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감사인 지정제도가 신규상장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regulation on earnings management in IP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960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감사인 지정제도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공정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기업에 대해서 독립적인 외부감사가 이루어지도록 감사인을 지정하는 제도이다. 특히 신규상장기업에 대해...

      감사인 지정제도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공정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기업에 대해서 독립적인 외부감사가 이루어지도록 감사인을 지정하는 제도이다. 특히 신규상장기업에 대해서는 기존투자자와 신규투자자간의 정보비대칭이 크기 때문에 신규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상장 전 감사인을 지정하고 있다. 만약 규제기관의 도입 취지대로 감사인 지정제도가 순기능을 한다면 감사인 자유수임제가 시행되던 기간에 비해 감사인 지정제도가 시행되던 기간에 감사인이 더욱 엄격한 감사를 수행할 것이다. 하지만 감사인 지정제도를 시행하여 감사품질이 향상되는 긍정적 효과에 비해 감사의 효율성이 하락하여 감사품질이 낮아지는 부정적 효과가 더 크다면 감사인 지정제 기간에 상장한 기업이 자유수임제 기간보다 감사품질이 더 낮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감사품질을 선행연구와 같이 이익조정으로 측정하고, 감사인 지정제도가 신규상장기업의 상장 전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감사인 지정기간이 끝나고 자유수임으로 전환되는 첫해에 지정감사인을 감사인으로 계속 선임하는 기업과 감사인을 새로 교체하는 기업의 상장 전 보고이익을 비교하였다. 본 논문은 코스닥시장에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신규상장한 기업 중에서 표본선정기준을 만족한 452개 기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 자유수임제를 시행하던 기간에 비해 감사인 지정제도를 시행하는 기간에 신규상장기업의 상장 전 이익조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규제기관이 감사인 지정제도를 통하여 신규상장기업의 회계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한 본래 취지와는 다른 결과이다. 둘째, 지정기간이 끝난 후인 상장후 첫 회계기간에 기존 지정감사인을 감사인으로 계속 선임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장 전 이익조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지정감사인을 계속 선임한 기업이 감사인을 교체한 기업에 비해 상장 전 이익을 더 상향조정하였다. 이는 지정감사인이 상장 후 자유수임에 따른 감사계약을 고려하여 엄격한 감사를 실시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지정감사인이 사회적으로 요구하는 수준의 외부감사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실증적인 증거이다. 셋째, 표본기업의 표본선택편의를 줄이기 위해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적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회귀분석 결과와 질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auditor designation regulation is to improveaccounting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through enhancement of auditor independence. The regulation assigns statutory auditors to the selected firms that are highly likely to adopt discretio...

      The objective of auditor designation regulation is to improveaccounting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through enhancement of auditor independence. The regulation assigns statutory auditors to the selected firms that are highly likely to adopt discretionary accounting methods. IPO firms are not familiar to investors in capital market and have high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existing and new investors.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designates auditors to IPO firms one year before IPO to improve auditors`` independence and protect new investors. If the regulation is put in force as effectively as FSS intended, the assigned firms will be audited more strictly after the regulation is enacted. However, if the regulation is not effective because of its inefficiency, audit quality will deteriorate after enforcement.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earnings management during the designation period, one year before IPO, for the firm which employs the designated auditor as an ongoing auditor after the designation period with the earnings management for the firm which changes its auditor into other auditor. If the designated auditor wants to be employed again in the same firm after his(her) designation period, he(she) may tolerate the accounting discretion of the firm and lacks independence. For that reason, the supervisory agency amends the regulation in December 2014. It prohibits the designated auditor to be a continuous auditor in the same firm after IPO.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foretell te effectiveness of the amendmen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auditor designation regulation on audit quality of IPO firms. Audit quality is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 that are often used as proxy of earnings management. We also investigate and compare discretionary accruals one year before IPO for the firms that employ the designated auditors again as their auditors after IPO with those that change the assigned auditors. If the assigned auditors want to be ongoing auditors after IPO, there may be conflicts in ethics, as they may not do their audit work strictly and may allow discretionary accounting. This paper selects 452 IPO firms in KOSDAQ market as sample firms during the period of 2001-2010.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following. First, IPO firms show higher earnings management after the regulation than before. Th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intent of FSS that wants to improve accounting quality through the enforcement of the regulation. Second, firms which employ the assigned auditors as their auditors again after IPO show higher earnings management than the firms that change their auditors. This means the assigned auditors have not done audit work strictly but may allow accounting discretion because they want to be employed as auditors continuously after IPO. Thir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is used additionally in sampling process to mitigate the limitation of self selection bias in the analysis. This paper provides a few robustness tests. First, discretionary accruals of one year before of IPO are compared depending on the type of auditors to be employed one year after IPO. The type of auditors are, designated auditor, previous auditor before the auditor designation, and other audito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rnings management are found between the previous auditor and other auditor who are employed after IPO. Second, we examine whether audit tenure affects the earnings management. The IPO firm can employ the designated auditor up to three years before IPO if the firm delays IPO process. We find no significant effect of audit tenure on the audit qual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