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옵셋 인쇄공정 작업자의 정상작업과 뒷정리작업별 톨루엔 노출특성과 일간변이에 관한 연구 = Characteristics of Exposure and Daily Variations of Toluene and IPA during the Nomal Printing Process and After-shift Cleaning Process in an Off-Set Printing Sho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56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6년 12월 23일부터 30일 사이에 6일, 그리고 2017년 1월 2일부터 12일사이에 7일 등 총 13일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소규모 옵셋 인쇄 공장에서 인쇄작업을 하는 동안과 인쇄 종료 후 인쇄기판을 닦아 내는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동안 주로 노출되는 톨루엔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측정하였다.
      옵셋 인쇄 공정에서 1일 평균작업시간은 490분이었다. 톨루엔 1일 노출농도는 98.2±21.1 ppm으로 우리나라 노출기준(50 ppm)을 약 2배, 미국 ACGIH의 TLV(20 ppm)의 약 5배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 작업만을 따로 측정한 4개의 시료의 평균은 89.8±18.0 ppm이었다.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시간은 26±12.3분이었고 톨루엔 노출농도는 453.3±313.9 ppm이었다. 옵셋 인쇄공정에서 인쇄작업과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동안의 톨루엔 농도와 노출시간을 곱한 노출량(dose)을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마무리 닦음작업의 노출량은 인쇄작업시의 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옵셋 인쇄 공정에서 이소프로펠 알코올의 1일 노출평균은 73.4±47.7 ppm이었으며, 마무리 닦음작업은 309.2±381.4 ppm이었다. 인쇄작업을 하는 동안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농도는 실측한 4일 동안은 34.3±15.1 ppm이었고, 그 외 1일간 측정치와 마물 닦음 작업의 측정치로부터 추정한 것을 모두 포함한 13일 동안의 노출농도는 61.2±30.8 ppm인 것으로 나타났다. 옵셋 인쇄공정에서 마무리 닦음작업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노출량(dose)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티커 인쇄 공정의 톨루엔 노출농도는 1일 평균이 23.6±10.3 ppm였고, 인쇄 작업은 22.6±10.1 ppm, 마무리 닦음작업이 42.7±24.9 ppm이었다. 스티커 인쇄공정에서 마무리 닦음작업의 노출량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8%정도로 나타났다. 스티커 인쇄 공정에서 측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농도는 1일 평균이 23.4±9.4 ppm, 인쇄 작업시가 22.7±8.9 ppm, 마무리 닦음작업은 74.2±102.0 ppm이었다. 스티커 마무리 닦음작업에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량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12%정도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6년 12월 23일부터 30일 사이에 6일, 그리고 2017년 1월 2일부터 12일사이에 7일 등 총 13일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소규모 옵셋 인쇄 공장에서 인쇄작업을 하는 동안과 인쇄 종료 후 ...

      본 연구는 2016년 12월 23일부터 30일 사이에 6일, 그리고 2017년 1월 2일부터 12일사이에 7일 등 총 13일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소규모 옵셋 인쇄 공장에서 인쇄작업을 하는 동안과 인쇄 종료 후 인쇄기판을 닦아 내는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동안 주로 노출되는 톨루엔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측정하였다.
      옵셋 인쇄 공정에서 1일 평균작업시간은 490분이었다. 톨루엔 1일 노출농도는 98.2±21.1 ppm으로 우리나라 노출기준(50 ppm)을 약 2배, 미국 ACGIH의 TLV(20 ppm)의 약 5배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 작업만을 따로 측정한 4개의 시료의 평균은 89.8±18.0 ppm이었다.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시간은 26±12.3분이었고 톨루엔 노출농도는 453.3±313.9 ppm이었다. 옵셋 인쇄공정에서 인쇄작업과 마무리 닦음작업을 하는 동안의 톨루엔 농도와 노출시간을 곱한 노출량(dose)을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마무리 닦음작업의 노출량은 인쇄작업시의 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옵셋 인쇄 공정에서 이소프로펠 알코올의 1일 노출평균은 73.4±47.7 ppm이었으며, 마무리 닦음작업은 309.2±381.4 ppm이었다. 인쇄작업을 하는 동안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농도는 실측한 4일 동안은 34.3±15.1 ppm이었고, 그 외 1일간 측정치와 마물 닦음 작업의 측정치로부터 추정한 것을 모두 포함한 13일 동안의 노출농도는 61.2±30.8 ppm인 것으로 나타났다. 옵셋 인쇄공정에서 마무리 닦음작업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노출량(dose)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티커 인쇄 공정의 톨루엔 노출농도는 1일 평균이 23.6±10.3 ppm였고, 인쇄 작업은 22.6±10.1 ppm, 마무리 닦음작업이 42.7±24.9 ppm이었다. 스티커 인쇄공정에서 마무리 닦음작업의 노출량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8%정도로 나타났다. 스티커 인쇄 공정에서 측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농도는 1일 평균이 23.4±9.4 ppm, 인쇄 작업시가 22.7±8.9 ppm, 마무리 닦음작업은 74.2±102.0 ppm이었다. 스티커 마무리 닦음작업에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량은 인쇄작업시 노출량의 12%정도로 나타났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제 2 장 연구대상 및 방법 ····································································· 3
      • 제 1 절 대상 공정 ···························································································· 3
      • 제 2 절 측정 물질 ···························································································· 4
      • 제 1 장 서 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제 2 장 연구대상 및 방법 ····································································· 3
      • 제 1 절 대상 공정 ···························································································· 3
      • 제 2 절 측정 물질 ···························································································· 4
      • 제 3 절 측정위치 ································································································ 5
      • 제 4 절 측정기구 ······························································································ 6
      • 제 5 절 측정 방법 ···························································································· 6
      • 제 6 절 분석 방법 ···························································································· 7
      • 제 7 절 확산포집기 농도계산법 ····································································· 8
      • 제 3 장 연 구 결 과 ·············································································· 9
      • 제 1 절 옵셋 인쇄 사업장의 톨루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노출농도 ····· 9
      • 1 ) 옵셋 인쇄 공정의 톨루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노출농도 ················· 9
      • 2 ) 스티커 인쇄 공정의 단위 작업별 톨루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측정
      • 결과 ········································································································· 19
      • 제 2 절 옵셋 인쇄 공정의 인쇄 작업과 마무리 닦음 작업닦음작업 시간의
      • 톨루엔,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량(Dose) 비교 평가 ··············· 26
      • 제 3 절 스티커 인쇄 공정의 인쇄 작업과 마무리 닦음 작업닦음작업
      • 시간의 톨루엔,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량(Dose) 비교 평가 ·· 33
      • 제 4 절 옵셋 인쇄 공정과 스티커 인쇄 공정의 전체 작업시 톨루엔,
      •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량(Dose) 비교 평가 ······························ 40
      • 제 5 절 옵셋 및 스티커 인쇄 공정에서 단위 작업 시간당 톨루엔,
      • 이소프로필 알코올 노출량(Dose) 비율 ········································· 45
      • 제 6 절 연구의 신뢰성을 위한 보강 연구 ·················································· 48
      • 1 ) 노출 가능한 유해인자의 검출 여부 ···················································· 49
      • 2 ) 마무리 닦음 작업닦음작업과 중간 닦음 작업닦음작업 노출 평가 ··· 52
      • 제 7 절 14년도에서 16년도 옵셋 인쇄 사업장 작업환경측정 데이터 ··· 53
      • 제 4 장 결 론 ······················································································ 57
      • 참 고 문 헌 ······························································································ 59
      • ABSTRACT ·······························································································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