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학 관점을 통한 장애부모참여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Disabled Children`s Parents` Participation through a View of Disability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46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학 관점을 통해 장애부모들이 자녀들의 권리 옹호에 어떻게 참여하여 왔으며 참여 결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검토를 통하여 장애부모참여와 관...

      본 연구는 장애학 관점을 통해 장애부모들이 자녀들의 권리 옹호에 어떻게 참여하여 왔으며 참여 결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검토를 통하여 장애부모참여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부모참여는 장애학생들의 교육권 확보와 권리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장애아동의 권리에 있어 전문가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의견도 많이 반영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장애부모참여는 학령기 자녀들에 주로 한정되어 왔으며 부모 중심의 외형적인 성장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장애부모참여는 장애인들의 학령기뿐만 아니라 성인기와 관련해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외형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발전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isabled children’s parents advocated and participated for their children’s rights from the viewpoint of disability studies and what are the results of these particip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isabled children’s parents advocated and participated for their children’s rights from the viewpoint of disability studies and what are the results of these particip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disabled parents’ particip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isabled parents’ particip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cquisition of educational rights and the improvement of rights. They also showed that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arted to included family as well as professionals. However, disabled children’s parents’ participation has restricted to school-age children, and their participation has tended to stay external growth based on parents. Therefore, disabled children’s parents’ participation needs to actively do in disabled adults as well as school-age children, and disabled children’s parents’ participation needs to do qualitative development as well as external grow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론-우리나라 특수교육(학)의 정체성" 대구대학교출판부 2011

      2 조한진,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학지사 2013

      3 박인용, "한국사회 장애인 부모운동 연구 : 장애인교육권연대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사회복지실천대학원 2007

      4 김도현, "한국사회 장애민중운동의 역사" 정태수열사추모사업회 2005

      5 곽정란, "한국 장애인운동의 특수교육학적 고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4

      6 박경석, "한국 장애인 운동의 역사" 전국장애인교육권연대 2006

      7 김도현, "차별에 저항하라" 박종철 출판사 2007

      8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정부와 국회는 4월 임시국회에서 「장애아동복지지원법」을 반드시 제정하라!"

      9 이동석,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에 따른 한국 장애인 운동의 성격 분석" 8 (8): 34-66, 2004

      10 강종구, "장애학 관련 외국학술지에 나타난 통합교육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20, 2013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론-우리나라 특수교육(학)의 정체성" 대구대학교출판부 2011

      2 조한진,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학지사 2013

      3 박인용, "한국사회 장애인 부모운동 연구 : 장애인교육권연대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사회복지실천대학원 2007

      4 김도현, "한국사회 장애민중운동의 역사" 정태수열사추모사업회 2005

      5 곽정란, "한국 장애인운동의 특수교육학적 고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4

      6 박경석, "한국 장애인 운동의 역사" 전국장애인교육권연대 2006

      7 김도현, "차별에 저항하라" 박종철 출판사 2007

      8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정부와 국회는 4월 임시국회에서 「장애아동복지지원법」을 반드시 제정하라!"

      9 이동석,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에 따른 한국 장애인 운동의 성격 분석" 8 (8): 34-66, 2004

      10 강종구, "장애학 관련 외국학술지에 나타난 통합교육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20, 2013

      11 뉴스타운, "장애인생활시설 인권실태조사 결과 발표"

      12 안상권, "장애인부모단체의 발전과 활동이 가지는 특수교육학적 함의 고찰"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전국장애인교육권연대, "장애인교육지원법 제정을 위한 무기한 집단 단식 농성 돌입 선포 기자회견"

      14 "장애인교육권연대 홈페이지"

      15 한겨레, "장애인과 함께 교육을"

      16 김종인, "장애인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의 역할과 운동" 2004

      17 송주한, "장애인 부모의 권리의식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인 부모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18 신용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과 의의"

      19 뉴스시스, "장애아들 복지 혜택받게 하려고… 50대 男 목매 자살"

      20 장애아동복지지원법제정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장애아동복지지원법제정을 위한 전국지역순회간담회 자료집" 장애아동복지지원법제정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2009

      21 장애아동복지지원법제정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정의 의의와주요내용"

      22 김치훈,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이렇게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23 오마이뉴스, "장애아 부모들, 인권위 점거 무기한 단식농성 돌입"

      24 조한진, "장애등급의 문제를 넘어서 -장애의 정의․분류․측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5 (15): 1-26, 2011

      25 곽정란, "장애담론의 정치적 이해: 장애인당사자주의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249-263, 2004

      26 에이블뉴스, "왜 특수교육진흥법은 폐지되어야 하나"

      27 박인용, "스파르타의 벼랑 끝에서 - 한국사회에서 장애아동과 그 부모로 산다는 것" (26) : 2005

      28 에이블뉴스, "부모회, 부모연대 법인 허가 반대 파장"

      29 에이블뉴스, "발달장애인 불임수술은 인권침해"

      30 노석원,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직업재활에 미치는영향" 6 : 2014

      31 연합뉴스, "반복되는 발달장애 가족의 비극... 지원책 마련 절실"

      32 강종구, "국제학술지 분석을 통한 시각장애학생 통합교육 현황 고찰"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9 (29): 197-215, 2013

      33 Longmore, P. K., "The new disability history: American perspectiv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1

      34 Oliver, M., "The Politics of Disablement" The Macmillan Press 1990

      35 Heshusius, L., "The Newtonian mechanistic paradigm, special education, and contours of alternatives : An overview" 22 (22): 403-415, 1989

      36 Watson, N., "Routledge handbook of disability studies" Routledge 33-105, 2012

      37 Roulstone, A., "Routledge handbook of disability studies" Routledge 3-11, 2012

      38 Bogdan,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Allyn & Bacon 2008

      39 Danforth, S., "Hyper talk: Sampl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ADHD in everyday language" 32 (32): 167-190, 2001

      40 Barnes, C., "Handbook of disability studies" Sage Publications 515-534, 2001

      41 Barnartt, S., "Handbook of disability studies" Sage Publications 430-449, 2001

      42 Albrecht, G. L., "Handbook of disability studies" Sage Publications 1-8, 2001

      43 Gabel, S., "Disability studies in education" Peter Lang 2005

      44 Schwandt, T. A., "Dictionary of qualitative inquiry" Sage Publications 2001

      45 오원석, "A study on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ttitudes and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37-152, 2011

      46 비마이너뉴스, "80여명 집단 삭발 ‘내 머리 잘라 아이 살리겠다.’ 4월 임시국회 앞두고‘제대로 된’ 발달장애인 법 제정 촉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