘내용 전문성’, ‘외국어능력/신체언어능력’, ‘동기 부여’, ‘다문화 정책 이해’가 포함,
      4 ‘일반전문성 역량군’은 교수자의 자질 측면에서의 역량들의 집합으로 ‘봉사’, ‘관계형성’, ‘정보역량’, ‘사명감’, ‘도전의식’, ‘유연성’.
      마지막으로 ‘사회적 연계 촉진 역량군’은 다른 사람과 공감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 위해 관계를 원만하게 맺고, 협력해 일하면서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해나가는 역량군으로 ‘학습자 관계 확산’과 ‘갈등조절․해결’이 역량으로 포함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6
      • 4. 용어의 정의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6
      • 4. 용어의 정의 7
      • Ⅱ. 관련문헌 고찰 9
      • 1. 역량의 관점과 역량모델 과정 9
      • 2. 일반역량 모델의 사례 32
      • 3.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의 특성과 역할 45
      • Ⅲ. 연구방법 52
      • 1. 조사대상자의 선정과 특성 54
      • 2. 자료조사 방법 55
      • 3. 자료분석 방법 58
      • 4. 분석과정 59
      • Ⅳ. 분석결과 및 토의 61
      • 1. 코딩체계 및 범주화 61
      • 2.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 역량 64
      • 3.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 역량모델 97
      • Ⅴ. 논의 및 시사점 100
      • 참고문헌 103
      • 영문초록 109
      • 부록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