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성교육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 = An Analysis on the Statu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s on Sex Education for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0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education,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and demands on the education for children, and eventually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of sex education. To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education,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and demands on the education for children, and eventually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of sex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e survey questionnaire of 26 items, which were related to sex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s and/or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and demands on sex education, was proposed and developed via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and professional advice. The 362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and/or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multivariat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by the program SPSS 18.0.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 that 1) sex education that meets social demands was taught in the majority of the institutes, but the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very limited,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sex education was not effectively provided in the field, and the teachers were only educated through regular sex education training of school districts; and 2)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eds for sex education and perceived sex education to be related to family,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on content, methods, sources and materials for sex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results, facilitation strategies for providing children’s sex education were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성교육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유아 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 실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성교육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유아 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 실태와 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로 구성된 총 26개 문항의 설문지를 문헌분석 및 전문가 협의 등을 통해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62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목표를 가지고 운영하고 있었으나 교수자료의 형태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교육 관련 부모교육이 비교적 활성화되지는 않았고, 유아교사들은 현직교사 연수를 통해 성교육 관련 내용을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유아 성교육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가정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잘 모르고 관련 자료나 교재가 부족한 것이 어려움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인적자원부, "함께 풀어가는 성이야기 : 유치원 3~6세" 교육인적자원부 2001

      2 김춘미, "일개 지역사회 보육시설에서의 유아 성교육 실태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 16 (16): 23-31, 2012

      3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교육과정"

      4 강창숙, "유치원 유아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교육부, "유치원 성교육 표준안"

      6 도기숙, "유아의 섹슈얼리티- 유아 성교육의 담론과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2 (62): 382-408, 2015

      7 정준자, "유아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이병래, "유아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6 (6): 67-87, 2001

      9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활동 지도자료"

      10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교육인적자원부 2006

      1 교육인적자원부, "함께 풀어가는 성이야기 : 유치원 3~6세" 교육인적자원부 2001

      2 김춘미, "일개 지역사회 보육시설에서의 유아 성교육 실태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 16 (16): 23-31, 2012

      3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교육과정"

      4 강창숙, "유치원 유아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교육부, "유치원 성교육 표준안"

      6 도기숙, "유아의 섹슈얼리티- 유아 성교육의 담론과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2 (62): 382-408, 2015

      7 정준자, "유아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이병래, "유아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6 (6): 67-87, 2001

      9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활동 지도자료"

      10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교육인적자원부 2006

      11 조성자, "유아들의 성교육을 위한 지침서" 창지사 2003

      12 김혜정, "유아기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3 곽노의, "유아교육에서의 성교육 요구조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99-123, 2002

      14 손수정,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운영실태와 교사의 요구분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노순남,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노희경,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성교육 현황과 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이정숙, "유아교육기관과 학부모의 성교육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8 김미경,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유형에 따른 성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25-42, 2004

      19 연초록, "유아교사들이 들려주는 유아들의 일상생화 속 ‘성’이야기" 배재대학교대학원 2016

      20 김숙희, "유아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인식조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21 이영경,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22 김지상,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26 (26): 131-150, 2006

      23 박수연,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포항시의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2

      24 신은영,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시현황 : 5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5 정인희, "유아 성교육에 관한 교사의 의식조사 연구: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6 박선미, "유아 성교육 현황 및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7 우민정, "유아 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8 우민정, "유아 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81-97, 2011

      29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4

      30 김지영, "영동북부지역 유아교육기관의 성교육 실태 조사" 1 (1): 155-179, 2004

      31 "아동복지법 시행령 제 31조 3항"

      32 "아동복지법 시행령 제 28조 1항 별표3"

      33 우민정, "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수실제의 변화"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129-147, 2010

      34 김상원, "성교육/성상담이론과 실제" 교육출판사 2011

      35 박경, "성 심리와 성 건강" 시그마프레스 2015

      36 이혜정, "부모의 성교육 인식 및 실태, 요구에 따른 유아 성교육 프로그램 구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115-136, 2014

      37 보건복지부, "보육교사를 위한 유아 성교육 매뉴얼" 인구보건복지협회 출판부 2011

      38 김현실,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1-29, 2010

      39 김병은, "가정에서의 유아 성교육 실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0 Blake, S., "There’s a hole in the bucket : The politics, policy and practice of sex and relationships education" 26 (26): 33-41, 2008

      41 Goldman, J. D., "The new sexuality education curriculum for Queensland primary schools" 10 (10): 47-66, 2010

      42 Kohlberg, L., "The development of sex differenc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6

      43 World Health Organization, "Standards for sexuality education in Europe: A framework for policy makers, educational and health authorities and specialists" Federal Centre for Health Education 2010

      44 Sex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Canada, "Sexual health education in the schools: Questions and answers" SIECCAN 2005

      45 Ecker, N., "International guidelines on sexuality education: An evidence informed approach to effective sex, relationships and HIV/STI education"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2-, 2009

      46 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Kindergarten through 12th grade" SIECUS 2004

      47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48 Hurlock, E. B., "Child development" McGraw-Hill Kogakusha 1978

      49 Derman-Sparks, L., "Anti- 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EYC 1992

      50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51 박수연,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성교육 그림책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167-188,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