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가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731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에게 상호작용적으로 동화를 반복해서 읽어주는 활동이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에 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D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1명(남 12명, 여 9명)과 H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1명(남 8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이해력 검사는 Morrow(1984)의 이야기 이해력 검사를 김옥련(2005)이 번안한 것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하여 측정하였고, 유아의 어휘력 검사는 김영태, 장혜성, 인선숙과 백현정(1995)이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PPVT-R, Dunn & Dunn, 1981)를 토대로 한국에서 제작한 유아용 그림 어휘력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 및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구하고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에게 동화를 상호작용적으로 반복해서 읽어주면 이해력이 더 향상 된다고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에게 동화를 상호작용적으로 반복해서 읽어주면 어휘력이 더 많이 증진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를 활용한다면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에게 상호작용적으로 동화를 반복해서 읽어주는 활동이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에 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에게 상호작용적으로 동화를 반복해서 읽어주는 활동이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에 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D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1명(남 12명, 여 9명)과 H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1명(남 8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이해력 검사는 Morrow(1984)의 이야기 이해력 검사를 김옥련(2005)이 번안한 것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하여 측정하였고, 유아의 어휘력 검사는 김영태, 장혜성, 인선숙과 백현정(1995)이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PPVT-R, Dunn & Dunn, 1981)를 토대로 한국에서 제작한 유아용 그림 어휘력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 및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구하고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에게 동화를 상호작용적으로 반복해서 읽어주면 이해력이 더 향상 된다고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에게 동화를 상호작용적으로 반복해서 읽어주면 어휘력이 더 많이 증진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를 활용한다면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active repeated reading on children's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21 for the experiment group at the age of 4 at D day-care center in D city and 21 for the controlled group at the age of 4 at H day-care center in D city.
      In this research, the children's comprehension test was examined by a test adapted by this researcher, which originally was developed by Morrow and adjusted by Kim(2005). And the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test was examined by the picture vocabulary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Kim, Jang, In, and Baek(1995) in Korea on the basis of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1982).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for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 and of the control group by using SPSS 14.0 and covariance(ANCOVA).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is more effective to read repeatedly and interactively picture books to children than to readitonce.
      Second, reading repeatedly and interactively picture books to children improve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Consequently, if utilizing repeated and interactive reading in an education site, it would be helpful to improve children's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active repeated reading on children's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21 for the experiment group at the age of 4 at D day-care center in D city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active repeated reading on children's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21 for the experiment group at the age of 4 at D day-care center in D city and 21 for the controlled group at the age of 4 at H day-care center in D city.
      In this research, the children's comprehension test was examined by a test adapted by this researcher, which originally was developed by Morrow and adjusted by Kim(2005). And the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test was examined by the picture vocabulary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Kim, Jang, In, and Baek(1995) in Korea on the basis of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1982).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for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 and of the control group by using SPSS 14.0 and covariance(ANCOVA).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is more effective to read repeatedly and interactively picture books to children than to readitonce.
      Second, reading repeatedly and interactively picture books to children improve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Consequently, if utilizing repeated and interactive reading in an education site, it would be helpful to improve children's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1
      •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연구문제 5
      • 3.용어의 정의 5
      • Ⅱ.이론적 배경 8
      • Ⅰ.서론 1
      •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연구문제 5
      • 3.용어의 정의 5
      • Ⅱ.이론적 배경 8
      • 1.동화 읽어주기 8
      • 2.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와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 13
      • Ⅲ.연구방법 17
      • 1.연구대상 17
      • 2.측정도구 17
      • 3.연구절차 21
      • 4.자료처리 31
      • Ⅳ.연구결과 32
      • 1.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가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32
      • 2.상호작용적 반복 읽어주기가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33
      • Ⅴ.논의 35
      • 참고문헌 40
      • 영문초록 44
      • 국문초록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